• Title/Summary/Keyword: PC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33초

Pressure Cycling Technology-assisted Protein Digestion for Efficient Proteomic Analysis

  • Choi, Hyun-Su;Lee, Sang-Kwang;Kwon, Kyung-Hoon;Yoo, Jong-Shin;Ji, Kelly;Kim, Jin-Yo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2호
    • /
    • pp.599-604
    • /
    • 2011
  • In typical proteomic analysis, trypsin digestion is one of the most time-consuming steps. Conventional proteomic sample preparation methods use an overnight trypsin digestion method. In this study, we compared high-pressure cycling technology (PCT) during enzyme digestion for proteome analysis to the conventional method. We examined the effect of PCT on enzyme activity at temperatures of 25, 37, and $50^{\circ}C$. Although a fast digestion (1 h) was used for the standard protein mixture analysis, the PCT-assisted method with urea showed better results for protein sequence coverage and the number of peptides identifi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mperatures for PCT-assisted digestion; however, we selected PCT-assisted digestion with urea at $25^{\circ}C$ as an optimized method for fast enzyme digestion, based on peptide carbamylation at these conditions. The optimized method was used for stem cell proteome analysis. We identified 233, 264 and 137 protein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with urea at $37^{\circ}C$ for 16h, the PCT-assisted digestion with urea at $25^{\circ}C$ for 1 h, and the non-PCT-assisted digestion with urea at $25^{\circ}C$ for 1 h,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se results suggests that PCT enhanced the enzyme digestion by permitting better access to cleavage sites on the proteins.

중형냉각재상실사고의 PCT에 대한 ATLAS와 LSTF 장치의 대응 실험 검토 (Investigation of PCT Behavior in IBLOCA Counterpart Tests between the ATLAS and LSTF Facilities)

  • 김연식;강경호
    • 에너지공학
    • /
    • 제28권3호
    • /
    • pp.26-33
    • /
    • 2019
  • ATLAS와 LSTF 장치에서 수행된 저온관(CL) 파단 13% 및 17% IBLOCA 대응실험들을 비교하고 특히, 핵심 관심 인자인 노심 첨두피복온도(PCT)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고 아울러 주요 열수력 현상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비교.검토에서 두 건의 CL 파단 IBLOCA 대응실험들은 PCT 거동에 있어서 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두 장치의 척도 차이로 인한 왜곡현상을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두 장치의 원자로냉각재계통에 대한 자세한 설계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에 두 장치 사이에 핵연료조정판(FAP) 설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IBLOCA 사고시 Reflux 응축수의 노심 유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CFL 관련 무차원직경 값에서도 두 장치에서 매우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CL 파단 IBLOCA 대응실험에서의 PCT 거동의 현격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원인일 수 있는 인자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 관련 설계 차잇점을 근거로 더 자세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관련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패혈증이 의심되는 화상환자에서 Procalcitonin이 사망률 예측인자로서의 역할 (Procalcitonin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Burn Patients with Suspected Sepsis)

  • 김인;김도헌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4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rocalcitonin (PCT)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burn sepsi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ortalit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912 PCT patients diagnosed with burn sepsis in patients who survived fluid resuscitation for at least 3 days, aged 18 years or older who were admitted to Burn Intensive Care Unit (BICU) of Hallym University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8. Results: Compared with the surviving group, TBSA (31%:65%), Inhalation (59.66%:74.23%) and ABSI (8 points:12 poi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Looking at the changes in PCT levels in each survival and death group from Week 1 to Week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CT levels in the survival and death groups each week (P<0.001).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urvival and death groups in each state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PCT values for each state in both groups (P=0.090). Conclusion: In burn patients suspected of sepsis, the use of PCT is useful for predicting survival and dea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ased on prospective study through systematization of measurement standards and data from multiple institution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CT through research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소아 세균감염증에서 혈청 procalcitonin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Availability of Serum Procalcitonin in Children with Bacterical Infection)

  • 노은정;이소연;이규만;김광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108-113
    • /
    • 2010
  • 목적: 소아 세균감염증에서 혈청 PCT 수치의 유용성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균감염증 환자들의 PCT 수치와 바이러스 감염증 및 비감염성 염증질환인 Juvenile rhematoid arthritis (JRA) 환자들의 PCT 수치를 비교하였다. 또한 PCT 검사의 유용성을 CRP 검사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방법: 2008년 4월부터 2009년 3월 사이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치료 한 환자들 중 세균 감염이 확인된 10명,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69명과 2007년 8월부터 2009년 7월 사이에 JRA로 입원한 35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의 PCT와 CRP 수치를 분석하였고, 증상에 따라 추가되었던 배양검사와 바이러스검사 결과들로부터 환자들을 크게 세군감염군(I군)과 바이러스 감염군(II군), 비감염성 염증질환군(III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PCT, CRP 수치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I, II, III군의 CRP 평균값은 각각 62.07${\pm}$28.97 mg/L, 30.35${\pm}$15.49 mg/L, 17.95${\pm}$11.03 mg/L였고, PCT 평균값은 각각 5.56${\pm}$1.99 ng/mL, 0.24${\pm}$0.76 ng/mL, 0.06${\pm}$1.06 ng/mL로 CRP와 PCT 모두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두 군간의 CRP를 비교하였을 때, I군과 II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057) I과 III, II과 III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반면 두 군간의 PCT를 비교하였을 때 I군과 II, I군과 III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PCT (Cutoff value=0.5 ng/mL)의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각각 60.0%, 92.3%, 42.9%, 96.0%였으며, CRP (Cutoff value=8 mg/L)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각각 60.0%, 40.1%, 10.0%. 92.6%였다. 결론: 소아 세균감염 환자에서의 PCT검사는 비세균성 질환과 감별에 있어 CRP에 비해 유용한 검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DRAM 소자의 PCT 신뢰성 측정 후 비정상 AlXOY 층 형성에 의해 발생된 불량 연구 (A Study of Failure Mechanism through abnormal AlXOY Layer after pressure Cooker Test for DRAM device)

  • 최득성;정승현;최채형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DRAM 소자의 Pressure Cooker Test (PCT) 신뢰성 평가 후 발생한 불량 원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불량 시료의 물리적 관측 결과 변색, Al의 부식 및 손실, 그리고 금속 간 중간 절연막 박리 등이 관측되었다. 추가 물리적 화학적 분석 결과 비정상적인 물질인 $Al_XO_Y$ 층을 발견하였다. 불량 원인을 파악 하기 위해 package ball 크기 실험 및 보호막 pin hole 등의 연관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원인으로 판명되지 않았다. 또한 EMC 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Cl에 의한 Al 할로겐화 평가를 진행하였다. 진행 결과 약간의 개선 효과를 보였지만 완벽한 문제 해결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Galvanic corrosion 가능성 가설을 세웠고, 면밀한 분석 결과 pad open 지역에서 Ti 잔존물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검증 실험으로 repair 식각 분리 실험을 진행하여 개선 효과를 보았다. 개선 된 조건에서 PCT 신뢰성 기준치를 만족 하는 결과를 얻었다. 금번 PCT 불량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공정 repair etch시 Ti 잔류물이 남아 Galvanic 메커니즘에 의해 Al이 이온화 된다. 이온화 된 Al이 후속 PCT 신뢰성 측정 시 $H_2O$와 반응하여 비 정상 물질인 $Al_XO_Y$를 생성하였다.

소아 상부 요로감염의 진단을 위한 혈청 procalcitonin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serum procalcitonin test for the diagnosis of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 김동욱;정주영;구자욱;김상우;한태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87-92
    • /
    • 2006
  • 목 적 : 소아에서 상부 요로감염은 신반흔을 생성하여, 고혈압과 말기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빠른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상부 요로감염을 감별하기 위하여 임상 증상, 신장 초음파, 전혈 백혈구수, ESR과 CRP 수치 등이 이용되지만 유용성은 크지 않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상부 요로감염의 감별 진단에서 PCT 측정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도 2월부터 2005년 04월에 걸쳐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소아과에 원인 불명의 열을 주소로 입원한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는 신장 침범 여부를 기준으로 1군(요로감염 이외의 열성 질환, 17명), 2군(신장 침범이 없는 요로감염군, 18명), 3군(신장 침범이 있는 요로감염군, 16명)으로 분류하였다. 입원 후 7일 이내에 모든 환아에서 $^{99m}Tc$ DMSA 신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신 침범은 부분 혹은 미만성 결손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입원 당시 말초혈액 백혈구, ESR, 혈청 CRP, 혈청 PCT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PCT 수치의 정량적 측정은 2개의 단일 항체를 이용한 면역형광 분석(immunoluminometric assay)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신 침범이 있는 요로감염군에서 PCT의 수치가 다른 환자 군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5.06{\pm}12.97{\mu}g/L$, P<0.05). 하지만 신 침범이 없는 요로감염군과 요로감염이 아닌 열성 질환군에서 PCT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3). 혈청 PCT(Cutoff value=$0.5{\mu}g/L$)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1.3%, 88.9%이였으며, ESR(Cutoff value=20 mm/hr)은 87.2%, 72.2%였고, 혈청 CRP(Cutoff value=20 mg/L)는 87.5%, 55.6%였다. 각 염증 지표들의 PPV와 NPV는 혈청 PCT(Cutoff value=$0.5{\mu}g/L$) 각각 86.7%, 84.2%이였으며, ESR(Cutoff value=20 mm/hr)은 73.7%, 86.7%였고, 혈청 CRP(Cutoff value=20 mg/L)은 60.9%, 81.8%였다. 결 론 : 혈청 PCT 수치는 급성 신우신염의 감별에 가장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이는 예민한 지표이므로, 요로감염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서 상부 요로감염을 감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