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 food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소비자의 편의점 PB식품 구매의도에 따른 정보요구 (Undergraduate Consumers' Information Needs according to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Foods)

  • 류미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23-63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of information needs regarding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PB) foods and variables affecting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the information content and information sources needed by undergraduate consumer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frequency, mean (SD), reliability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version 19.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dergraduat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oward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they say they will buy the products if the PB foods' quality-related areas like taste, nutrition, or safety are favorable. Second, the general level of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comparatively high, and among general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needs for convenience store PB food quality' are the greatest, while in the area of comparative information needs, 'comparative information on PB food and NB food quality' is needed the most. In addition, undergraduate consumers most often want to obtain convenience store PB food information from convenience stores themselves. Third, as purchase intention and information acceptance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ncrease, information needs also increase. However, as quality perception of convenience store PB foods is more positive, information needs reduce.

편의점 PB식품군 구매행동 및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Influence of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for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Foods)

  • 김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29-63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편의점 PB식품이 대표적인 효자상품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소비자들의 편의점 PB식품군에 대한 구매행동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구매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편의점 PB식품을 구매하는 이유로 기존 제품 대비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가 높은 것(46.7%)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 이용빈도와 PB식품 구매빈도에 소비자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편의점 이용빈도에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식품 구매빈도에는 성별과 연령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의점 이용빈도는 PB식품 구매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PB식품군 6개 군(과자/스낵, 음료, 유제품, 간편식, 라면/면류, 빵/튀김/핫바) 모두에서 선호하는 편의점 브랜드와 PB식품의 선호브랜드간 상관분석결과 Cramer V계수가 0.2~0.4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들은 PB식품의 만족도를 속성별로 평가한 결과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식품군 다양성과 제품군 맛 다양성 측면의 만족도가 3.57로 가장 높았고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3.49). 마지막으로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별 만족도를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맛, 디자인/포장 속성의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선호하는 편의점 브랜드와 PB식품의 선호브랜드가 일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PB식품에 대한 적극적인 광고를 한다면 역으로 편의점을 선호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편의점 이용빈도와 PB식품 구매빈도는 낮아졌기 때문에 PB식품은 가격과 품질 모두 신뢰할 수 있도록 제품 개선 및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PB식품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맛 또는 디자인/포장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Detection of a Thermal Stable-Soluble Protein (TSSP) as a Marker of Peanut Adulteration Using a Highly Sensitive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ased on Monoclonal Antibodies

  • Sol-A Kim;Sazzad Hossen Toushik;Jeong-Eun Lee;Won-Bo Sh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9호
    • /
    • pp.1170-1178
    • /
    • 2023
  • Food allergy represents a severe problem for many societies, including sensitive populations, academies, health authorities, and the food industry. Peanut allergy occupies a special place in the food allergy spectrum. To prevent consumption by consumers suffering from a peanut allergy, a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method is essential to identify unintended peanut adulteration in processed foods. In this study, we produced four monoclonal antibodies (MAbs; RO 3A1-12, PB 4C12-10, PB 5F9-23, and PB 6G4-30) specific to thermo-stable and soluble proteins (TSSPs) of peanut and developed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based on the MAbs. Among them, PB 5F9-23 MAb was firmly bound to Ara h 1, and other MAbs strongly reacted to Ara h 3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An antibody cocktail solution of the MAbs was used to enhance the sensitivity of an indirect ELISA, and the limit of detection of the indirect ELISA based on the antibody cocktail solution was 1 ng/ml and improved compared to the indirect ELISA based on the single MAb (11 ng/ml). The cross-reaction analysis revealed the high specificity of developed MAbs to peanut TSSPs without cross-reaction to other food allergens, including nuts. Subsequently, analyzing processed foods by indirect ELISA, all foods labeled as containing peanuts in the product description were confirmed to be posi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ed antibodies exhibit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to peanuts and can be used as bio-receptors in immunoassays or biosensors to detect intentional or unintentional adulteration of peanuts in processed foods, particularly heat-processed foods.

식품컨셉의 다양화에 따른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변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Japanese Food Distribution System in response to Diversification of Food Concept)

  • 오범석;김상철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5-28
    • /
    • 2005
  • 본 연구는 소비자 니즈의 변화에 따른 식품컨셉의 변형으로 인한 일본의 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컨셉으로서 일반적으로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으로 분류되었던 식품컨셉을 확장시켜 비가공적 가공식품과 가공적 비가공식품의 개념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일본식품유통시스템의 물류, 도매, 소매상에서의 혁신적 관리 및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변화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한 요인으로서 소비자 니즈와 인식의 변화를 들 수 있으며,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개념정립 및 현황분석과 함께 일본 식품유통시스템의 실제적 변화로서 온도대별 물류혁신, PB상품개발, 체인시스템의 다양화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일본소비자의 특성, 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상황 및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한국식품유통시스템의 발전과정과 비교분석이 가능하며 나아가 합리적인 식품유통시스템으로의 방향제시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국내식품의 중금속 오염과 위해성 분셕 (Contamination and Risk Analysis of Heavy Metals in Korean Foods)

  • 이서래;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4-332
    • /
    • 2001
  • 인체의 중금속 노출은 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세계 어느나라나 인체건강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깊은 관심을 쏟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식품의 중금속 함량과 식이섭취량에 관련된 연구결과를 총정리하였으며 외국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중금속의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식품군별(해산어류, 연안패류, 담수어류, 곡류)로 비소, 카드뮴, 수은, 납의 4가지 금속원소의 함량에 대한 연차적 변화추세를 분석한 결과 1970년대보다는 1980년대, 그리고 1990년대로 올수록 중금속의 평균농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국내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치로는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없었으나 최고치로는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드물게 발견되었다. 한국인에 의한 중금속의 식이섭취량 데이터를 요약하면 1980년대보다는 1990년대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중금속 중 As, Hg의 평균섭취량은 PTWI의 6∼8%, Cd, Pb은 50∼80%수준으로 모두 허용량을 밑돌고 있으나 특정식품을 많이 먹는 극단소비량으로 계산한다면 PTWI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심도있는 평가가 요구된다. 한국인에 의한 Cd, Hg, Pb의 식이섭취량은 여러 국가에 대한 GEMS/Food 데이터와 비교시 중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중에서 수산물은 Hg, Cd 및 As의 오염이, 일반식품은 Pb의 오염이 우려되고 있으므로 이들 중금속에 대한 법적기준을 설정하여 중금속에 의한 오염 진행상황을 감시해야 될 것이다. 나아가 모든 급원(음식물, 공기, 불, 직업적 노출)으로부터 중금속의 총 노출량을 평가하고 식생활에서의 위해요소를 확인함으로써 식량자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 PDF

여러 가지 식품 중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arious Foods)

  • 김미혜;김정수;소유섭;정소영;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61-567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여러 가지 식품 중에 함유된 중금속 함량을 동시에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전국 각 지역의 주요 시장 등에서 채취한 총 696건의 식품 및 가공식품을 습식분해하여 ICP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및 주석 함량을 측정하였고, Mercury analyzer를 이용하여 수은 함량을 측정하였다. 통조림 식품 중 평균 중금속 함량은 납 0.10mg/kg, 카드뮴 0.04mg/kg, 주석 2.60mg/kg으로 나타났다. 육류 및 어패류 중 평균 중금속 함량은 납 0.40mg/kg, 카드뮴 0.03mg/kg이었으며 채소류에서는 납 0.03mg/kg, 카드뮴 0.02mg/kg, 수은 0.001mg/kg으로 나타났다. 어류 및 어류 통조림의 평균 수은 함량은 각각 0.08mg/kg, 0.04mg/kg이었다. 본 조사결과는 국내 외 조사에서 보고된 함량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Overview of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about Gastric Cance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 Li, Lun;Ying, Xiang-Ji;Sun, Tian-Tian;Yi, Kang;Tian, Hong-Liang;Sun, Rao;Tian, Jin-Hui;Yang, Ke-H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5호
    • /
    • pp.2069-2079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 A comprehensive overall review of gastric cancer (GC)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s a high priority, so we conducted the present study. Methods: Systematic searches in common medical electronic databases along with reference tracking were conducted to include all kinds of systematic reviews (SRs) about GC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wo authors independently selected studies, extracted data, and evaluated the methodological qualities and the quality of evidence using R-AMSTAR and GRADE approaches. Results: Beta-carotene below 20 mg/day, fruit, vegetables, non-fermented soy-foods, whole-grain, and dairy product were GC protective factors, while beta-carotene 20 mg/day or above, pickled vegetables, fermented soy-foods, processed meat 30g/d or above, or salty foods, exposure to alcohol or smoking, occupational exposure to Pb, overweight and obesity,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were GC risk factors. So we suggested screening and treating H. pylori infection, limiting the amount of food containing risk factors (processed meat consumption, beta-carotene, pickled vegetables, fermented soy-foods, salty foods, alcohol), stopping smoking, avoiding excessive weight gain, avoidance of Pb, and increasing the quantity of food containing protective components (fresh fruit and vegetables, non-fermented soy-foods, whole-grain, dairy product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of our study were limited by including SRs with poor methodological bases and low quality of evidence, so that more research applying checklists about assessing the methodological qualities and reporting are needed for the future.

식품군별 섭취중량 변화에 따른 납의 경구섭취 추정량의 경년변화 (Time Trends in Estimated Dietary Lead Intake from the Variation of Intake Weight Per Food Group)

  • 문찬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8-266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le changes over the past ten years in the estimated daily dietary lead intake (Pb-D) stemming from the variation of daily intake amounts for each food group. The following factors were considered; 1. time trends in Pb-D as the estimated values, 2. the time trend in Pb-D by food groups 3. the most influential food groups for dietary Pb intake. Methods: Estimated Pb-D was drawn from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food groups repor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nd the lead contents of each food group as reported in 23 prior publications. Results: The estimated Pb-D in a 2009 survey was 40.8 ${\mu}g/day$, of which 22.5 ${\mu}g/day$ (55.1%) was of plant origin and 18.3 ${\mu}g/day$ (44.9%) was of animal origin. Meats and poultry, fish and shellfish among foods of animal origin and beverages of plant origin had the largest contribution in Pb-D among the food groups. Conclusion: Over past ten years, daily lead intakes have slightly increased among men. Otherwise, no clear variation is apparent among women.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 탄소반죽 전극 어레이로 제작한 전자 혀 (Amperometric Electronic Tongue Based on Metal Oxide Containing Carbon Paste Electrode Array)

  • 한종호;김동선;김종식;윤인준;차근식;남학현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6-210
    • /
    • 2004
  • 금속산화물 $(TiO_2,\;RuO_2,\;PbO_2,\;Ni(OH)_2)$과 Prussian blue (PB)를 각각 탄소반죽에 혼합한 후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6종의 탄소반죽 전극들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탄소반죽 전극들로 전자혀 시스템을 제작하여 다양한 음료수와 식품에 대한 감응을 0.1M carbonate buffer, pH 9.6완충 용액에 묽힌 후 대시간전류법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주성분 분석법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으로 처리한 후 식음료의 맛을 평가할 수 있도록 2차원 좌표계에 표시하였으며, 그 결과 본 실험에서 제작한 시스템 및 분석법은 다양한 식음료의 종류를 뚜렷이 구분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고압초음파분해법을 이용한 축산물내 미량금속 잔류분석을 위한 시료전처리 방법 (A Study on Sample Preparation for the Analysis of Trace Elements in Foods of Animal Origin by Ultra High Pressure Microwave Digestion)

  • 이명헌;이희수;손성완;정갑수;박종명;김상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93-398
    • /
    • 2003
  • Simple and rapid sample preparation method for trace elements in foods of animal origin using ultra high pressure microwave digestion system (UHP/MDS)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ICP/AES) were developed. 1. For the digestion of sample using UHP-MDS, 20% nitric acid (v/v) was the most suitable solvent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foods of animal origin. 2. The optimal digestion conditions for UHP-MDS were as follows: final temperature $180^{\circ}C$, final pressure 400 PSI, and magnetic power 900 W in the solid sample. For the liquid sample final temperature $170^{\circ}C$, final pressure 300 PSI and magnetic power 700 W were optimal conditions. 3. As result of interlaboratory test,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the for solid sample were 88.3~99.1% for As, 82.4~93.3% for Cd, 89.2~101.2% for Hg and 86.5~93.8% for Pb, respectively. In liquid sample, it were 87.0~96.8% for As, 80.9~96.6% for Cd, 87.5~91.2% for Hg and 91.4~95.5% for Pb, respectively. 4. The average coefficient variation rate were 3.3~15.9% for solid sample and 2.9~10.8% for liquid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