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4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4초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nd Lower Scores in Clinical Scoring Systems for Appendicitis in Preschool Children: Comparison with School Age Onset

  • Song, Chun Woo;Kang, Joon Won;Kim, Jae Yo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1호
    • /
    • pp.51-58
    • /
    • 2018
  • Purpose: To clarify the clinical features of appendicitis in preschool children and to explore clinical appendicitis scoring systems in this age group. Methods: We retrospectively collected data on 142 children, aged 10 years or younger, with confirmed diagnosis of appendicitis based on surgical and pathologic findings. Enroll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preschool children aged ${\leq}5$ years, n=41) and Group 2 (school children aged >5 to ${\leq}10$ years, n=101). Data analyzed included clinical presentation, laboratory findings, the pediatric appendicitis score (PAS), and the modified Alvarado score (MAS). Result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was abdominal pain in both groups (92.7% vs. 97.0%). Other presenting symptoms were as follows: fever (65.9%), vomiting (68.3%), right lower quadrant (RLQ) localization (24.4%), anorexia (14.6%), and diarrhea (7.3%) in Group 1, and RLQ localization (74.3%), vomiting (71.3%), anorexia (52.5%), fever (47.5%), and diarrhea (11.9%) in Group 2. Perforation and absces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Group 1 than in Group 2 (43.9% vs. 12.9%, p<0.001; 34.1% vs. 5.0%, p<0.001; respectively). PAS and MAS were low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4.09{\pm}1.97$ vs. $6.91{\pm}1.61$, p=0.048; $4.65{\pm}1.79$ vs. $6.51{\pm}1.39$, p=0.012; respectively). Conclusion: In preschool children, appendicitis often presents with atypical features, more rapid progression, and higher incidence of complications. This age group is more likely to have lower PAS and MAS than those of school children.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몇 가지 계면활성제의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everal surfactants on barley powdery mildew caused by Erysiphae graminis)

  • 장경수;유주현;최경자;김진철;조광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1-57
    • /
    • 2001
  • Tween 20을 비롯한 8 종류의 계면활성제를 선발하여 보리흰가루병(병원균: Erysiphae graminis f.sp. hordei)에 대한 방제효과와 기존약제에 첨가하였을 때 약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0{\mu}g/mL$ 처리구에서 흰가루병에 대하여 90%의 방제효과를 보인 PNPP가 공시한 다른 계면활성제보다 높은 예방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치료효과의 실험에서는 LN 13.0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500{\mu}g/mL$의 LN 13.0은 병원균을 접종하고 4일 후에 처리하여도 흰가루병의 발병은 4.0%의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물한천배지 상에서 실시한 포자발아 억제실험에서 LN 13.0을 비롯한 공시한 모든 계면활성제는 흰가루병균의 포자 발아를 억제하였다. Triforine, triadimefon, benomyl의 처리용액을 증류수로 조제하였을 때에는 benomyl만이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효과가 없었던 triadimefon과 triforine은 LN 13.0과 Tween 20을 첨가하여 살포하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P 13.0, NP 13.0, LN 13.0, DBC 등의 계면활성제는 $1,000{\mu}g/mL$의 고농도로 보리에 처리하면 심한 약해가 유발되었으나, Tween 20, SLIS, PAS, PNPP 등은 동일한 농도에서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 Feeding Intervention on Swallowing Function and Life Quality of Stroke Patients)

  • 박진주;오명화;정현애;정상미;정복희;김승일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83-299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삼킴 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간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과 직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실험군에 5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주 5회, 회당 30분씩, 총 8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VFSS를 이용한 CDS, PAS를 중재 전과 4주 후, 8주 후에 평가하였고,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은 SWAL-QOL을 중재 전과 중재 후 2회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삼킴 기능의 집단 내 비교에서는 적용 기간에 따라 대조군은 CDS(p<.05)에서만, 실험군은 CDS, PAS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집단 간 비교에서도 CDS, PAS 모두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내 비교에서는 두 군 모두 적용기간에 따라 삶의 질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에게 중재한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증진에는 간접 삼킴 치료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지만, 삼킴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은 직접 삼킴 치료와 간접 삼킴 치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산 노랑민달팽이(Limax flavus L.)의 표피상피세포와 점액형성세포에 관한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인 연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pithelial Cells and Mucus-producing Cells of Korean Slug(Limax flavus L.))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18권2호
    • /
    • pp.1-20
    • /
    • 1988
  • The species of the slug used in the experiment is Limax flavus L. For identifying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dermis, granules and mucus-producing cell of this animal is examined with methylene blue-basic fuchsin double stain and PAS-alcian blue reagent. For the ultrastructural research of the epidermal free surface, the epitheial cell and the parenchymal cell are us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pectively. I . Epidermal tissue The epidermal tissue of the slug is observed being divided into the dorsal and the ventral side(toot pad) respectively. 1) Dorsal epidermal tissue The dorsal epidermis of the slug is constituted with the simple columnar epithelium and the microvilli are compacted on the epidermal free surface. Two different types of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neutral and the acid mucu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and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2) Foot epidermal tissue The Foot epidermis is formed with the taller simple columnar epithelium than the dorsal epidermis and these cells have both a large number of the microvilli and a few number of the large villi. The secretory granules of three different types, which are acid, neutral and mixed mucous granule of two different types are observed between the epithelial cells. The neutral mucous granules are highest electron dense but the acid mucous granules are observed to be electron-lucent. II .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and mucus-producing cells Seven different types of the granules-producing cell and the mucus-producing cells are observed between the parenchyma. 1) A-type of acid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 electron-lucent granules are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nd then the granules are surrounded by irregular membrane. These electron-lucent granules exhibit alcianophilia with PAS-alcian blue reaction, so thes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acid mucopolysaccharide. 2) B-type of acid mucus-producing cell The nucleus and the cytoplasm of these cells are pushed by the acid mucus of the electron-lucent toward the cell membrane. This mucus has been confirmed to be the acid mucopolysaccharide with PAS-alcian blue reagent. 3) A-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he electron-dense round granules with approximately $1{\mu}m$ in diameter, which exhibit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These granules are confirmed to be the neutral mucoplysaccharide. 4) B-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two different types of electron dense granules and electron-lucent granules; The former exhibits to be strongly PAS-positive and the latter to have alcianophilia reaction respectively. 5) C-type of neutral mucus-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B-type of mucus-producing cell but these two different types of cells are stained with reversing properties to each other. The mucus of the C-type cell that electron-lucent is largely occupied in the cytoplasm that exhibits strongly PAS-positive reaction. 6)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round granules about $1{\mu}m$ in size which are observed to be medium electron-dense granules and those granules are stained brightly red with PAS-weak positive reaction. The granules are certified to be neutral mucopolysaccharide. 7) E-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are similar to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D-type of neutral mucous granule-producing cell. These cells contain a large number of granules with about $1{\mu}m$ in diameter showing electron-lucent and then granules are seen to be PAS-weak positive reaction. III. Parenchyma The clear cell and dark cell are found in the parenchyma of the Limax flavus L. 1) Clear cell These cells are round formed and the nucleus of the cells are larger than cytoplasm. These cells which have the electron-lucent cytosol possess poorly developed organelles. 2) Dark cell These cells are found to be dark cells due to high electron-density, which exhibit strongly methylene-blue reaction from double stain of methylene blue-basic fuchsin.

  • PDF

Influences of Sulfate and Nitrate Application on Cadmium Sorption in Soils

  • Lee, Jin-Ho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52-357
    • /
    • 2001
  • Cadmium (Cd) has been identified as a potential contaminant in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soils. Ionic condition in the soils i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d availability.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ulfate or nitrate application on Cd sorption in acidic and calcareous soils was investigated. The Cd, sulfate $(SO_4)$, and nitrate $(NO_3)$ sources were solutions of $CdCl_2$, $K_2SO_4$, and $KNO_3$, respectively. The soil-solution system pH w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sulfate or nitrate in both acidic and calcareous soil system, but there was not clear pH difference between pre- and simultaneous applications of sulfate or nitrate (PAS/PAN or SAS/SAN). Solution ionic strength (I) values were similar between the acid and calcareous soil systems after applying the Cd even though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untreated control soils. However after applying the sulfate or nitrate, the I values increased and were always higher with SAS/SAN treatments. Solution Cd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with the application of sulfate or nitrate. However, the Cd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controlled by Cd sorption in the systems was different between PAS/PAN and SAS/SAN treatments only in the calcareous soil system, but not in the acidic soil system. The difference in Cd concentration between SAS/SAN and PAS/PAN in the calcareous systems may be caused by system pH, ionic strength, complexation, and predominately, competition of the $Cd^{2-}$ with the index $K^+$ ion. Potassium ion-Cd competition in the acidic soil system may be minimized because of the abundance of hydrogen ions.

  • PDF

창상치유시 상피조직에 관한 조직화학적 관찰 (Histochemical Observation on the Epithelial Tissue in the Wound Healing)

  • 고재승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12호
    • /
    • pp.783-786
    • /
    • 1973
  • The healing response may very with the tissue, the site and the degree of wound. the author observed histochemically the epithelial regeneration in the har palate wound of healthy male albino rats, varying in age from 120 to 150 days, and weighing about 100 gm. The deep wounds were made antero-posterior linealy by surgical knife to the depth of bone level. They were sacrified by ether anesthesia on 1, 2, 4, 7, 10 and 14 days after wounding. the staining methods used were Mcmanus' PAS reaction, Mowry's modification of the Hale reaction employing Muller's colloidal iron reagent, alloxan-Schiff reaction and hematoxylin-eosin sta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wound healing of hard palate, the epithelium had marked PAS positive reaction in the granular and the prickle cell layers on the from 2nd to 7th day. 2. Alloxan-Schiff reactions of regenerated epithelium were slightly increased on 7th day.

  • PDF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을 이용한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tic Decision Tree-based State Splitting)

  • 오세진;황철준;김범국;정호열;정현열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1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KISPS SUMMER CONFERENCE 2001
    • /
    • pp.277-2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과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문맥의존 음향모델의 작성방법을 검토하고. 한국어 연속음성인식에 적용을 소개한다.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 알고리즘은 각 노드에서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으로 구성된 음소 질의어 집합에 따라 2진 트리로 SSS(Successive State Splitting) 알고리즘에 의해 상태분할 하는 방법으로서 상태분할 후 각 상태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구조를 HM-Net(Hidden Markow Network)이라 하며 문맥의존 음향모델로 표현된다. 작성한 문맥의존 음향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실의 항공편 예약 문장(YNU200)에 대해 연속음성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식실험 결과, 문맥의존 음향모델에 대한 화자독립 연속음성인식률이 기존의 단일 HMM 모델보다 평균적으로 1-pass의 경우 9.9%, 2-pass의 경우 4.1% 향상된 인식률을 보였다. 따라서 문맥의존 음향모델을 작성하는데 음소결정트리 상태분할과 한국어 음성학적 지식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 PDF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분야 중장기 국가계획의 보호지역 관련 내용 고찰 - "생물다양성협약 2011~2020 전략목표" 및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중심으로-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 and "Protected Areas Decision")

  • 허학영
    • 환경정책연구
    • /
    • 제11권4호
    • /
    • pp.3-37
    • /
    • 2012
  • 우리나라의 국토 및 환경 분야를 다루는 다양한 국가계획에서 생물다양성 보전 및 보호지역 주요 이슈가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목표"와 "보호지역 결정문" 내용을 토대로 주요 이슈를 선정한 후, 주요 이슈별로 우리나라 국토 및 환경 관련 주요 중장기 국가계획 7개의 내용을 정리 분석하였다. 생물다양성 2011~2020 전략목표 5와 관련하여 녹지총량제, 습지총량제 등 거의 모든 국가계획에서 다양한 제도 도입과 활용을 다루고 있으며, 보호지역 확대와 관련된 전략목표 11(2020년까지 육상 육수 생태계 17%, 연안 해양 생태계 10%)의 경우 우리나라는 국토면적 대비 보호지역 15%(2015년), 연안 해양보호구역 13%(2015년, 2020년)로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보호지역 결정문의 주요 권고사항인 국가별 보호지역 실행프로그램(PoWPA)의 장기 이행계획 수립 개정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고 있으나, 관심이 필요한 10가지 보호지역 이슈에 대해서는 각종 국가계획에서 다양하게 다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내용의 충분성 및 국가 계획별 상호 연계성 등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특히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의 경우 당사국에 2015년까지 국가 보호지역의 60%까지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각종 국가계획에서 이에 대한 직접적 기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찰내용을 토대로 한 제안사항은 (1) "국토종합계획"에서 자연환경 보전이 국가경쟁력의 주요 요소임을 인지하고 생물다양성 및 보호지역 이슈에 대한 내용 강화, (2) 관련 국가계획들간의 상호 연계성 강화를 통한 효과적인 국가 보호지역 목표 성취를 위해 국가 환경 분야의 최상위 국가계획에서 범부처 차원의 "국가 보호지역시스템 계획" 수립, (3) 국가차원의 "보호지역실행프로그램 중장기 이행계획" 수립, (4) 각종 국가계획에 "생물다양성 전략목표"와 관련된 성과목표 설정과 보호지역결정문에서 권고하고 있는 주요 이슈들 중 관리효과성평가 등 미흡한 분야에 대한 내용 강화이다.

  • PDF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에서 Epidermal Growth Factor 수용체의 발현과 배상 세포 이형성과의 관계 (Rel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xpression to Goblet Cell Dysplasia in Diffuse Panbronchiolitis)

  • 정기환;이승헌;김병규;공회상;김제형;박상면;신철;심재정;인광호;김한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37-45
    • /
    • 2002
  • 연구배경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은 임상적으로 기침, 객담 및 노작성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하며 기관지확장증으로 진행하는 만성 염증성 폐질환이다. 기관지확장증의 발생 기전은 정액 과다분비 및 배상세포의 이형성과 동반된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조절되며 이 과정에서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에서의 배상세포의 이형성과 EGFR의 발현, 호중구에 의한 염증성 매개물질 사이의 연관을 살펴보았다. 방 법 : 13명의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군과 6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점액 과다분비에 대한 EGFR의 역할을 보기 위해 alcian blue/periodic acid(AB/PAS) 염색과 MUC5AC, EGFR, CD16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 환자군의 AB/PAS 염색과 MUC5AC 염색 정도는 $8.31{\pm}3.36%$, $11.46{\pm}4.68%$ 이었고, 정상 대조군의 AB/PAS 염색과 MUC5AC 염색은 $50.5{\pm}5/77%$, $53.3%{\pm}6.67%$로 정상 대조군에서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EGFR의 발현은 환자군에서는 $9.54{\pm}4.95%$이었으나 정상 대조군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호중구 침윤은 환자군에서 $71.92{\pm}3.71$HPF 이었고, 정상 대조군에서는 $45.0{\pm}5.73$/HPF로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2). 결 론 : 미만성 범세기관지염에서 EGFR의 발현이 점액 과다 분비와 배상세포의 이형성 및 호중구성 염증과 연관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굴에 기생하는 Amoeba에 대하여 (AMOEBA INFECTION IN OYSTER (CRASSOSTREA GIGAS))

  • 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1-285
    • /
    • 1979
  • 거제만의 수하식 양식굴에서 난소의 이상발육과 팽융된 부분이 관찰되었다. 1978년 $9\~10$월과 1979년 10월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개지점중 화도와 송구에서만 $6.3\~13.3\%$ 검출 되었다. 2) amoeba에 기생된 굴의 무게는 $6.2\~7.0g$이다. 3) 기생된 굴은 수심에 관계없이 상${\cdot}$${\cdot}$하층에서 다 검출되었다. 4) 난세포에서만 검출되며 amoeba의 크기는 $3\~23\mu$이다. 5) 난세포내에는 $1\~3$개체의 amoeba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6) amoeba는 PAS 염색 e양성이며 Eosin에 잘 염색된다. 7) amoeba의 형태와 성상이 Swayer가 보고한 Acanthamoeba sp.와 유사했다. 8) 순수배양하여 형태변화를 봐 고정하고저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