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43

검색결과 7,650건 처리시간 0.038초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경두개직류전기자극이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 김기도;심기철;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282
    • /
    • 2011
  •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tDCS의 자극 적용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앞다리 운동감각 기능변화와 신경영양인자(GAP-43)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손상 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쥐 80마리를 'Longa'방법을 이용하여 중대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을 폐색하여 유발하였고, 실험군을 4개로 나누었다; 실험군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군(n=20), 실험군II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10분) 적용군(n=20), 실험군III은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20분) 적용군(n=20), 실험군IV는 허혈성 뇌손상 유발 후 tDCS(30분) 적용군(n=20)으로 나누었다.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검사를 위해 수정된 앞다리배치 검사와 단일 팰릿 닿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신경가소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로 운동감각 영역에서의 GAP-4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하였다. 앞다리운동감각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 (p<0.05)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일 팰릿 닿기 검사는 14일에서 실험군III(p<0.01)과 실험군IV(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면역조직학적 검사는 14일에 실험군III이 다른 군들에 비해 현저한 면역양성반응의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0.1 mA의 강도로 20분간 적용했을 때가 앞다리운동감각 기능과 신경가역성 인자 GAP-43 발현에 가장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p-ADIC q-HIGHER-ORDER HARDY-TYPE SUMS

  • SIMSEK YILMAZ
    • 대한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1-131
    • /
    • 2006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fine p-adic Hardy sums and p-adic q-higher-order Hardy-type sums. By using these sums and p-adic q-higher-order Dedekind sums, we construct p-adic continuous functions for an odd prime. These functions contain padic q-analogue of higher-order Hardy-type sums. By using an invariant p-adic q-integral on $\mathbb{Z}_p$, we give fundamental properties of these sums. We also establish relations between p-adic Hardy sums, Bernoulli functions, trigonometric functions and Lambert series.

Bacillus sp. JK-43의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에 의한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생산에 관한 연구 (Production of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by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from Bacillus sp. JK-43)

  • 전홍기;배경미;김영희;김성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9-56
    • /
    • 2000
  • The 2-O-$\alpha$-D-glucopyranosyl L-ascorbic acid (AA-2G) which was enzymatically glucosylated with the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EC 2.4.1.19] from Bacillus sp. JK-43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The presnet experiments examined the optimal conditons for the productio of AA-2G from AA and soluble starch, and characterized the properties of the CGTase from Bacillus sp. JK-43. The reaction mixture for the maximal production of AA-2G was followings; 12% total substrate concentration, 1,400 usits/mL of CGTase and a mixing ratio of 2 : 3(g or AA : g of soluble starch). Under this condition, 1.76mM of AA-2G, which corresponded to 2.53% yield based on AA, was produced after incubation for 24hrs at 45$^{\circ}C$ (pH 5.5).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CGTase activity were 6.0 and 45$^{\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stable at pH 5.5 to 9.5, and at temperature up to 5$0^{\circ}C$. The thermostability of the enzyme could be enhanced up to 6$0^{\circ}C$ by the addition of 30mM CaCl2.

  • PDF

The Combined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s and Aspirin on Viability of SK-N-MC, Neuroblastoma Cell Line in Hypoxia and Reperfusion Condition

  • Moon, Sung-Hwan;Lee, Yong-Jik;Park, Soo-Yong;Song, Kwan-Young;Kong, Min-Ho;Kim, Jung-H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1호
    • /
    • pp.13-19
    • /
    • 201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ginkgolide A and B and aspirin on SK-N-MC, human neuroblastoma cell viability and mRNA expression of growth associated protein43 (GAP43),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2 (MAP2), B-cell lymphoma2 (Bcl2) and protein53 (p53) gene in hypoxia and reperfusion condition. Methods: SK-N-MC cells were cultured with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edia in $37^{\circ}C$, 5% $CO_2$ incubator. The cells were cultured for 8 hours in non-glucose media and hypoxic condition and for 12 hours in normal media and $O_2$ concentration. Cell survival rate was measured with Cell Counting Kit-8 (CCK-8) reagent assay.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estimate mRNA levels of GAP43, MAP2, Bcl2, and p53 genes. Results: The ginkgolide A and B increased viable cell number decreased in hypoxic and reperfused condition.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B with aspirin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viable cells, however, there was no additive effect. Although there was no increase of mRNA expression of GAP43, MAP2, and Bcl2 in SK-N-MC cells with individual treatment of ginkgolide A, B or aspirin in hypoxic and reperfused condition,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A or B with aspirin significantly increased GAP43 and Bcl2 mRNA levels. In MAP2, only the co-treatment of ginkgolide A and aspirin showed increasing effect. The mRNA expression of p53 had no change in all treating condi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ed treatments of Ginkgo biloba extracts and aspirin increase the regeneration of neuroblastoma cells injured by hypoxia and reperfusion.

Bacillus Subtilis W700에서의 Staphylpkinase 대량생산을 위한 배지 최적화 및 배양방법의 비교 (Media Optimization and Comparison of Fermentation Type for Overproduction of Staphylodinase in Bacillus subtilis WB700)

  • 박인석;김병기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15-419
    • /
    • 2001
  • Bacillus subtilis WB700에서 P43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staphylokinase를 생산하기 위하여 배지 최적화 및 회분식 배양과 유가식 배양 두가지 시스템을 비교하였다. 여러 가지 질소윈 중에서는 tryptone이 가장 좋은 질소원 이었으며, MSR 배지를 사용한 경우 tryptone 15 g/L일 경우에 최적조건임을 알아내었다. MSR 배지에시 포도당을 제한 기질로 사용할 경우는 5 g/L일 때가 SAK의 발현에 최적 조건이었다. MSR 배지를 기본으로 이용하여 포도당 공급을 조절함으로서 발효조 내의 DO를 30%로 유지한 결과 오히려 MSR 배지를 이용하여 회분식 발효를 한 경우보다 좋지 못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B. subtilis 숙주의 영양요구적 특이성과 P43 promoter의 stress 발생시 주 발현되는 특성 등에 기인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MSR 배지를 이용하여 회분식 발효를 하였을 때 SAK 활성은 2880 unit이었고, 이때 배지 내로 분비된 SAK 농도는 455 mg/L이었다.

  • PDF

APPLICATIONS ON FOURTH-ORDER DIFFERENTIAL SUBORDINATION FOR p-VALENT MEROMORPHIC FUNCTIONS

  • Atshan, Waggas Galib;AL-Ameedee, Sarah A.;AL-Maamori, Faez Ali;Altinkaya, Sahsene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43권3호
    • /
    • pp.513-522
    • /
    • 2021
  • In this current study, we aim to give some applications on fourth-order differential subordination for p-valent meromorphic functions in the region U* = {z ∈ ℂ : 0 < |z| < 1} = U∖{0}, where U = {z ∈ ℂ : |z| < 1} , involving the linear operator 𝓛*pf. By making use of basic concepts in theory of the fourth-order, we find new outcomes.

강황과 울금으로부터 추출된 커큐민의 색도분석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최적화 (Chromaticity Analysis of Curcumin Extracted from Curcuma and Turmeric: Optimiz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유봉호;장현식;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21-4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색소인 커큐민을 포함하고 있는 천연물인 강황과 울금으로부터 황색색소(목표색, L = 87.0, a = 7.43, b = 88.2)를 추출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반응표면분석법에 사용될 계량인자의 범위는 두 천연물 모두 pH (3~7), 추출온도($40{\sim}70^{\circ}C$)로 설정하였다. 목표색에 가장 근접한 최적추출조건을 얻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접목하여 추출공정을 최적화하였다. 결과값 및 회귀방정식을 통해 주효과도 및 교호효과도를 분석해 강황 및 울금의 색공간과 색차는 b 값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았다. 또한 반응치인 색좌표 L, a, b를 모두 만족하는 최적조건은 강황의 경우 pH = 3.43, 추출온도 $54.8^{\circ}C$에서의 이론적 수치 L (74.67), a (5.69), b (70.08)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실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L (72.92), a (5.32), b (72.17)로 측정되었다. 울금의 경우에는 pH = 5.22, 추출온도 $50.4^{\circ}C$에서의 이론적 수치 색좌표는 L (82.02), a (7.43), b (72.86)이었으며, 실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L (81.85), a (5.39), b (71.58)로 나타나 두 경우 모두 1% 이내의 오차범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연원료의 색소추출공정의 최적화 과정으로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적용할 경우 낮은 오차율을 얻을 수 있었다.

Cellulosimicrobium sp. YB-43에 의해 생산되는 2종류 β-mannanase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two β-mannanases from Cellulosimicrobium sp. YB-43)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63-270
    • /
    • 2015
  • 탄소원으로 Avicel이 첨가된 배지에서 공주에 소재한 밤 나무 농장의 토양 미생물을 증균 배양하여 mannanas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YB-43의 16S rDNA 서열은 Cellulosimicrobium 속 균주와 유사도가 99.6% 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ocust bean gum (LBG)이나 konjac이 첨가된 배지에서 분리균의 mannanase 생산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0.7% LBG가 첨가된 LB 배지에서 Cellulosimicrobium sp. YB-43이 균체외로 생산한 mannanase를 DEAE-Sepharose와 Q-Sepharos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부분 정제하여 mannanase A (ManA)와 mannanase C (ManC)로 분획하였다. ManA는 $55^{\circ}C$와 pH 6.5, ManC는 $65^{\circ}C$ pH 7.5에서 최대활성을 보였으며, ManA는 $40^{\circ}C$ 이하에서 1시간 동안 실활되지 않았으나 ManC는 $20^{\circ}C$에서도 상당량 실활되었다. 또한 ManA와 ManC는 기질특이성과 mannooligosaccharides의 최종 분해산물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Cellulosimicrobium sp. YB-43은 특성이 서로 다른 2종류 mannanases를 생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