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3G

검색결과 15,759건 처리시간 0.039초

Clinical Features of Severely Constipated Children: Comparison of Infrequent Bowel Movement and Fecal Soiling Groups

  • Lee, Gyung;Son, Jae Sung;Bae, Sun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1호
    • /
    • pp.26-34
    • /
    • 2020
  •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tic findings, and medications of children with infrequent bowel movements or fecal soiling. Methods: This study enrolled 333 children (189 male; age range, 1 month to 18 years) diagnosed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by Rome III or IV criteria. We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infrequent bowel movement without fecal soiling [G3-a], infrequent bowel movement with fecal soiling [G3-b], and fecal soiling only [G3-c]) and into 2 subgroups of fecal soiling (G2-b) or not (G2-a). Retrospective data on clinical characteristics, colon transit time (CTT) test results, and medications were collected. The Wilcoxon rank-sum test, Kruskal-Wallis 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dian age (months) and interquartile range (IQR) was 33 (45) in G3-a, 54 (40) in G3-b, and 73 (48) in G3-c (p<0.0001). G3-c had the latest onset (median, 18; IQR, 18; p=0.0219) and longest symptom duration (24 [24], p=0.0148). PEG 4000 was used in 60.6% (G3-a), 96.8% (G3-b), and 83.2% (G3-c) of patients (p<0.0001). The median age (months) and IQR were 33.0 (45.0) in G2-a and 63.5 (52.5) in G2-b (p<0.0001). G2-b had later onset (median, 12; IQR, 19.5; p=0.0062) and longer symptom duration than G2-a (24 [12], p=0.0070). PEG 4000 was used in 60.6% (G2-a) and 88.3% (G2-b) of children (p<0.000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een in maintenance laxative dose, CTT, or CTT type. Conclusion: Infrequent bowel movement and fecal soiling represent the advanced stage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양이온 교환 및 염 함침을 통한 메조다공성 실리카와 유기-금속 구조체의 수분 흡착 특성 조절 (Control of Water-Adsorption Properties of Mesoporous Silica and MOF by Ion Exchange and Salt Impregnation)

  • 이은경;조강희;김상겸;임종성;김종남
    • 청정기술
    • /
    • 제24권1호
    • /
    • pp.55-62
    • /
    • 2018
  • $90^{\circ}C$ 이하의 저온열원 구동 수분 흡착식 냉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흡착제는 효과적인 냉열 생산을 위해서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높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보이는 것이 좋다. 메조다공성 실리카(MCM-41)와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MIL-101) 의 경우 최대 수분 흡착량은 많지만 상대습도($P/P_0$) 0.1 ~ 0.3 구간에서 각각 $0.027{g_{water}\;g_{ads}}^{-1}$, $0.074{g_{water}\;g_{ads}}^{-1}$의 낮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메조다공성 실리카와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의 표면 성질을 조절하여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를 증가시켰다. 주로 수분 흡착이 상대습도($P/P_0$) 0.5 ~ 0.7에서 일어나는 메조 다공성 실리카의 경우 알루미늄을 관능화 시킨 후에 염기도가 다른 여러 양이온($Na^+$, ${NH_4}^+$, $(C_2H_5)_4N^+$)들로 교환하거나 염($CaCl_2$)을 20 wt% 함침하여 각각의 흡착제들에 대해 $35^{\circ}C$에서 수분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양이온 교환 후 수분 흡착이 주로 일어나는 구간이 상대습도($P/P_0$) 0.5 부근으로 이동하였으나 여전히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낮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보였다. 하지만 흡습성을 갖는 염($CaCl_2$)을 20 wt% 함침한 메조다공성 실리카는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가 $0.027{g_{water}\;g_{ads}}^{-1}$에서 $0.152{g_{water}\;g_{ads}}^{-1}$으로 증가하였다. 수분 흡착이 상대습도($P/P_0$) 0.3 ~ 0.5에서 주로 일어나는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에도 염($CaCl_2$)을 20 wt% 함침하였더니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가 $0.330{g_{water}\;g_{ads}}^{-1}$까지 증가하였다.

다양한 깔짚 첨가제 이용이 단 기간 깔짚내 pH와 수용성 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from Litter Using Various Poultry Litter Amendments During Short-Term: A Laboratory Experiment)

  • 최인학;이성준;김창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3-23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ultry litter amendments on pH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in poultry litter. Two laboratory studies were conducted for 42 d in Exp. 1 and for 10 d in Exp. 2, respectively. The poultry litter was treated with various amendments which included 4 g fly ash and 4 g $AlCl_3\;(AlCl_36H_2O)/100g$ litter in Exp. 1 and 4 g alum$(Al_2(SO_4){_3}\;14H_2O)$, 8 g alum, 8.66 g liquid alum, and 17.3 g liquid alum/100 g litter in Exp. 2; untreated litter served as control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H between control and T1(4 g fly ash) and SRP contents between T1(4 g fly ash) and T2(4 g $AlCl_3$) in Exp. 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SRP contents in Exp. 2 was observed among all treatments(P< 0.05). In experiment 1, T1(4 g fly ash) and T2(4 g $AlCl_3$) at 42 d decreased SRP in litter by 47.1% and 62.6% of that from litter alone,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T1(4 g alum), T2(8.66 g liquid alum), T3(8 g alum), and T4(17.3 g liquid alum) treatments at 10 days reduced SRP contents by up to 36.2%, 62.9%, 87.0%, and 83.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s. Decrease in SRP contents was chiefly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litter 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se of various litter amendments to limit P solubility has potential and should be pursued as a means of reducing soluble reative phosphorus during short term.

Comparison of Genetic Profiles and Prognosis of High-Grade Gliomas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RI Features: A Focus on G3 Gliomas

  • Eun Kyoung Hong;Seung Hong Choi;Dong Jae Shin;Sang Won Jo;Roh-Eul Yoo;Koung Mi Kang;Tae Jin Yun;Ji-hoon Kim;Chul-Ho Sohn;Sung-Hye Park;Jae-Kyoung Won;Tae Min Kim;Chul-Kee Park;Il Han Kim;Soon-Tae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2호
    • /
    • pp.233-242
    • /
    • 2021
  • Objectiv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MRI features with the major genomic profiles and prognosi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grade III (G3) gliomas compared with those of glioblastomas (GBMs).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76 G3 glioma and 155 GBM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disease who had pretreatment brain MRI and major genetic information of tumor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aging features, including volumetrics and histogram parameters, such as normalized cerebral blood volume (nCBV), cerebral blood flow (nCBF),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nADC) were evaluated. The G3 glioma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or the analysis: with this isocitrate dehydrogenase (IDH)-mutation, IDH mutation and a chromosome arm 1p/19q-codeleted (IDHmut1p/19qdel), IDH mutation, 1p/19q-nondeleted (IDHmut1p/19qnondel), and IDH wildtype (IDHwt). A prediction model for the genetic profiles of G3 glioma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on a separate cohort.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aging parameters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of G3 gliomas were compared and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Moreover, the imaging parameters and PFS between IDHwt G3 gliomas and GBMs were compared. Results: IDHmut G3 gliomas showed a larger volume (p = 0.017), lower nCBF (p = 0.048), and higher nADC (p = 0.007) than IDHwt. Between the IDHmut tumors, IDHmut1p/19qdel G3 gliomas had higher nCBV (p = 0.024) and lower nADC (p = 0.002) than IDHmut1p/19qnondel G3 gliomas. Moreover, IDHmut1p/19qdel tumors had the best prognosis and IDHwt tumors had the worst prognosis among G3 gliomas (p < 0.001). PF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95th percentile values of nCBV and nCBF in G3 gliom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ither PFS nor imaging features between IDHwt G3 gliomas and IDHwt GBMs. Conclusion: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RI features, including volumetrics, CBV, and ADC, in G3 gliomas, according to IDH mutation and 1p/19q codeletion status, which can be utilized for the prediction of genomic profiles and the prognosis of G3 glioma patients. The MRI signatures and prognosis of IDHwt G3 gliomas tend to follow those of IDHwt GBMs.

거세 한우 육성우 사육밀도가 채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Stocking Density on Eating Behavior of Hanwoo Steers (Bos taurus coreanae) During Growing Period)

  • 이상무;장재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89-496
    • /
    • 2011
  • 본 연구는 거세 한우 육성우에 사육밀도가 채식 및 반추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한우는 12~13개월령으로서 평균체중이 314~355 kg으로서 총 30두를 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이때 처리구 당 우사면적은 공히 $4{\times}8m=32m^2$으로서 각각 32 $m^2$ 면적에 1두(1G), 2두(2G), 3두(3G) 및 4두(4G)씩 배치하여 48시간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총 사료 섭취량은 1G에 비하여 2G, 3G, 4G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사료 채식량은 1G에 비하여 2G, 3G 및 4G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농후사료 채식 시간은 1G > 2G > 3G > 4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사료 채식시간은 3G > 1G > 2G > 4G 순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채식시간(농후사료+조사료)은 농후사료와 조사료 채식시간이 길었던 1G에서 335.6분으로 가장 높게 4G가 233.9분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추시간 중 서서반추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누워서 반추 4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반추시간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서휴식은 4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누워서 휴식은 2G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저작시간(채식시간+반추시간)은 채식과 반추시간이 길었던 3G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적으로 반추시간과 채식시간이 짧았던 4G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식괴수, 총 저작수, 식괴당 반추시간 및 분당 식괴수는 처리구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식괴당 저작수는 1G에 비하여 2G, 3G, 4G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음용회수 및 분 배설행동에 있어서는 개체간 차이가 높은 원인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1G에서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그리고 배뇨횟수는 1G > 4G > 2G > 3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채식율과 저작효율에 있어서는 4G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1, 0.05).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4G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채식시간 및 저작시간은 짧았지만, 채식율 및 저작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MBINATORIAL PROOF FOR e-POSITIVITY OF THE POSET OF RANK 1

  • Lee, Jaeji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6권3호
    • /
    • pp.425-437
    • /
    • 2008
  • Let P be a poset and G = G(P) be the incomparability graph of P. Stanley [7] defined the chromatic symmetric function $X_{G(P)}$ which generalizes the chromatic polynomial ${\chi}_G$ of G, and showed all coefficients are nonnegative in the e-expansion of $X_{G(P)}$ for a poset P of rank 1.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sign reversing involution on the set of special rim hook P-tableaux with some conditions. It gives a combinatorial proof for (3+1)-free conjecture of a poset P of rank 1.

  • PDF

Expression of Glypican-3 in Mouse Embryo Stem Cells and its Derived Hepatic Lineage Cells Treated with Diethylnitrosamine in vitro

  • Kim, Young Hee;Kang, Jin Seo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341-6345
    • /
    • 2013
  • To clarify the role of stem cells in hepatocarcinogenesis, glypican-3 (GPC-3) and E-cadherin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n embryonic cell lineages. Mouse embryonic stem cells (ESCs), hepatic progenitor cells (HPCs) and hepatocyte like cells (HCs), representing 0, 22 and 40 days of differentiation, respectively, were treated in vitro with diethylnitrosamine (DEN) at four doses (0, 1, 5 and 15 mM;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for 24 h and GPC-3 and E-cadherin expression was examined by relative quantitative real-time PCR and immunocytochemistry. GPC-3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G4 at day 0 (p<0.001) and for G4 at day 22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1). E-cadherin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G3 and G4 at day 0 (p<0.05 and p<0.001, respectively), for G2 and G4 (p<0.05 and p<0.001, respectively) at day 22 and for G2 and G4 (p<0.01 and p<0.001, respectively) at day 40 compared with G1.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or GPC-3 showed a membranous and/or granular expression in cytoplasm of ESCs and HPCs and granular and/or diffuse expression in cytoplasm of HCs, which were also stained by E-cadherin. DEN treatment increased GPC-3 expression in ESCs, HPCs and HCs, with increase of E-cadherin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 expression of GPC-3 was altered by DEN treatment. However, its expression pattern was different at the stage of embryo stem cells and its derived hepatic lineage cells. This suggests that GPC-3 expression may be modulated in the progeny of stem cells during their differentiation toward hepatocytes, associated with E-cadherin expression.

솔잎가루를 첨가한 솔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텍스쳐 특성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 이효지;한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4-172
    • /
    • 2002
  • 멥쌀가루에 첨가되는 솔잎가루의 양, 당의 종류와 양, 물의 양의 차이가 솔설기의 관능적 특성과 텍스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능평가 결과, 색과 향기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10.5g(3%),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3S)이 유의하게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고(p〈0.05), 거친정도, 촉촉한정도, 쫄깃한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1를 첨가한 군(A01H)이 유의하게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p〈0.05), 단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2S)이 유의하게 가장 달다고 평가되었다(P<0.05). 바람직한 정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1를 첨가한 군(A01H)이 유의하게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p〈0.05). 솔잎가루 1, 2, 3% 첨가한 순으로 좋다고 평가되었으며, 선호도가 높게 평가된 솔설기가 grain이 곱고, moistness가 촉촉하고, chewiness가 쫄깃거렸다. 2. 기계적검사 결과 탄력성, 응집성, 견고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설탕 60g을 첨가한 군(A01S)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씹힘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올리고당 90ml를 첨가한 군(A02O)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점착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올리고당 90m1를 첨가한 군(A01O)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p〈0.05), 부착성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7g(2%), 꿀 80ml를 첨가한 군(A02H)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다(P<0.05). 3. 수분함량은 멥쌀가루 33.2%, 솔잎가루 2.6% 였고 37∼40% 정도라야 바람직한 솔설기라고 평가되었다. 4. 색도측정 결과 L값(Lightness)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1%), 꿀 80ml를 첨가한 군(A01H)이 가장 밝았으며, a값(Redness)과 b값(Yellowness) 은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10.5g(3%), 설탕 60g을 첨가한 군(AO3S)이 가장 높아 red와 yellow에 가까웠다(p〈0.05).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솔설기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멥쌀가루 350g에 솔잎가루 3.5g, 꿀 80m1, 소금 3.5g, 물 20m1를 넣고 찐 떡이었으며, 수분함량은 37.1% 였다. 솔잎은 약재로 여러 질병의 치료나 구황식푼으로 많이 상용해 왔는데, 솔잎을 떡에 첨가하여 음식으로 섭취할 수 있는 솔설기를 개발함으로서 일상적인 기능성 음식으로 솔설기가 널리 보급되었으면 하고 기대한다.

흰쥐의 신허혈에서 HPLC를 이용한 핵산대사산물의 분석 (Analysis of Nucleotides and Their Derivatives in Renal Tissue of Rat during Ischemia by HPLC)

  • 김성용;김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90-101
    • /
    • 1992
  • 흰쥐 신동맥 결찰로 허혈을 유도하여 허혈상태의 핵산 및 핵산 대사산물의 변화가 정상조직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nucleotides를 분리하고 분석 및 정량한 결과이다. 60분간의 허혈후 핵산 및 핵산 대사산물의 변화를 보면 조직 1 gram당의 IDP농도는 대조군 $217.4{\pm}12.68{\mu}g$에서 $80.7{\pm}18.39{\mu}g$으로(P<0.01), ATP는 $307.2{\pm}56.63{\mu}g$에서 $47.6{\pm}5.95{\mu}g$으로(P<0.01), ADP+AMP는 $227.1{\pm}7.98{\mu}g$에서 $61.4{\pm}3.92{\mu}g$으로(P<0.01), $NAD^+$ $217.9{\pm}4.49{\mu}g$에서 $126.6{\pm}10.44{\mu}g$으로(P<0.01), GTP는 $202.5{\pm}23.76{\mu}g$에서 $117.7{\pm}14.24{\mu}g$으로(P<0.05), GMP는 $54.5{\pm}9.03{\mu}g$에서 $23.7{\pm}0.46{\mu}g$으로(P<0.05), 그리고 inosine은 $16.6{\pm}3.45{\mu}g$에서 $7.8{\pm}0.87{\mu}g$으로(P<0.05)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hypoxanthine은 $113.0{\pm}15.58{\mu}g$에서 $159.7{\pm}12.07{\mu}g$으로(P<0.05), xanthine은 $87.7{\pm}6.77{\mu}g$에서 $173.1{\pm}12.52{\mu}g$으로(P<0.01)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허혈의 지속시간에 따른 변화는 ATP가 10분에 대조군의 39.9%, 30분에 19.8% 그리고 60분에 15.5%로 감소하였으며, ADP+AMP는 10분에 70.3%, 30분에 67.3%, 60분에 27.0%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hypoxanthine과 xanthine은 각각 10분에 121.5%와 127.1%로, 30분에 126.0%와 174.4%로, 그리고 60분에 141.4%와 197.3%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허혈 60분동안 고 에너지원인 adenosine nucleotide의 총량은 대조군의 20.3%로 감소하였고, purine nucleotide의 대사산물인 hypoxanthine과 xanthine의 총량은 157.5%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쥐의 허혈 신조직에서의 핵산 및 그 대사산물의 농도는 허혈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유용한 지표라고 생각된다.

  • PDF

서울지역 급성위장관염 환자 및 지하수에서 분리한 A형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Genotype of Group A Rotavirus Isolated in Acute Gastroenteritis Patients and Groundwater in Seoul, Korea)

  • 김은정;김무상;채영주;천두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3-327
    • /
    • 2011
  •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위장관염 환자에 대하여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총 1,916건 중 로타바이러스는 354건(18.4%)이 검출되었다.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6G[4] (35%), P8G[3] (28%), P8G[1] (24%), P4G[2] (10%), P8G[9] (3%)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지하수 70지점을 대상으로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2 지점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으며,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8G[3]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울지역 로타바이러스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