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P heavy flow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인회석 및 생선뼈를 이용한 일광광산 AMD 처리 현장실험 (Field Experiment on AMD Treatment Using Apatite and Fish Bone at the Ilkwang Mine)

  • 최정찬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5호
    • /
    • pp.563-57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광폐동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AMD)내의 중금속에 대한 천연물질인 인회석 및 생선뼈의 현장에서의 제거효율을 평가하고 실내실험 견과와 비교하는 것이다. 현장실험 기간은 약 한 달이었으며 유속은 2.53-12.8 l/min 이었다. 현장실험 결과, 중금속 제거율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As, Fe 및 Pb는 인회석 및 생선뼈와 반응한 물 모두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그 외 Al, Cd, Cu 및 Zn은 생선뼈와 반응한 물이 인회석과 반응한 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소의 경우 실내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소의 경우 평균제거율이 $84\%$로 생선뼈의 평균제거율 $7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회석/생선뼈 및 AMD와 화학반응에 의해 형성된 인산염 침전물의 경우, 인회석 및 AMD와의 반응생성물은 가루형태이나, 생선뼈 및 AMD의 반응생성물은 슬러지 형태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결과에 의하면 인회석은 광범위한 pH영역에서 광산배수의 침전제로 사용될 수 있고, 생선뼈는 pH가 낮은 고농도로 오염된 AMD에 사용하는 게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음식쓰레기의 퇴비화공정의 적정운전조건 검토 (The study of Efficient Treatment Conditions on the Composting of Foodwaste)

  • 강창민;김병만;정일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2호
    • /
    • pp.117-124
    • /
    • 2003
  • 음식물쓰레기 이용 퇴비화의 운전 및 염분저감을 위한 적정조건 검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이하의 결과를 얻었다. 음식쓰레기와 톱밥을 7:3, 6:4, 5:5, 4:6, 3:7 비율로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6:4에서 가장 안정화된 퇴비가 생산될 수 있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 톱밥의 혼합비가 7:3 및 음식물쓰레기 : 왕겨의 혼합비가 6.5 : 3.5 와 6:4의 경우는 초기 C/N비 자체가 낮게 나타나 적정 퇴비화를 이룩하기 어려웠다. Agent로 톱밥을 혼합한 경우와 왕겨를 혼합한 경우 모두 pH가 급격히 상승하다가 안정화되어 7.5~8.5를 유지하였다. 수분함량은 왕겨를 사용한 경우가 톱밥을 사용한 경우보다 수분감량율이 높게 나타나 톱밥보다 공극율 및 통기성이 원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톱밥대체제로 이용가능 했다. 탄소화합물 함량은 톱밥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혼합 비율이 낮을수록, 왕겨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혼합 비율이 높을수록 높았다. 유해성분(납외7종)은 비료기준치 이하를 나타내 안전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염분의 경우 0.43-0.46%을 나타내어 비료기준치(1%)의 1/2로 저감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에 있어 음식물쓰레기와 Agent의 혼합비가 6:4 일 때, Agent로는 왕겨보다 톱밥을 혼합할 때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of Unani Formulations in Abnormal Uterine Bleeding due to Endometrial Hyperplasia

  • Abothu Suhasini;Wasia Naveed;Arshiya sultana;Shahzadi Sultana
    • 셀메드
    • /
    • 제13권14호
    • /
    • pp.19.1-19.16
    • /
    • 2023
  • Objectives: To compare the efficacy of polyherbal Unani formulations in heavy menstrual bleeding due to endometrial hyperplasia. Methodology: A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ative trial was conducted at Govt. Nizamia Tibbi College. Group A (n=20) received Itrifal Aftimoon 5g orally BID from menstruation day 3 to day 21 plus suprapubic Marham Dakhilyun application and per vaginally Marham Dakhilyun (5g) and Roghan Gul (10ml) application from menstruation day 5 to day 14. Group B (n=20) received Gulnar Farsi (2g), Phitakri Biryan (0.25g), Dammul Aqwain (0.25g), and Geru (2g), 2.5g powder orally BID, menstruation day 3 for 20 days plus Douche Bargh Sambhalu then Ḥamūl of Safuf Mazu (2g), Kalijiri (2g) and Roghan Gul (10ml) from menstruation day 3 to day 12 for 3 consecutive cycles. The primary outcome was pelvic ultrasound findings of endometrial thickness. The secondary outcome measures were improvement in haemoglobin percentage, change in menstrual flow and menstrual pattern.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5%. Results and conclusion: The intragroup comparison showed that the mean endometrial thickness at baseline and after treatment in groups A and B was extremely significantly different (P<0.0001). The intragroup comparison showed the mean haemoglobin percent at baseline and after treatment in group, 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001). After treatment, 50% and 60% of participants had normal duration and menstrual blood loss after treatment from baseline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However, further, phase II and III randomized standard controlled trials in larger samples are recommended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se group medicines.

Investigation of the hydrogen production of the PACER fusion blanket integrated with Fe-Cl thermochemical water splitting cycle

  • Medine Ozkaya;Adem Acir;Senay Yalc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1호
    • /
    • pp.4287-4294
    • /
    • 2023
  • In order to meet the energy demand, energy production must be done continuously. Hydrogen seems to be the best alternative for this energy production, because it is both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newable energy source. In this study, the hydrogen fuel production of the peaceful nuclear explosives (PACER) fusion blanket as the energy source integrated with Fe-Cl thermochemical water splitting cycle have been investigated. Firstly, neutronic analyzes of the PACER fusion blanket were performed. Necessary neutronic studies were performed in the Monte Carlo calculation method. Molten salt fuel has been considered mole-fractions of heavy metal salt (ThF4, UF4 and ThF4+UF4) by 2, 6 and 12 mol. % with Flibe as the main constituent. Secondly, potential of the hydrogen fuel production as a result of the neutronic evaluations of the PACER fusion blanket integrated with Fe-Cl thermochemical cycle have been performed. In these calculations, tritium breeding (TBR), energy multiplication factor (M), thermal power ratio (1 - 𝜓), total thermal power (Phpf) and mass flow rate of hydrogen (ṁH2) have been computed. As a results, the amount of the hydrogen production (ṁH2) have been obtained in the range of 232.24x106 kg/year and 345.79 x106 kg/year for the all mole-fractions of heavy metal salts using in the blanket.

The Effect of Rainfall on the Water Quality of a Small Reservoir (Lake Wangkung, Korea)

  • Hwang, Gil-Son;Kim, Jae-Ok;Kim, Jai-Ku;Kim, Young-Chul;Kim, Bom-Chul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39-43
    • /
    • 2005
  • The dynamics of water quality with the storm events were analyzed in a small reservoir for irrigation, Lake Wangkung. Water quality of the inflowing stream fluctuated seasonally with the variation of flow rate. Thermal stratification was consistent from April to October below 2 m depths and anoxic layer was developed below 2 m depth in summer. The unique feature of temperature showed that thermal stratification was disrupted by a heavy rain event during monsoon, but hypolimnetic hypoxia were reestablished after a few days. Phosphorus and nitrogen increased immediately following storm events. The marked increase may be due to the input of P-rich storm runoff from the watershed. Internal phosphorus loading can be one of the explanations for TP increases in summer. When there was a storm, total populations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was redu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storm, indicating possible flushing of algae and zooplankton. After a lag period of low-density the plankton population bloomed to a peak again within five days after the storm. Turbid water in lake became clear again which coincided with the time of the phytoplankton buildup.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ater quality is regulated greatly by rainfall intensity in Lake Wangkung.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 인공습지의 토양특성 및 오염물질 저감에 따른 미생물 영향 평가 (Microbial Influence on Soil Properties and Pollutant Reduction in a Horizontal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Treating Urban Runoff)

  • ;;오유경;;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8-181
    • /
    • 2024
  • 인공습지는(CW)는 침투, 흡착, 저류, 식물과 미생물의 증발산 등과 같은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기작에 의하여 오염물질 제거, 탄소흡수 및 저장, 생물다양성 향상 등의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수평지하흐름 인공습지(HSSF CW)의 미생물 군집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처리효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모니터링은 강우시 수질특성, 토양특성, 미생물 분석이 수행되었다. 따뜻한 계절(>15℃) 에서 TSS, COD, TN, TP 및 중금속(Fe, Zn, Cd) 제거효율이33~74% 범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운 계절(≤15℃)에서 TOC 35%로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이 나타났다. 인공습지 내 토양은 인근에서 채취한 토양의 토양유기탄소(SOC) 함량보다 3.3배 더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부와 유출부의 탄소(C), 질소(N) 및 인(P)의 화학양론비(C:N:P)는 각각 120:1.5:1 및 135.2:0.4:1로 나타났으며, 탄소에 비해 질소와 인의 비율이 매우 낮아 미생물 성장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미생물 분석에서는 생물다양성 지수를 통해 미생물 군집의 풍부도, 다양성, 균질성 및 균일성이 따뜻한 계절이 추운 계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인공습지의 강우유출수 오염물질 중 질소고정 미생물인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tes가 우점종으로 미생물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특정 토양특성 및 유입수 특성이 미생물 풍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평위산 전탕팩의 장기보존 시험에 따른 유통기한 설정 (Estimation of shelf-life by long-term storage test of Pyungwi-san)

  • 서창섭;김정훈;임순희;신현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3-194
    • /
    • 2011
  • Objectives : To estimate the shelf-life by long-term storage test of Pyungwi-san. Methods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bility such as the selected physicochemical, heavy metal, microbilogical experiment under an acceleration test and long-term storage test of Pyungwi-san in different storage under room temperature, refrigeration and freezing. Futhermore, HPLC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determinations of glycyrrhizin in the Pyungwi-san on an Inertsil ODS-3 column(250 mm ${\times}$ 4.6 mm, 5 um) using solvent 35% acetonitrile include 0.05% phosphoric acid at 254 nm. The flow rate was 1.0 mL/min. Results : The significant change was not showed in pH, heavy metal,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test and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acceleration test and long-term storage test. Retention time of glycyrrhizin in HPLC chromatogram was about 16.065 min and calibration curve showed good linearity($R^2$ = 0.9999). The contents of glycyrrhizin in acceleration test and long-term storage test were 0.068~0.076 mg/mL and 0.066~0.077 mg/mL, respectively. Shelf-lifes of room temperature, refrigeration and freezing by long-term storage test were predicted 41, 24 and 34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suggested shelf-life would be helpful on the storage and distribution of herbal medicine.

AG® 50W-X8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희토류원소의 분리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rare earth Elements by the AG® 50W-X8 cation exchange resin)

  • 이정숙;최범석
    • 분석과학
    • /
    • 제21권4호
    • /
    • pp.272-278
    • /
    • 2008
  • $AG^{(R)}$ 50W-X8 양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14종의 희토류원소와 Y를분리하고,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지에 대한 희토류원소의 이온교환용량은 매우 커 pH 1~6 범위와 0.3~1.0mL/min의 흐름속도에서 희토류원소는 모두 정량적으로 이온교환 되었다. 희토류원소의 돌파점 용량 곡선은 경희토류원소(Cerium 그릅)의 이온교환능력이 중희토류원소(Yttrium 그릅) 보다 큰 것을 보여주었다. 100mg의 이온교환수지에 각각 $200{\mu}g$의 희토류원소들이 이온교환 되어있을 때 대부분의 중희토류원소는 2.0M의 질산 10 mL로, 경희토류원소는 30mL로 정량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었다. 본 방법으로 모나자이트 중에 희토류원소를 분석하였다. 모나자이트 중에 공존하는 Ti, Mn, Mg, Ca 등의 원소는 상대적으로 희토류원소 보다 이온교환 능력이 낮아, 매트릭스 원소로 부터 희토류원소의 분리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방법에서 분석 결과의 상대표준편차는 1~5%로 향상되지 않았다.

Effect of traditional dry cupping therapy on heavy menstrual bleeding in menorrhagia: A preliminary study

  • Sultana, Arshiya;Rahman, Khaleeq Ur
    • 셀메드
    • /
    • 제2권4호
    • /
    • pp.33.1-33.3
    • /
    • 2012
  • Menorrhagia (kasrate tams) is the most common gynecologic complaint in contemporary gynecology, affecting 10 to 15% of the adult female population. It can occur at any age. In the Unani system of medicine, since antiquity, dry cupping therapy (hijamat bila shurt) has been used to treat menorrhagia. An effort was mad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ry cupping on excessive menstrual blood loss in menorrhagia with a well validated menstrual pict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5 patients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Unani Medicine, Hospital Bangalore, from January 2010 and July 2010. Unmarried or married patients aged 17 - 47 year with a history of excessive or prolonged bleeding per vaginum were included. Two large cups (with 5.7 cm internal diameter) were applied below each breast for 15 min, only once during the menstrual period when the patient reported to the outpatient department. If the menstrual flow was not reduced, the next day again dry cupping was repeated. The outcome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dry cupping on the reduction in the amount of menstrual blood los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Wilcoxon matched test. The mean scores of menstrual blood los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was 400.26 (277.95) and 48.4 (32.082) ml respectively, p = 0.002,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 dry cupping therapy is a useful treatment modality in decreasing the amount of menstrual blood flow in menorrhagia. Furth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and validation are needed in a large population.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 김기대;강민정;김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2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 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