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ultimum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1초

고냉지 배추 재배지역 토양에서 배추에 뿌리 썩음을 일으키는 Pythium ultimum, Pythium echinocarpum, Rhizoctonia solani균의 병원력 및 토양내 상대밀도 (Virulence and Relative Density of Three Root Rotting Organisms; Pythium ultimum, Pythium echinocarpum and Rhizoctonia solani in Alpine Soils in Chinese Cabbage)

  • 김충회;조원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3-189
    • /
    • 1986
  • 강원도 고냉지 배추재배 지역에서 53개의 이병 뿌리와 22개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배추 생육 초기에 뿌리 썩음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조사하였다. 이병된 뿌리에서 검출된 13개 곰팡이 중에서 Pythium ultimum, Pythium echinocarpum, Rhizoctonia solani의 3종이 자주 검출 되었으며 배추에 병원성이 있었다. 채취한 토양에 본엽 $3{\sim}4$ 엽기의 배추를 이식하여 발명 유무를 온실에서 조사 하였을 때 토양 표본에 따라 5내지 100%의 식물이 이들 균에 의하여 감염 되었다. 토양내 이들 3종의 균의 밀도를 배추 식물의 감염 빈도에 의하여 조사 하였을 때 차항 2리 지역의 토양에서는 P. ultimum이 우점종 이었고 P. echinocarpum은 용산 2리, 횡계리, 문맥 지역에서 주로 밀도가 높았다. 매봉산 지역의 토양에서는 R. solani 균만이 단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P. ultimum 과 P. echinocarpum이 동시 분포하는 지역에서는 대체로 P. echinocarpum 균의 밀도가 P. ultimum에 비하여 더 높았다. 주요 30품종의 유묘를 가지고 온실에서 품종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6개 품종이 P. ultimum 에 대하여 저항성이었고 3개 품종이 중도 저항성 이었다. P. echinocarpum에 대해서는 저항성 품종이 없고 2개 품종이 중도 저항성 이었으며 R. solani균에 대해서는 모두가 이병성 이었다.

  • PDF

토양병원균(土壤病原菌) Pythium ultimum 방제(防除)를 위한 항균성(抗菌性) 약용식물(藥用植物)의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Controlling the Soil Borne Pathogen, Pythium ultimum)

  • 백수봉;오연선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102-108
    • /
    • 1990
  • 16과(科) 28종(種)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을 공시(供試)하여 Pythium ultimum에 대한 항균성(抗菌性)을 검정(檢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 자리공, 대황 등 9개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에서 유주자낭(遊走子囊)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목단, 대황, 자리공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컸으며 그 중 목단이 가장 효과가 컸다. 참깨에서 목단 추출액(油出液)이 가장 강한 발병억제효과(發炳抑制效果)를 나타냈고, 오이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없었다. 자리공추출액(抽出液)에서 종자발아(種子發芽)에 약간의 약해가 나타났고 목단과 대황의 추출액(抽出液)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 PDF

Water Potential이 Pythium속(屬) 균(菌)의 균사(菌絲) 신장(伸長)과 Sporangia 형성(形成)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and Sporangial Formation by Pythium spp.)

  • 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5-108
    • /
    • 1983
  • The mycelial growth of Pythium graminicola, P. ultimum, P. rostratum was best at -3 osmotic potential. P. monospermum was best grown at -8 bars osmotic potential. Mycelial growth by Pythium spp. was prevented at -42 bars for P. graminicola, P. ultimum and P. monospermum. Sporangial formation by P. graminicola and P. ultimum was influenced by water potential in much the same way as mycelial growth: -3 bars was maximum and -42 bars or below was minimal. Pythium spp. tested was grown faster on PDA than other media including oat meal agar. P. ultimum was best grown on any media among Pythium spp. tested.

  • PDF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의 접종 농도가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 합제의 모잘록병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oculum Concentration of Rhizoctonia solani and Pythium ultimum Causing Damping-off of Pepper and Cucumber on the Efficacy of the Mixture of Etridiazole and Thiophanate-methyl)

  • 김형조;장호선;이수민;김주형;신진호;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1
    • /
    • 2010
  • 모잘록병균인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대한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의 균사 생장 억제 효과와, 각 병원균의 토양 접종 농도가 etridiazole과 thiophanate-methyl 합제의 고추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방제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 solani와 P. ultimum의 균사 생장 억제에 대한 etridiazole의 $EC_{50}$값은 각각 $15.87\;{\mu}g\;mL^{-1}$$0.20\;{\mu}g\;mL^{-1}$이었지만, thiophanate-methyl의 $EC_{50}$값은 R. solani에 대해서$9.34\;{\mu}g\;mL^{-1}$이었고, P. ultimum에 대해서는 $500\;{\mu}g\;mL^{-1}$ 이상이었다. 온실에서 실시한 유묘 검정 결과, R. solani와 P. ultimum의 접종원 농도가 높아지면 고추와 오이에서의 병 발생도 상승하였다. R. solani의 토양 접종 농도가 0.1%(w/v)이었을 때 파종 14일 후의 고추 발병주율은 41%이었으며, 0.5%와 1.0%로 접종하였을 때는 73%와 95%까지 상승하였다. 오이에서는 접종원 농도가 1.0과 2.0%일 때, 각각 55%와 62%의 발병주율을 보였다. P. ultimum에 의한 유묘에서의 발병주율은 고추보다 오이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2%의 농도로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고추와 오이의 발병주율은 66.7%와 96.8%이었다. R. solani의 경우 혼합제의 효과는 병원균의 접종 농도에 따라서 변화하였는데, 접종 농도가 0.05%일 경우 고추와 오이에서의 방제 효과는 94.4%와 90.7%이었지만, 고추와 오이에서 병원균의 접종 농도가 0.1%와 0.5%일 경우에는 70.7%와 72.9%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P. ultimum의 경우에는 접종 농도와 관계없이 고추와 오이에서 모잘록병의 발생을 100% 억제하였다.

방사선유도 돌연변이체 Bacillus lentimorbus WJ5a17에 의한 Pythium Root rot의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Root Rot by Radiation Induced Mutant, Bacillus lentimorbus WJ5a17)

  • 이영근;김재성;장병일;장유신;이호용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76-285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한 뿌리썩음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있는 세균 Bacillus lentimorbus WJ5를 방사선 ($^{60}Co$)을 조사하여 보다 더 강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돌연변이체 B. lentimorbus WJ5a17을 유도하였다. B. lentimorbus WJ5와 WJ5a17을 각각 활용한 미생물제제 FWJ5와 FWJ5a17을 조제하였으며 균체수는 $1.0\times 10^{11}$ CFU $g^{-1}$ 이였다. 미생물제제는 저장 30일째에도 항진균 세균이 $50.\times 10^{10}$ $g^{-1}$ 이상 생존하였고, 상토와 밭 토양에서는 $1.0\times 10^{7}$ CFU $g^{-1}$이상의 생존세포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P. ultimum의 포자발아를 B. lentimorbus WJ5 제제 (FWJ5)가 71.0% 억제하였고, B. lentimorbus WJ5a17 제제(FWJ5a17)는 81.4%억제하였다. 미생물제제인 FWJ5와 FWJ5a17은 고추, 배추와 무의 종자 발아와 초기생장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물 생육초기와 중기에 1회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P ultimum에 의한 뿌리썩음병징의 발생을 유의하게 (p<0.05) 억제하였기에 매우 효과적인 생물학적 제어제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골프장 잔디에서 분리한 Pythium spp. (Pythium spp. Isolated from Turfgrasses at Golf Courses in Korea)

  • 김진원;박은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276-290
    • /
    • 1997
  • 1990년부터 1996년에 걸쳐 전국 35개 골프장에서 한지형잔디인 creeping bentgrass, Kentucky bluegrass 그리고 난지형잔디인 zoysiagyass의 잎마름 증상으로부터 Pythium spp. 125균주를 분리 하였고, 이를 동정한 결과 P. aphanidermatum, p. arrhenomanes, P. catenulatum, p. gramlnicola, p. myriotylum, P. oligandrum, P. periplocum, P. rostratum, P. torulosum, P. ultimum Trow var. ultimum 그리고 P. vanterpoolii로 모두 11개 종으로 동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semi-solid 상태의 'sucrose-asparagine bentgrass leaf culture' 방법을 이용할 경우 Pythium spp.의 동정에 필요한 포자낭, 장란기, 장정기 그리고 난포자의 형태적 특징의 관찰이 용이하였다. 동정된 Pythium spp.는 국내에서는 잔디류에 대하여 처음 보고되는 것이고, 이 중에서 P. arrhenomunes, P. cutenulatum, P. graminioota, P. oligandrum, P. periplocum, P. rostratum, P. torulosum 그리고 P. vanterpoolii는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는 미기록종이다. P. myriotylum, P. rostratum, P. torulosum, P. vanterpoolii의 경우는 PCA 배지상에서 특이한 균사생장형을 나타내므로 이를 균 동정에 이용할 수 있었다.

  • PDF

치환 Phenyl Hydrazono-3-Methyl-1, 2-Isoxazol-5-One 유도체의 합성과 살균활성 (Synthesis and Fungicidal Activities of Substituted Phenyl Hydrazono-3-Methyl-1, 2-Isoxazol-5-One Derivatives.)

  • 박광욱;금영수;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9-245
    • /
    • 1996
  • Hydrazone 결합을 지닌 화합물 중 농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ferimzone, drazoxolon, metazoxolon 등으로 그 수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drazone 결합 및 유사 결합구조인 formamidine, triazene 등의 toxophore로서 작용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일차적으로 hydrazone계 화합물 중 isoxazolone 유도체를 합성, 살균력을 검정하였다. Ethyl acetoacetate와 hydroxyl amine에서 합성된 isoxazolone에 aromatic diazonium coupling을 통하여 최종 산물을 얻었다. 합성된 16종 화합물들의 항균 활성을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ladosporium cucumerinum, Pythium ultimum에 대하여 검정한 결과, 난균강에 속하는 Pythium ultimum에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이를 공시 균주로, $EC_{50}$을 계산하여 그 활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p-methyl, o-fluoro, m-chloro 치환체가 강한 활성을 보였다.

  • PDF

Production of the Antifungal Compound Phenylacetic Acid by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sp.

  • Kang, Jae Gon;Kim, Sun Tae;Kang, Kyu 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97-201
    • /
    • 1999
  • Antagonistic bacteria active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Phytophthora capsici, Pythium ultimum,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oxysporum were isolated from greenhouse soils. An antifungal compound was extracted by ethyl acetate from acidified culture filtrate and purified through column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Activity-guided bioassay was followed throughout the purification steps using Pythium ultimum as a test organism. The purified antifungal compound was identified as phenylacetic acid (PAA)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IR, EI/MS, $^1H-NMR$, and $^{13}C-NMR$. Two different isolates, which had vast differences i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except 16S rDNA sequence homology, produced the same compound, phenylacetic acid. $ED_{50}$ values of the phenylacetic acid against P. ultimum, P. capsici, R. solani, B. cinerea, and F. oxysporum were 45, 21, 318, 360, and 226 ppm, respectively.

  • PDF

유기물 첨가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미생물 제제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f Seedling Damping-off of Cucumber with Several Microbial Products)

  • 이종문;도은수;백수봉;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이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의 효율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러 미생물 제제인 Trichoderma harzianum, Streptomyces sp., Bacillus sp.,(그린바이오텍, 경기도 파주)에 톱밥, 쌀겨 등이 첨가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 첨가한 톱밥 자체만으로도 P. ultimum 균사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Green-all T(Trichoderma harzianum), Green-all S(Streptomyces), Green-all G(Bacillus)제제들은 오이 모잘록병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종자를 파종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실험에 있어서 톱밥, 쌀겨 등을 Green-all T, Green-all S 제제에 첨가한 것은 입모율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 단독처리에 비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Green-all G 제제는 아미노닥터를 첨가하여 주면, 단독 처리시의 42% 이병율에서 2% 이병율로 크게 감소하여, 오이모잘록병에 대한 오이묘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 실험에서 Green-all T 제제에 톱밥을 첨가하면, 발병도(disease index)가 56으로 5로 감소하여, P. ultimum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가 톱밥이 첨가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이는 유기물 첨가에 의하여 생물하걱 방제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음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 하겠다.

벼 모 마름병(病)을 일으키는 Pythium속(屬) 균(菌)과 병원성(病原性)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Pythium spp. Associated with Seedling Damping Off of Rice)

  • 성재모;진경식;이승찬;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83
  • Five species of the genus Pythium were identified from 91 isolates which were collected from rice seedlings in machine transplanting nursery boxes and paddy fields in Korea. They included P. graminicola complex, P. monospermum complex, P. rostratum complex, and P. ultimum complex. The most frequently found species of the genus Pythium was P. graminicola complex followed by P. monospermum complex. Rice seed germinability was greatly decreased by being infested with P. graminicola complex at nursery box. P. graminicola complex was the most virulent in terms of prohibiting germinations and stunting plants in nursery box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