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delta

검색결과 2,109건 처리시간 0.035초

염화벤질류의 가용매분해반응에 대한 압력의 영향. 에탄올-물 혼합용매내에서 p-메톡시 염화벤질의 분해반응 (The Effect of Pressure on the Solvolysis of Benzylchlorides. p-Methoxybenzyl Chloride in Ethanol-Water Mixtures)

  • 권오천;경진범;최기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01-306
    • /
    • 1986
  • 에탄올-물 혼합용매내에서 p-메톡시 염화벤질의 가용매 분해 반응에 대한 속도상수를 온도 2$^{\circ}$와 10$^{\circ}C$, 압력을 1~1600bar로 변화시켜 가면서 측정하였다. 이 반응의 속도 상수(k)는 온도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에탄올 몰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알았다. 또한 이 반응 속도 상수로 부터 (${{\Delta}V_o}^{\neq},\;{\Delta}{\beta}^{\neq},\;{\Delta}H^{\neq}$${\Delta}S^{\neq}$)의 값을 얻었다. 이 때 ${{\Delta}V_o}^{\neq}$${\Delta}{\beta}^{\neq}$는 에탄올 몰분율이 약 0.30인 부근에서 extremum behavior가 나타남을 알았고, 이러한 현상을 용매구조 변화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본 반응은 $S_N1$ 메타니즘이 지배적이며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는 $S_N1$ 성격이 약해짐을 알았다.

  • PDF

고압하에서 염화벤질의 가용매분해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연구 (A Kinetic Study on the Solvolysis of Benzyl Chloride under High Pressure)

  • 권오천;경진범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7-214
    • /
    • 1987
  • 염화벤질의 가용매분해반응에 대한 속도를 $1{\sim}1600bar$ 압력범위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온도 30 및 $40^{\circ}C$에서 측정하였다. In k대 압력의 실험결과는 압력에 따라 이차함수형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부터 활성화부피(${\Delta}V^{\neq}$)와 활성화 압축율(${\Delta}{\beta}^{\neq}$)의 값을 얻었다. In k를 용매파라미터($Q_w$) 및 ln $C_w$의 함수로 도시한 결과 이들 사이의 관계는 본 연구의 반응이 $S_N$1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나타내었다. 이 전에 연구된 결과들과 비교한 결과 ${\mid}{{\Delta}V_0}^{\neq}{\mid}$와 n 값의 증가 순은 각각 p-Cl>p-H>p-$CH_3\;와\;p-$CH_3>p-H>p-Cl$이었다. 이로부터 $p-CH_3$ 치환체는 $S_N1(1)$ 성격이 강하며, 반면 p-Cl는 ${S_N}1(2)$ 성격이 나타남을 알았다.

  • PDF

15% Carbamide Peroxide가 심미수복재의 표면조도와 착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5% Carbamide Peroxide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Staining of Esthetic Restoratives)

  • 김수화;최혜숙;노지연;김광만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73
    • /
    • 2013
  • 본 논문은 미백 후 수복재의 종류에 따른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미백제에 의한 표면변화가 수복재의 착색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가미백제로 널리 사용되는 15% carbamide peroxide가 대표적인 심미수복재인 콤포지트 레진(composite resin, CR), 레진강화형글라스아이오노머(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글라스아이오노머(glass ionomer, GI)의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미백 후의 착색감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커피용액에 일정 시간 보관한 후 수복재의 색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백 전과 미백 후의 색변화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모든 재료에서 ${\Delta}L^*$, ${\Delta}a^*$, ${\Delta}b^*$, ${\Delta}E^*$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Delta}E^*$${\Delta}L^*$값은 RMGI, GI, CR 순으로 색변화가 많이 나타났고(p<0.05), ${\Delta}a^*$값은 GI, RMGI, CR 순으로 미백 후 감소하였으며, ${\Delta}b^*$값은 RMGI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미백 전과 미백 후 표면조도는 CR, RMGI, GI 모두 미백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RMGI가 미백 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p<0.05). 3. 실험군과 대조군을 커피 용액에 착색시킨 후의 ${\Delta}E^*$값은 GI, RMGI, CR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GI와 RMGI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한 실험군의 색 변화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Delta}L^*$값은 GI와 RMGI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미백을 하고 착색한 경우 명도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elta}a^*$값보다 ${\Delta}b^*$값의 증가가 훨씬 더 크고 뚜렷하였다. 4. 커피 용액 착색에 따른 시편의 표면 변화는 CR, RMGI, GI 모두 착색 전과 착색 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심미수복재의 색안정성은 심미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고, 치아미백 또한 심미를 목적으로 하는 술식이다. 따라서 치과에서는 수복재의 종류에 따라 미백제나 착색물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술식을 제공받는 내원자들이 착색을 야기할 수 있는 음식이나 음료에 대해 인지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P-delta 영향을 고려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 교각의 성능평가 (Performance Assessment of Precast Segmental PSC Bridge Columns Considering P-delta effects)

  • 김태훈;박세진;김영진;신현목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5-5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P-delta 영향을 고려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교각의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개발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교각 실험체에 일정 축하중 하에서 횡방향 반복하중을 가하는 준정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을 위한 RCAHEST이다. 비교적 큰 압축하중과 함께 지진하중과 같이 큰 규모의 횡하중으로 인한 대변위 문제를 고려할 수 있도록 Total Lagrangian 정식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반복하중을 받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PSC교각의 실험적, 해석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순수 티타늄 판재의 피로균열 전파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with Pure-Ti Plate)

  • 오세욱;김태형;김득진;임만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2-100
    • /
    • 1995
  • The effect of different anisotropy and stress ratio on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under various stress ratio(R=-0.4, -0.2, 0.2, 0.2, 0.4) using pure titanium sheet used in aerospace, chemical and food industry. The rack closure behavior under constant load amplitude fatigue crack propagation test was examined. Fatigue crack propagation rate da/dN was estimated in terms of effective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Delta$K$_{eff}$, regardless of various stress ratio but was influenced by anisotropy. Also,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anisotropy was considerably decreased but still not negligible when he da/dN was evaluated by a conventional parameter, $\Delta$$K_{eff}$/E and when the modified da/dN.$\sqrt{\varepsilon}_f$ was evaluated by $\Delta$$K_{eff}$/E. On the other hand, da/dN could be evaluated uniquely by effective new parameter, $\Delta$K$_{eff}$/$sigma_{ys}$, regardless of anisotropy, as int he following equation da/dN=C''[\frac{{\Delta}K_{eff}}{{\sigma}_{ys}}]^{n''}. And effective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ratio, U was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ith respect to the ratio of reversed plastic zone size, $\Delta r_{p}$ to monotonic plastic zone size, $r_p$ regardless of stress ratio and anisotropy. U=-4.45$(\Delta r_{p}/r_{p})^{2}$+4.1$(\Delta r_{p}/r_{p})$+0.245_{p})$+0.245

  • PDF

솔과 식물 종실유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Some Seed Oils from the Pinaceae Family)

  • 김성진;김지수;이민옥;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9-156
    • /
    • 1992
  • Levels of total lipids in the seeds of three species of the Pinaceae family were determined an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lso analyzed by a gas-chromatograph equipped with a capillary column coated with Carbowax 20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Lipid contents of the seeds amounted to 56.9% in P. koraiensis, 29.9% in P. thunbergii, and 21.2% in P. rigida. In all lipids 19${\sim}$20 fatty acid were detected and, surprisingly, fatty acids having ${\Delta}^5$-non-methylene interrupted conjugate double bond such as ${\Delta}^{5, 9}-C_{18:2},{\Delta}^{5, 9, 12}-C_{18:3}\;and\;{\Delta}^{5, 11, 14}-C_{20:3}$ occurred in appreciable amounts. In the lipids of P. koraiensis, the main component was $C_{18:2}{\omega}_6(45.0%)$, followed by $C_18:1{\omega} _9(26.9%)$ and ${\Delta}^{5, 9, 12}-C_{18:3}(14.6%)$, and then ${\Delta}^{5, 9}-C_{18:2}(2.2%)$ and ${\Delta}^{5, 11, 14}-C_{20:3}$ were also present. Levels of saturated fatty acid such as $C_{16:0}\;and\;C_{18:0}$ were as low as 7.5%. The seed oil of P. thunbergii predominantly comprised $C_{18:2}{\omega}_6(45.2%)$, and was then occupied by equal amounts ${\Delta}^{5, 9, 12}-C_{18:3}(18.1%)$ and $C_{18:1}{\omega}_9(18.1%)$. Its ${\Delta}^5, 11, 14}-C_{20:3}(5.8%)$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s tested. ${\Delta}^{5, 9}-C_{18:2}(2.8%)$ was also detected with other minor components. In the oils from the seeds of P. rigida, $C_{18:2}{\omega}_6$ was present as a main component, accompanied by $C_{18:1}{\omega}_9(21.6%)$ and ${\Delta}^{5, 9, 12}-C_{18:3}(20.3%)$. The latter showed higher level than in any other samples. A minor component corresponding to ${\Delta}^{5, 9, 12, 15}-C_{18:4}$(not confirmed by GC-Mass) occurred in P. thunbergii and P. rigida.

3D TV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도와 조절성폭주비 평가 (The Evaluations of Phoria and AC/A Ratio by Watching 3D TV at Near)

  • 손정식;김동수;김정호;김재도;앨러릭 하마커;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9-324
    • /
    • 2015
  • 목적: 3D TV의 근거리 시청에 따른 사위와 조절성폭주비의 변화와 회복 시점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3D TV 시청이 가능한 20~40대의 50명(남 30명, 여 20명)을 대상으로 하웰(Howell) 사위 카드를 사용하여 원거리(3 m)와 근거리(40 cm)에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시청 거리는 1 m이며 시청 전, 시청 시간 3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시청 이후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사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3D 영상 시청의 원거리 사위도 변화는 3D영상 시청 전 $-0.80{\pm}1.12{\Delta}$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0.98{\pm}1.37{\Delta}$(p=0.063), $-1.00{\pm}1.28{\Delta}$(p=0.024)로 외사위 경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분 이후에는 $-0.78{\pm}1.11{\Delta}$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근거리 사위도 역시 영상 시청 전 $-4.36{\pm}3.66{\Delta}$과 비교하여 10분, 30분 후 각각 $-5.71{\pm}4.45{\Delta}$(p=0.000)과 $-6.58{\pm}4.63{\Delta}$(p=0.000)으로 외사위 방향으로 증가하였으며,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외사위도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5분 이후에는 $-4.34{\pm}3.67{\Delta}$로 시청 전 사위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p=0.322). 조절성폭주비는 영상 시청 전 $4.92{\pm}1.17{\Delta}/D$과 비교하여 영상시청 30분 후 $4.11{\pm}1.50{\Delta}/D$로 낮아졌으며(p=0.000), 영상 시청 종료 후에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25분 후 $4.93{\pm}1.18{\Delta}/D$으로 시청 전으로 회복되었다(p=0.598). 결론: 근거리 3D TV 시청 시에 원거리보다 근거리의 외사위도가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조절성폭주비는 낮아져 폭주부족의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시청 후 25분 후에는 증가된 원거리와 근거리의 외사위도 모두 시청 전의 상태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3D TV 시청에 관한 합리적인 시청 권고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본다.

D. melanogaster에 있어서 P Element를 이용한 rosy 유전자의 형질전환 (P Element-Mediated Transformation with the rosy Gene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김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0-347
    • /
    • 1995
  • D. melanogaster를 대상으로 두 종류의 P element construct, 즉 Pc[(ry+)B]와 p[(ry+)$\Delta$SX9]을 사용한 형질전환 실험을 통하여 자율적 및 비자율적인 P element construct간의 vector로써의 효율성을 분석했다. 자율적인 P element 내에 rosy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c[(ry+)B] construct를 진정 M 계통형인 ry506 돌연변이 계통에 주입시켰다. 또한 비자율적인 P element 내에 rosy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p[(ry+)$\Delta$SX9] construct와 전이효소의 공급원으로써 p-$\Delta$2-3hs$\pi$ helper plasmid를 역시 같은 계통의 ry506 돌연변이 계통에 주입시켰다. Dechorination 방법에 의해 총 1143 embryo를 대상으로 microinjection 한 결과, 모두 35 계통의 형질전환된 정상형의 눈을 가진 계통을 얻었다. P element construct를 주입시킨 전체 1143 embryo 중에서 약 20% 정도가 성체로 부화되었으며, 부화된 개체 가운데 약 40% 정도가 눈 색깔이 거의 정상형과 같은 G0 transformant 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력을 가진 G0 transformant의 약 40% 만이 G1 transformant로 나타남으로써 모두 35 계통의 transformant를 얻었다. 따라서 G0 단계에서 나타난 형질전환 현상에는 반드시 rosy transformant의 염색체 삽입에 의해서 만이 아니라 세포질내에서도 construct내의 rosy 유전자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질전환율에 있어서는 Pc[(ry+)B]와p[(ry+)$\Delta$SX9] construct 간에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험 목적에 따라 자율적인 P element 또는 helper DNA를 이용한 비자율적인 P element를 효과적인 vector 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특정 유전자를 곤충집단내로 침투 및 고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P-Δ 효과를 고려한 기둥항복형 강구조 골조의 안정성 (Stability of Steel Frames with Weak Column-Strong Beam Considering P-Δ effect)

  • 김희동;이명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통권65호
    • /
    • pp.457-46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P-${\Delta}$ 효과를 고려한 기둥항복형 강구조 골조의 안정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3개의 1층 1스팬 기둥항복형 강구조 비가새 골조에 대한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기둥의 강성과 축력비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기둥의 강성 감소는 P-${\Delta}$효과를 증가시켜 골조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보항복형 골조와 비교하여 최대내력 도달 이후의 내력자하 현상이 다소 급격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기둥의 강성이 낮은 기둥항복형 골조의 경우 P-${\Delta}$효과의 영향이 골조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EXISTENCE OF POSITIVE SOLUTIONS FOR A CLASS OF QUASILINEAR ELLIPTIC SYSTEM WITH CONCAVE-CONVEX NONLINEARITIES

  • Yin, Honghui;Yang, Zuod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9권3_4호
    • /
    • pp.921-936
    • /
    • 2011
  • In this paper, our main purpose is to establish the existence of weak solutions of a weak solutions of a class of p-q-Laplacian system involving concave-convex nonlinearities: $$\{\array{-{\Delta}_pu-{\Delta}_qu={\lambda}V(x)|u|^{r-2}u+\frac{2{\alpha}}{\alpha+\beta}|u|^{\alpha-2}u|v|^{\beta},\;x{\in}{\Omega}\\-{\Delta}p^v-{\Delta}q^v={\theta}V(x)|v|^{r-2}v+\frac{2\beta}{\alpha+\beta}|u|^{\alpha}|v|^{\beta-2}v,\;x{\in}{\Omega}\\u=v=0,\;x{\in}{\partial}{\Omega}}$$ where ${\Omega}$ is a bounded domain in $R^N$, ${\lambda}$, ${\theta}$ > 0, and 1 < ${\alpha}$, ${\beta}$, ${\alpha}+{\beta}=p^*=\frac{N_p}{N_{-p}}$ is the critical Sobolev exponent, ${\Delta}_su=div(|{\nabla}u|^{s-2}{\nabla}u)$ is the s-Laplacian of u. when 1 < r < q < p < N, we prove that there exist infinitely many weak solutions. We also obtain some results for the case 1 < q < p < r < $p^*$. The existence results of solutions are obtained by variational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