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E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9초

Development of P-OLED Materials For Displays and Lighting

  • Brown, Scott;Cass, Michael;Conway, Natasha;Grizzi, Ilaria;McKiernan, Mary;Roberts, Matthew;Tsubata, Yoshiaki;Sekine, Chizu;Yamada, Takeshi;Wilson, Richard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1호
    • /
    • pp.431-434
    • /
    • 2007
  • Rapid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ly viable Light Emitting Polymer (LEP) materials for display and lighting applications. This presentation will focus on: ${\bullet}$ Degradation studies that have led to the design of new and improved materials ${\bullet}$ Recent lifetime and efficiency results for red, green, blue, and white polymers ${\bullet}$ Challenges of formulating inks that can be used in a production environment

  • PDF

Flexible AM-OLED를 위한 OTFT 기술 기반의 MIS 구조 C-V 특성 분석 (Analysis of C-V Characteristics of MIS Structure Based on OTFT Technology for Flexible AM-OLED)

  • 김중석;김병민;장종현;주병권;박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77-78
    • /
    • 2006
  • 최근 flexible OLED의 구동에 사용하기 위한 유기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의 연구에서는 용매에 용해되어 spin coating이 가능한 재료의 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pentacene으로는 아직 spin coating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상용화된 제품이 없고 spin coating이 가능한 활성층 물질(active material)로 P3HT가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해 가능한 P3HT 활성층 물질과 여러 종류의 용해 가능한 게이트 절연물(gate insulator, Gl)을 사용하여 안정된 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metal-insulator-semironductor(MIS) 소자를 제작하여 C-V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7mm${\times}$7mm 크기의 pyrex glass 시편 위에 바닥 전극으로 $1600{\AA}$ Au을 증착하고 spin coating 방식을 이용하여 PVP, PVA, PVK, BCB, Pl의 5종류의 게이트 절연층을 각각 형성하였고 그 위에 같은 방법으로 P3HT를 코팅하였다. P3HT 코팅 시 bake 공정의 유무와 spin rpm의 변화에 따른 P3HT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Gl의 종류별로 주파수에 따른 capatltancc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C-V 측정 결과 PVP, PVA, PVK, BCB, Pl의 단위 면적당 capacitance 값은 각각 1.06, 2.73, 2.94, 3.43, $2.78nF/cm^2$로 측정되었다. Threshold voltage, $V_{th}$는 각각 -0.4, -0.7, -1.6, -0.1, -0.2V를 나타냈다. 주파수에 따른 capacitance 변화율을 측정한 결과 Gl 물질 모두 주파수가 높을수록 capacitance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sim}$2nF 이내의 범위에서 작은 변화율만 나타냈다. P3HT의 두께와 bake 온도를 변화시켜 C-V 값을 측정한 결과 차이는 없었다. FE-SEM으로 관찰한 결과에서도 두께나 온도에 따른 P3HT의 표면 morphology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 PVK와 P3HT의 조합이 수율(yield)면에서 가장 안정적이면서 $3.43\;nF/cm^2$의 가장 높은 capacitance 값을 나타내고 $V_{th}$ 값 또한 -1.6V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Orang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a Spirobenzofluorene-type Phospine Oxides as Host Materials

  • Jeon, Young-Min;Lee, In-Ho;Lee, Chil-Won;Lee, Jun-Yeob;Gong, Myoung-S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0호
    • /
    • pp.2955-2960
    • /
    • 2010
  • Spiro-type orange phosphorescent host materials, 9-diphenylphosphine oxide-spiro[fluorene-7,9'-benzofluorene] (OPH-1P) and 5-diphenylphosphine oxide-spiro[fluorene-7,9'-benzofluorene] (OPH-2P) were successfully prepared by a lithiation reaction followed by a phosphination reaction with diphenylphosphinic chloride. The EL characteristics of OPH-1P and OPH-2P as orange host materials doped with iridium(III) bis(2-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pq)_2acac$) were evaluated. The electroluminescence spectra of the ITO (150 nm)/DNTPD (60 nm)/NPB (30 nm)/OPH-1P or OPH-2P: $Ir(pq)_2acac$ (30 nm)/BCP (5 nm)/$Alq_3$ (20 nm)/LiF (1 nm)/Al (200 nm) devices show a narrow emission band with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75 nm and $\lambda_{max}$ = 596 nm. The device obtained from OPH-1P doped with 3% $Ir(pq)_2acac$ showed an orange color purity of (0.580, 0.385) and an efficiency of (14 cd/A at 7.0 V). The ability of the OPH-P series to combine a high triple energy with a low operating voltage is attributed to the inductive effect of the P=O moieties and subsequent energy lowering of the LUMO, resulting in the enhancement of both the electron injection and transport in the device. The overall result is a device with an EQE > 8% at high brightness, but operating voltage of less than 6.4 V, as compared to the literature voltages of ~10 V.

Organic insulate printing by gravure offset method for OLED Lighting

  • 이찬재;옥기훈;윤서연;곽민기;이정노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1-108.1
    • /
    • 2012
  • 높은 균일도의 대면적 OLED 조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보조배선이 필요하다. 이 때 보조배선이 노출되면 보조배선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로 인하여 디바이스가 효율적으로 구동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누설전류를 막기 위하여 절연층을 사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 방식으로 절연층을 형성 하였다.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 방식은 포토리소그래피 공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낮아지고,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절연층 재료로는 PVP 유기 절연체를 사용하였다. 이 PVP 유기 절연체는 PVP Poly-4-vinylphenol,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그리고 Poly(melamineco-formaldehyde) metylate 재료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용액은 최대 1840cps의 점도를 가지고 있다. 이 PVP용액으로 인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 방식에서는 고점도 재료가 사용되지만, 이 PVP용액은 낮은 점도에서도 프린팅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료의 열처리는 $100^{\circ}C$에서 10분 건조 후 $200^{\circ}C$에서 15분의 큐어링을 진행하였다. 인쇄에 사용한 패턴의 선폭은 50um~100um로 구현하였으며, 약 120cps의 점도에서 선폭 및 해상도가 패턴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인쇄 후의 절연층은 최종적으로 약 1um의 두께와 낮은 접촉각을 형성하였다. 누설전류는 전압 20V인가시 0.12pA/$cm^2$의 값을 가진다. 이 결과는 동일 두께의 스핀코팅과 비슷하였다. 우리는 이 결과값을 토대로 보조배선과 PVP 유기 절연층을 그라비아 오프셋 프린팅 방식으로 인쇄 한 OLED 조명을 제작하였다.

  • PDF

다층 그래핀과 유기물로 구성된 계면의 전자분광학 분석을 이용한 에너지 준위 정렬 분석

  • 서재원;김지훈;권대견;맹민재;문제현;이정익;최성률;김택영;박용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63-163
    • /
    • 2013
  • 최근 들어서 유연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소자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ITO 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전극물질 후보로 그래핀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 CVD 방법으로 합성된 다층 그래핀(Few layer graphene, FLG)은 실제 상용화되는 소자에 응용이 될 가능성이 높아 많은 연구가 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층 그래핀과 유기물질 사이의 계면을 전자분광학 분석을 이용해 각 분자층 사이의 에너지 준위 변화에 대해 분석했다. 에너지 준위 정렬을 이용하면 각 분자층간의 정공주입 에너지장벽을 알 수 있는데 이 에너지 장벽은 소자의 효율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값이다. 정공 주입층 물질로는 TAPC 1,1- Bis[4-[N,N'-di(p-tolyl)amino]phenyl]cyclohexane (TAPC)를 사용했고, 다층 그래핀과 TAPC층 사이의 에너지 준위 정렬을 분석한 결과 다층 그래핀과 TAPC층 사이에는 ~1.4 eV의 에너지 장벽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하지만 OLED 소자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낮은 에너지 장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두 물질 사이에 4,4'-bis(N-phenyl-1-naphthylamino)biphenyl (NPB),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 (HAT-CN)을 삽입하여 에너지 장벽을 낮추기 위한 시도를 해 보았다. 그래핀과 TAPC 사이에 중간층으로 NPB를 사용했을 때의 에너지 장벽은 0.55 eV, HAT-CN을 사용했을 때는 0.4 eV로 TAPC만 사용했을 때보다 ~1 eV정도 에너지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보여줬다. 이 연구를 통해 다층 그래핀을 OLED 소자의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New Voltage Programming LTPS-TFT Pixel Scaling Down VTH Variation for AMOLED Display

  • Nam, Woo-Jin;Lee, Jae-Hoon;Shin, Hee-Sun;Jeon, Jae-Hong;Han, Min-Ko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7권3호
    • /
    • pp.9-12
    • /
    • 2006
  • A new voltage-scaled compensation pixel which employs 3 p-type poly-Si TFTs and 2 capacitors without additional control line has been proposed and verified. The proposed pixel does not employ the $V_{TH}$ memorizing and cancellation, but scales down the inevitable $V_{TH}$ variation of poly-Si TFT. Also the troublesome narrow input range of $V_{DATA}$ is increased and the $V_{DD}$ supply voltage drop is suppressed. In our experimental results, the OLED current error is successfully compensated by easily controlling the proposed voltage scaling effects.

HDP-CVD를 이용한 OLED용 수분침투 방지막에 대한 연구 (Thin film permeation barrier for OLED using HDP-CVD)

  • 김창조;신백균;최윤;이붕주;김병수;이병수;최창락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398-1399
    • /
    • 2006
  • 현재 상용화된 OLED 소자는 최대 단점인 수분 취약성의 원인으로 top emission과 flexible 타입으로 제조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top emission 방식과 flexible한 소자를 실현하기 위해 수분 및 산소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유전체 막의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PECVD보다 plasma의 density가 높은 HDP(High Density Plasma)-CVD를 사용해 SiOx 및 SiNx 유전체 film을 증착하였고 MOCON 테스트를 통한 수분침투 방지막으로써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버퍼층 삽입에 의한 OLED 소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in the Device Characteristics of OLED with Buffer Layer)

  • 임재성;이능헌;유도현;김용혁;임응춘;이덕출;신백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76-1877
    • /
    • 2005
  • 유기 전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s)의 발광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플라즈마 중합 장비를 이용해서 소자에 버퍼층(buffer layer)을 도입하였다. 플라즈마 중합 방법을 이용해서 성막된 PPMMA를 ITO와 정공 수송층 사이에 버퍼층으로 삽입하여 유기 전기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고,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버퍼층 공정에 비하여 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전기-광학적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각종 p-치환아미노스티릴기를 갖는 적색발광재료용 DCM류의 합성 (Synthesis of DCM Classes Having p-Substituted Aminostyryl Groups for Red-Emitting Materials)

  • 정평진;성진희
    • 공업화학
    • /
    • 제17권6호
    • /
    • pp.609-613
    • /
    • 2006
  • 본 연구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적색형광 물질인 4-(Dicyanomethylene)-2-methyl-6-(4-dimethylaminostyryl)-4H-pyran (DCM)유도체들의 합성에 관한 것으로서, 유도체들은 Knoevenagel 축합반응에 의하여 합성되었다. 이들은 전자공여성의 아미노스티릴기와 전자흡인성의 시아노(니트릴)기의 공액구조를 가지고 있다. 합성한 물질은 각각 FT-IR, $^1H-NMR$ 등을 통하여 그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융점, 수득율 등을 통하여 열적 안정성, 반응성 등을 확인하였으며, UV-visible과 PL분석으로부터 이 형광재료들의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안트라센의 단순 유도체와 루브렌을 이용한 백색 유기전기발광소자 (White Oganic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Simply Modified Anthracene and Rubrene)

  • 김시현;이승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89-595
    • /
    • 2022
  • 안트라센의 골격을 갖는 청색 발광 물질, 9-(2-naphthyl)-10-(p-tolyl)anthracene (2-NTA)를 기본으로 하고, 오렌지 도판트인 루브렌을 다양한 부피비로 사용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C.I.E. 좌표가 (0.32, 0.39)인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었다. 다양한 부피비의 소자 중 루브렌을 1.5% 이하로 증착된 소자가 3% 이상으로 증착된 소자 보다 전기발광 효율이 높았다. 더욱이 2-NTA를 포함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같은 조전하에서 2-NTA 만의 청색 유기발광소자 보다 낮은 턴온 전압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2-NTA는 적은 양의 오렌지 도판트만으로 순수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