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zonizer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haracteristics of High Frequency Ozonizer by Lissajous Method (Lissjous법을 이용한 고주파 오존발생기의 특성)

  • Lee, C.H.;Chun, B.J.;Park, Y.K.;Song, H.J.;Lee, K.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3-225
    • /
    • 2003
  • 이 논문은 무성방전을 이용하여 환경개선 분야로의 적용이 가능한 무성방전형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후 고주파 전원장치의 전원주파수와 인가전압에 따른 방전특성 및 오존생성특성을 연구 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 내부에서 소비되는 방전전력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Lissajous 도형을 이용해 오존발생기의 방전부에서 소비전력을 계산하였다.

  • PD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a Superposition Type of Ozonizer with DC and AC Discharges (직.교류 중첩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 특성 연구)

  • Hong, Hong-Sung;Wee, Sang-Bong;Ahn, Hee-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626-1628
    • /
    • 2001
  • 본 연구는 AC 전원을 인가하여 좁은 전 극간격에서 고수율을 얻을 수 있는 연면방전방식 (Surface Discharge type)과 DC 전원을 인가하여 넓은 전극간격에서 저수율을 가지는 DC방전방식(DC Discharge type)을 중첩방전 할 수 있도록 중첩방전관을 설계 제작하여 각각 독립적인 방전방식을 적용하였을 때의 방전전압, 방전전류, 방전전력 및 오존생성농도를 실험적으로 조사하고, 두 방전방식을 동일공간에 중첩방전하여, 위 실험을 반복하고 중첩방전이 동일방전공간에 투입에너지 밀도를 높임으로써 방전특성 및 오존생성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emperature of Ozonizer (오존발생기의 온도에 관한 연구)

  • Kim, Young-Bae;Cho, Kook-Hee;Choi, Moon-Ki;Lee, Hyeo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652-1654
    • /
    • 2001
  • A comprehensive model of ozone generation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s presented. The model combines the physical processes in the microdischarges with the chemistry of ozone formation. It is based on an extensive reaction scheme including the major electronic and ionic processes. The importance of excited atomic and molecular states is demonstrated. Theoretical limits are given for the ozone production efficiency and the attainable ozone concentration.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ozonizers are identified.

  • PDF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for NO Gas Removal (NO 가스 제거용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 Song, Hyun-Jig;Lee, Dong-Heong;Oh, Jin-Hun;Lee,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762-1764
    • /
    • 2001
  • 대기환경오염물질인 NO가스의 제거를 위하여 방전관을 채용한 3전극-2갭 방식의 새로운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오존발생기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NO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Ozone Generation fo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with Discharge Area variation (방전면적에 따른 유전체장벽 방전에 의한 오존생성 특성)

  • Lee, Chang-Ho;Park, Soong-Gyu;Kim, Jong-Hyun;Lee, Hyun-Chul;Song, Hyun-Jig;Lee, Sang-Keun;Park, Won-Zoo;Lee, Kwa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79-380
    • /
    • 2008
  • Recently, ozone is utilized in various fields and its needs are expanding. In this paper, glass and ceramic plate tyre ozonizer have been fabricated to investigate discharge parameter(input power, flow rate of supplied gas, electrode form, etc.) effect to discharge. And the conditions of discharge parameter have been investigated for optimum ozone generation. Ozone concentration i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increasing input power for same discharge space, and ozone yield is also increased until maximum point after that it is saturated. Ozone concentr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flow rate of supplied gas but ozone generation and ozone vield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 PDF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Silent Discharge Type Ozonizer with Varying Discharge Area (무성방전형 오존발생기의 전극면적 변화에 따른 오존생성특성)

  • Lee, S.K.;Chun, B.J.;Park, Y.K.;Lee, K.S.;Song, H.J.;Lee, D.H.;Kim, Y.H.;Kim, G.Y.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c
    • /
    • pp.1775-1778
    • /
    • 2002
  • 무성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기에서 오존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원료가스의 온도, 습도, 유량, 방전전극의 재질과 형태, 전원의 형태 등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극의 면적변화에 의한 오존생성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전전극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더 많은 전력의 인가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오존발생기의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동일한 전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전극면적의 증대가 오존발생특성의 향상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 PDF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with Varying the Pressures of 3Electrodes-3GaP Discharge Tube (3E-3G 방전관의 압력변화시 오존생성특성)

  • Cho, Kook-Hee;Kim, Young-Bae;Seo, Kil-Soo;Lee, Hyeong-Ho;Lee, Si-Young;Bang, Seung-W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d
    • /
    • pp.1063-1065
    • /
    • 1999
  • Recently the ozone generation system is well used for cleaning the contaminated water by using the strong oxidization effects. Accordingl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ozone yield at the peak of ozone concentr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stracture and characteristics of ozonizer, and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3E-3G discharge tube.

  • PDF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Lamp Type Ozonizer for Environment Improvement (환경개선용 방전관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 Song, Hyun-Jig;Lee, Dong-Heon;Oh, Jin-H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24-26
    • /
    • 2001
  • 대기환경오염물질인 NO가스의 제거를 위하여 방전관을 채용한 3전극-2갭 방식의 새로운 형태의 오존발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오존발생기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 검토하였으며, 오존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NO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Ozone Generation System with High Capacity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고도정수처리용 대용량 오존발생시스템 개발)

  • Lee, Hyeong-Ho;Kim, Young-Bae;Seo, Kil-Soo;Cho, Kook-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e
    • /
    • pp.2001-2003
    • /
    • 1999
  • Recently the ozone generation system is well used for cleaning the contaminated water by using the strong oxidization effects of ozone. Ozone generation system is composed of ozone generation device, air or oxygen supply device and high voltage apply device. In this paper, commercial frequency was applied to the wire typed conductor. The ozone concentration was measured with air or oxygen as a supplied ga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zonizer system.

  • PDF

오존 이용의 변천과 장래전망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71
    • /
    • pp.63-68
    • /
    • 1999
  • 오존(Ozone) 이용의 역사는 19세기의 음료수 살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후 선택적 화학반응을 이용한 화학합성, 1970년대의 공해대책시대의 배수(排水)탈색(脫色)$\cdot$탈취(脫臭), 수질 유지로 진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특히 여러 가지 제품의 제조프로세스 등에서 환경부하가 적고 생산성이 좋은 프로세스가 요청되고 있어, 그러한 관점에서도 분해 후 무해한 산소로 되돌아가는 산화제인 오존의 활용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술면에서는 오존 단독처리에 더하여 과산화수소나 자외선과의 병용에 의한 촉진산화처리, 생물처리와의 병용처리 등 반응속도의 향상, 비처리물질의 확대를 겨냥한 새로운 반응기술, 대용량$\cdot$고농도 오조나이저(Ozonizer), 클린 오조나이저 등, 적용분야의 확대를 가능케 하는 오존발생기술, 하드웨어 기술의 진보가 현저하다. 최근에는 이 최신기술과 다른 기술과의 복합에 의한 새로운 제안도 많이 나오고 있으며, 수처리를 중심으로 신(新)프로세스에 더하여, 예를 들면 펄프 표백(漂白) 프로세스와 반도체 제조프로세스 등에의 적용이 급속하게 확대되는 경향이 있어, 바야흐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게 됨으로써 고객의 요구가 다시 신기술을 일으키는 쪽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