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ve stability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3초

동결건조 어류 알 농축물의 식품기능성 및 생리활성 (Food Functionality and Bioactivity of Vacuum Freeze-dried Fish Roe Concentrates)

  • 윤인성;김형준;강상인;김도엽;이창영;정우철;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03-4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ood functional properties and in vitro bioactivity of vacuum freeze-dried fish roe concentrates (FRCs) prepared from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AP),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BH) an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ST). All three species showed better buffering capacity on the alkaline side (pH 10-12) than on the acidic side. The water-holding capacities of the FRCs were 3.5, 8.5 and 4.2 g/g protein for AP, BH and ST, respectively,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egg white. The protein solubilities of the FRCs were 42.5% (AP), 50.0% (BH) and 13.9% (ST). The foaming capacities of the FR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pecies (128.0% for AP, 128.3% for BH, and 143.3% for ST; P>0.05), and their foam stability was maintained at 53.0-74.2% for 60 minutes. The oil-in-water emulsifying activity indexes of AP and BH (19.5 and 20.2 ㎡/g protein,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ST (P<0.05).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C50, mg/mL) of the FRCs were in the ranges of 1.05-3.26 and 0.13-0.18 mg/mL, respectively, and th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in the range of 0.97-1.89 mg/mL.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박준홍;김기재;김재철;김세종;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4-200
    • /
    • 2000
  •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circ}C$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circ}C$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 PDF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를 위한 과불소화 술폰산 복합막 (Perfluorinated Sulfonic Acid based Composit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 조국진;박진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27
    • /
    • 2016
  •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는 황산 바탕용액 내 바나듐 이온을 함유하는 전해질을 활용하여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 운전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중 하나이다. 양극액엔 $V^{5+}$$V^{4+}$가 음극액엔 $V^{2+}$$V^{3+}$가 충전 또는 방전 모드에 따라 주로 존재하게 된다. 두 종류의 바나듐 용액이 혼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수소이온교환막을 활용하여 전체 셀을 완성하게 된다. $V^{5+}$의 높은 산화력으로 현재 듀퐁사의 Nafion 117이 유력하나 바나듐 이온의 높은 크로스오버라는 단점을 극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단점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Nafion계 막의 가격을 저감하고 화학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에 나피온 고분자를 함침하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상용막인 Nafion 117과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복합막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함수율과 이온전도도가 증가 하였으나 Nafion 117에 비해 다소 낮은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바나듐 이온의 투과성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 방전 실험 결과, $190{\mu}m$ 두께의 나피온 복합막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Nafion 117과 비교하여 전압효율은 낮아졌지만, 충 방전 효율이 높아져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은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6.4% 중량비에 해당하는 지지체만큼의 과불소화 술폰산 고분자의 중량이 감소함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성능면에서는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를 낮추어 자가 방전 속도를 저하시키면서 충 방전 용량의 감소가 느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leoresin 향신료의 첨가가 계육 Surimi의 냉동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eoresin Spices on the Quality of Chicken Surimi during Frozen Storage)

  • 이성기;민병진;강창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2-299
    • /
    • 2001
  • 기계발골 노계육을 수세하여 제조한 surimi의 저장중 oleoresin 향신료 첨가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계육 surimi에 rosemary, thyme, sage, mace, marjoram, bay를 각각 0.2% 첨가한 후 -18$^{\circ}C$에 14주간 저장하였다. Surimi의 pH는 냉동저장중 감소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향신료 첨가구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향신료 첨가와 상관없이 냉동저장중 명도(L*)가 감소되고 적색도(a*)와 황색도(b*)가 증가하여 저장중 색깔이 어둡고 농후해졌다. Oleoresin 향신료를 첨가하면 대조구에 비해 L*과 a*가 낮고 b*가 높았으며 첨가구별 차이도 심하였다. 이것은 향신료의 자체 색깔에 더 많음 영향을 받았을 뿐 저장중 색깔 개선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향신료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gel 강도가 낮았다. 냉동저장중 모든 surimi에서 지방산화가 촉진되었으며 냉동 14주에 있어서 oleoresin sage가 대조구를 기준으로 TBARS가 42%를 나타내어 가장 산화가 억제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이용된 6종류의 oleoresin 향신료는 surimi의 냉동저장중 지방산화를 억제시켰지만, 색깔과 조직감에는 개선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참기름의 옥배유 혼합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Sesame Oil Mixed with Corn Oil)

  • 서정희;정윤희;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8
    • /
    • 1998
  • 참기름의 이종기름 함유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한 시료와 중국산 참기름에 대하여 지방산, sesamolin 및 sesamin 함량 , AOM에 의한 유도기간을 각각 조사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 acid는 옥배유를 20% 이상 혼입한 참기름에서 국내산 참기름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는 10%의 혼입시에도 미양하나마 함량의 차이를 보였다. 참기름에 옥배유를 혼합할 경우 stearic/linoleic 비율은 옥배유의 혼입된 함량과 비례하였다. 국내산 참기름에 이종기름으로 옥배유를 30% 혼합시에는 sesamolin이 18.3%, sesamin이 21.1% 감소하였다. AOM에 의한 유도 기간은 중국산, 옥배유 20% 혼입 참기름 , 40% 혼입 참기름에서 8.14~9.24 시간 범위였고, 국내산 참기름은 약 16시간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이종기름의 혼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써는 참깨유의 stearic/linoleic 비율, sesamolin 과 sesamin의 함량 및 AOM에 의한 유도기간 측정 등이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울금 추출물 함유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Fat Sausage Containing Curcumin Extract during Cold Storage)

  • 김일석;진상근;박기훈;정기종;김동훈;양미라;정영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61
    • /
    • 2007
  • 울금 추출물을 0, 2.5 및 5.0%를 첨가하여 제조한 저지방 소시지를 냉장 저장시키면서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울금 추출물의 첨가에 의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의 조지방 함량, pH 및 TBARS 값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p<0.05), 저장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처리구 간 보수력, 가열감량, 전단가, 육색, 조직감 및 총균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2.5% 투입한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받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울금 추출물은 지방산화 억제 및 관능적 측면에서 2.5% 첨가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식용대두유에 대한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ices Extracts on Edible Soybean Oil)

  • 지청일;변한석;강진훈;이태기;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1-556
    • /
    • 1992
  • 천연항산화제의 개발과 식용대두유의 가열산화 억제책을 마련하고자 각종 천연 향신료에 대해 식용대두유 가용성물질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함유한 대두유와 정제 정어리유의 혼합유를 조제하여 그 저장 안정성을 살펴보았으며 이때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 rosemary의, 항산화 유효성분을 석유에테르로 추출하여 식용대두유의 가열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용대두유 추출물과 정제정어리유의 혼합하였을 시 저장 안정성은 향초계 향신료 중의 rosemary 와 sage, 종자계 향신료인 mace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osemary의 석유에테르 가용성획분은 식용대두유의 가열산화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녀, 또한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해 볼때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김인환;정숙영;조재선;김영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18-122
    • /
    • 1996
  •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의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들깨의 볶음 온도는 150, 170, 190, $210^{\circ}C$로 볶음 시간은 10, 20, 30분으로 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은 들깨로부터 압착법으로 들기름을 착유시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linolenic acid가 약 60%로 가장 주된 지방산이었고 불포화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의 88% 이상이었다. 들기름중의 인 함량은 들깨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190^{\circ}C$에서 30분, $210^{\circ}C$에서 $20{\sim}30$분 볶아 착유한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들기름중의 tocopherol 함량은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tocopherol이 총tocopherol 함량의 약 92%로 가장 주된 tocopherol이었다. 들기름의 관능검사 결과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들기름의 향미, 맛, 색깔, 종합적 기호도등이 1% 이내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이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지함유식품(油脂含有食品)의 보존성(保存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 -보존조건(保存條件)이 인스턴트 Noodle의 산패도(酸敗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Storage of Fat-Containing Foods (I) -Effect of Storage Factors on the Rancidity of Fried Instant Noodle-)

  • 장현기;성낙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8-23
    • /
    • 1972
  • 인스턴트라면을 태양광선군(太陽光線群), 포장지제거군(包裝紙除去群), 실내보존군(室內保存群), 항온기보존군(恒溫器保存群), 골판지상자 포장군등(包裝群等), 각각(各各)의 조건하(條件下)에서 오개월간(五個月間) 저장(貯藏)하고 함유유지(含有油脂)의 경시변화(經時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Orange 색(色)으로 착색(着色)한 polycello 포장지(包裝紙)로 밀봉(密封)하고 골판지상자에 넣어 실온(室溫) 암소(暗所)에서 저장(貯藏)하면 과산화(過酸化) 물가(物價)(P.O.V.), 산가(酸價)는 Fig. 1과 2와 같이 완만하게 증가(增加)하여 150일(日) 경과후(經過後)에도 안정(安定)한 품질(品質)을 보였다. 관능검사(官能檢査)에 있어서의 변패취(變敗臭)도 150일(日) 경과후(經過後)까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태양광선(太陽光線)을 조사(照射)하거나 포장지(包裝紙)를 제거(除去)하고 실내(室內)에서 방치(放置) 저장(貯藏)하면 P.O.V. 및 A.V.는 Fig 1과 2와 같이 급격(急激)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30일이내(日以內)에 변패취(變敗臭)가 인정(認定)되었다. 3) Polycello 포장지(包裝紙)로 밀봉(密封)하고 실내산광하(室內散光下)에 저장(貯藏)하거나 또는 항온기내(恒溫器內)에서 $30^{\circ}C$ 정도(程度)(하절기(夏節期) 평균기온(平均氣溫)에 상당(相當))로 가온(加溫) 저장(貯藏)하면 P.O.V.의 변화(變化)는 비교적(比較的) 완만하였으나 변패취(變敗臭)는 $90{\sim}120$일경과후(日經過後)에 발생(發生)하였다. 4) P.O.V., A.V. 및 굴절률(屈折率)이 증가(增加)됨에 따라서 iodine value는 Fig. 3과 같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5) 관능검사(官能檢査)에 있어서 변패취(變敗臭)의 발생(發生)은 P.O.V. 함량(含量)과 어느정도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되었으나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다.

  • PDF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조사의 병용이 분쇄돈육의 저장 중 산화와 미생물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Combination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the Oxidative and Microbiological Stability of Ground Pork during Storage)

  • Whang, Key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2-329
    • /
    • 2002
  • 분쇄 돈육을 $N_2$$CO_2$ 가스로 공기 조절 포장한 후 전자선으로 조사하여(0, 1.5, 3.0 kGy) 돈육을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변화와 함께 공기 조절 포장이 전자선 처리에 의한 지방 산화를 억제하는지 관찰하였다. 분쇄 돈육은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처리(1.5와 3.0 kGy)후 4$^{\circ}C$에서 6일간 그리고 -15$^{\circ}C$ 에서 3달 동안 저장하면서 주기적으로 미생물 검사와 지방의 산패치를 측정하였다. 일반세균과 중온균의 경우 1.5와 3.0 kGy의 전자선 조사량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대조구에 비해 그 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주입한 포장은 그 자체로도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저장 중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 데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공기 조절 포장과 전자선 처리의 병용은 저장 중 분쇄 돈육의 미생물 증식과 지방의 산화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