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ve stability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31초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HA Added Mayonnaise)

  • 김재욱;심중환;김종수;한승수;유무영;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9-183
    • /
    • 1996
  • 본 연구는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와 첨가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의 산화안정성을 비교하고, DHA를 첨가한 마요네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한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온$(25^{\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HA가 첨가된 마요네즈의 관능적인 품질은 제조일로부터 5개월 이후부터 현저히 감소되었다. 냉장온도$(4^{\circ}C{\pm}1^{\circ}C)$에서 보관할 경우에도, DHA를 첨가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더 빨리 산화되었다. 그러나, 두가지 마요네즈는 모두가 냉장조건에서 8개월 이내에는 외관상 및 관능상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요네즈가 상온에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DHA가 첨가된 시판 마요네즈는 DHA가 첨가되지 않은 시판 마요네즈보다 유통기한을 2내지 3개월 정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xidative Stability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Imported Product) Treated with Liquid Smoke

  • Cha, Yong-Jun;Park, Sung-Young;Kim, Hun;Jeong, Eun-Jeong;Chung, Yeon-Jung;Kim, Jin-S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01-205
    • /
    • 2001
  • As a series of studies on improving the processing suitability of imported Pacific saury, oxidative stability of seasoned-dried Pacific saury treated with liquid smoke (T2 product) was examined during storage, comparing with control (C, seasoning only) and T1 (treatment of 0.05% BHT instead of liquid smoke). The pH of T2 treated with liquid smok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C and T1 during storage. The contents of volatile basic nitrogen in all products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storage. In the changes of TBA and POV of products during storage, the POV of T2 was lower than that of T1, and the TBA values of T1 and T2 were lower than that of C product. The major fatty acids were 22 : 1n-11, 20 : 1n-11, 16 : 0, 14 : 0, 22 : 6n-3, 20 : 5n-3, 18 : 4n-3, 16 : 1n-7, 14 : 1n-7 and 18 : 1n-9 in the both C and T2 products. The conten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hath C and T2 somewhat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while those of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 PDF

냉동탕수육의 튀김횟수에 따른 튀김유지와 산화안정성 (Effects of Reusing Time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Frying Fat for Frozen Battered Pork)

  • 이현규;이주영;송은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1-234
    • /
    • 2000
  • 시판 탕수육을 대두유와 shortening으로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튀긴 후 탕수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변화와 튀김유의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통한 한계 사용 횟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튀김유의 TBA값은 대두유가 shortening보다 사용횟수에 따른 증가가 뚜렷하였으나, 탕수육의 경우에는 반대로 shortening을 사용한 탕수육이 대두유로 튀긴 탕수육보다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튀김횟수 증가에 따른 튀김유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증가하였으며 shortening에서 과산화물가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대두유로 튀긴 탕수육의 TBA값과 가장 상관 관계가 높은 풍미를 선정하여 한계사용횟수를 구한 결과 약 9회로 나타났고, shortening으로 튀긴 탕수육의 TEA 값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인자인 조직감을 선정하여 한계 사용횟수를 측정한 결과 약8회로 나타났다. 대우유와 shortening의 한계사용횟수를 예측하기 위해 식품공전에 규정된 산가를 회귀방정식에 대입한 결과 두 기름 모두 약 8회로 나타나 위의 결과와 비슷한 한계사용횟수를 나타났다.

  • PDF

Understanding Deactivation of Ru Catalysts by In-situ Investigation of Surface Oxide Stability under CO Oxidation and Oxidative/Reductive Conditions

  • Qadir, Kamran;Joo, Sang-Hoon;Mun, Bong-Jin S.;Park, Jeong-Young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12-212
    • /
    • 2011
  • In addition to the catalysts' activity and selectivity, the deactivation of catalysts during use is of practical importance.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f the deactivation to predict the loss of activity during catalyst usage so that the high operational costs associated with catalyst replacement can be reduced. In this study, the activity of Ru catalysts, such as nanoparticles (3~6 nm) and polycrystalline thin film (50 nm), have been investigated under CO oxidation and oxidative/reductive reaction conditions at various temperatures with the ambient pressur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PXPS). With APXPS, the surface oxides on the catalyst are measured and monitored in-situ. It was found that the Ru film exhibited faster oxidation-and-reduction compared to that of nanoparticles showing mild oxidative-and-reductive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the larger Ru nanoparticles showed a higher degree of oxide formation at all temperatures, suggesting a higher stability of the oxide. These observations are in agreement with the catalytic activity of Ru catalysts. The loss of activity of Ru films is correlated with bulk oxide formation, which is inactive in CO oxidation. The Ru nanoparticle, however, does not exhibit deactivation under similar conditions, suggesting that its surface is covered with a highly active ultrathin surface oxide. Since the active oxide is more stable as nanoparticles than as a film, the nanoparticles showed mild oxidative/reductive behavior, as confirmed by APXPS results. We believe these simultaneous observations of both the surface oxide of Ru catalysts and the reactivity in real time enable us to pinpoint the deactivation phenomena more precisely and help in designing more efficient and stable catalytic systems.

  • PDF

산화촉진제 공존하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의 산화특성 (Oxidative Characteristics of Triglyceride Molecular Species in the Presence of Prooxidants)

  • 윤형식;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2
    • /
    • 1990
  • 산화촉진제 존재하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의 산화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규산 컬럼으로 분획한 대두유 트리글리세리드에 $Fe^{2+}$와 heme 화합물인 myoglobin을 첨가하여 이들 산화촉진제가 트리글리세리드 각 분자종의 신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두유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산화촉진효과는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myoglobin이 $Fe^{2+}$보다 켰으나,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의 산화안정성에 있어서는 첨가한 산화촉진제의 종류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 산화촉진제의 효과는 분자종의 구성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낮은 경우는 뚜렷하였으나 불포화도가 높은 경우는 뚜렷하지 않았다. 그리고 산화촉진제를 첨가하였을 때 트리글리세리트 분자종의 산화안정성은 분자종의 이중결합수가 같은 경우는 구성지방산의 불포화도가 낮을수록 높았으나, 구성지방산의 불포화도가 같은 경우 공존하는 포화지방산 acyl기의 사슬길이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금은화, 황련, 상엽 추출물 혼합물과 항생제(Albac G150) 급여가 계육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Medicinal Herb Extract Mix and Antibiotics (Albac G150)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Chicken Meat)

  • 정사무엘;송현파;최준호;김빛나;신명호;이봉덕;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9-37
    • /
    • 2008
  • 천연 한약재인 금은화, 상엽, 황련(48.5 : 48.5 : 3.0)으로부터 얻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0.3%와 항생제(Albac G150) 0.05%를 육계에 각각 급여한 후 닭 가슴육과 다리육의 산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복합 한약재 추출물이나 항생제 모두 급여하지 않은 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닭가슴육의 총 페놀 함량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가장 높았고, 항생제 급여구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자 공여능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항생제 급여구에 비해 닭다리육 0일차 저장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 또한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지방산패도는 일반적으로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실험결과 항생제 급여구나 대조구에 비해 복합 한약재 추출물 급여구가 계육의 산화 안정성에 효과적이었으며, 기능성 천연 물질의 급여는 항생제 대체뿐만 아니라 계육의 부가적 기능의 향상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들깨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들깨 종실 발아의 영향 (The Effect of Germination of Perilla Seed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Oil)

  • 김충기;송근섭;권용주;김인숙;이태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8-183
    • /
    • 1994
  • 들깨 종자 발아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햇들깨와 묵은들깨를 $28^{\circ}C$에서 $2{\sim}3$일간 발아시켜 각각의 들깨와 발아들깨로부터 들기름을 추출한 후 이들 4종류의 들기름의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들기름의 종류에 따라 요오드가와 검화가에서는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산가의 경우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이 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보다 높았다. 중성지방질의 조성에서는 발아에 의해 triacylglycerol 함량은 감소하는 반면 유리 지방산과 diacylglycerol 함량은 증가하였다. 극성지방질중 phosphatidyl ethanolamine의 함량이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들기름의 총 tocopherol 함량은 $439{\sim}560\;ppm$으로 햇들깨와 묵은들깨 모두 발아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gamma}-tocophero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각 들기름의 산화안정성 차이는 햇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이 묵은들깨에서 추출한 들기름보다 4배 이상 산화안정성이 높았으며 발아에 의해 묵은들깨의 경우는 산화안정성이 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햇들깨의 경우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비육기간이 홀스타인육 패티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ttening Period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Holstein Beef Patties)

  • 김종인;강선문;강근호;성필남;정석근;박범영;김천제;조수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91-496
    • /
    • 2012
  • 본 연구는 비육기간이 홀스타인육 패티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8, 21 및 24개월령 홀스타인 거세우 등심(M. longissimus dorsi) 패티를 $4^{\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지방산화, 단백질산화, 육색소산화 및 육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지방 함량은 24개월령이 18개월령보다 높았다(p<0.05). 저장 중 TBARS 함량과 metmyoglobin 농도는 8일째부터 24개월령이 높았다(p<0.05). Conjugated dienes 함량은 저장 4일째부터 21과 24개월령이 높았으며(p<0.05), carbonyl 함량은 12일째에 24개월령이 높았다(p<0.05). 표면육색 중 명도($L^*$)는 저장 4일째부터 21과 24개월령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a^*$)는 24개월령이 저장기간 동안 가장 빨리 감소하였으나 (p<0.05), 황색도($b^*$)는 가장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비육기간이 높을수록 홀스타인육 패티의 지방산화, 단백질산화, 육색소 산화가 촉진되었다. 특히 24개월령의 산화안정성이 가장 낮았다.

볶음온도에 따른 참기름의 항산화성분 변화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esame Oils with Roasting Temperature)

  • 김현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46-251
    • /
    • 2000
  • 볶음온도$(110^{\circ}C{\sim}230^{\circ}C)$에 따른 항산화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170^{\circ}C$ 이상에서 백색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리그난변화에 있어서는 검출된 7종의 lignan들은 $170^{\circ}C$까지의 온도변화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sesamolin은 $170^{\circ}C$ 이후 급격히 감소되었고, sesamin은 약간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sesamol, unknown1, unknown3은 $170^{\circ}C$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토코페롤 함량변화에 있어서는 ${\gamma}$체만이 검출되었으며, 미가열참깨의 경우 70.59mg%, 온도상승에 따라 $170^{\circ}C$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190^{\circ}C$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20^{\circ}C$에서는 33.87mg%이었고, $230^{\circ}C$에서는 26.73mg% 이었다. 산화안정성에 있어서는 미가열참깨의 경우 유도기간이 4.12hr로 가장 낮았고, 볶음온도상승에 따라 증가하다가 $170^{\circ}C$ 이후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화안정성과 백색도의 상관계수는 -0.993, $170^{\circ}C$ 이상에서 산화안정성과 sesamol의 상관계수는 0.934이었다. 따라서, 볶음온도에 따른 이러한 산화안정성의 현저한 증가는 sesamol, unknown1, unknown3 등 리그난의 증가에서 비롯됨을 알수 있었다.

  • PDF

Production system influences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in gluteus medius muscle

  • Ana Paula Amaral de Alcantara Salim;Micheli da Silva Ferreira;Maria Lucia Guerra Monteiro;Loise Caroline Santos de Lima;Isabelle Trezze Marins Magalhaes;Carlos Adam Conte-Junior;Sergio Borges Man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5호
    • /
    • pp.785-796
    • /
    • 2023
  • Objective: We aimed to evaluate the color and oxidative stability of beef gluteus medius (GM) from cattle raised in organic and non-organic production systems. Methods: The GM samples (n = 10) were obtained from organic (ORG; n = 5) or nonorganic (NORG; n = 5) beef samples, sliced into 2.54-cm steaks, packaged in aerobic conditions, and stored for nine days at 4℃. ORG and NORG steaks were compared regarding myoglobin concentration, pH, instrumental color, delta E (ΔE), metmyoglobin reducing activity (MRA), and lipid oxidation on days 0, 5, and 9. Results: Feeding system did not influence (p>0.05) the myoglobin concentration. ORG steaks exhibited greater (p<0.05) meat pH, yellowness, and MRA, whereas NORG steaks exhibited greater (p<0.05) redness, chroma, R630/580, delta E, and lipid oxidation. ORG and NORG steaks exhibited similar (p>0.05) lightness and hue angle. During storage, ORG and NORG exhibited an increase in muscle pH, hue angle, and lipid oxidation; and a decrease (p<0.05) in redness, yellowness, chroma, and color stability (R630/580). Both samples exhibited a stable (p>0.05) pattern for lightness and MRA. Conclusion: Therefore, the production system can affect beef color and lipid stability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