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iposition rat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땅콩 급여에 의한 광대노린재(Poecilocoris lewisi)의 인공 사육 : 발육 특성, 기주 및 산란선호성 (Artificial Rearing of Red-striped Golden Stink Bug, Poecilocoris lewisi(Hemiptera : Scutelleridae) on Peanut :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Host Plant and Oviposition Preference)

  • 김남정;설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3-138
    • /
    • 2003
  •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25\pm1^{\circ}C$, 60$\pm$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pm$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pm$0.2일,2령 8.4$\pm$0.5일, 3령 6.4$\pm$0.4일,4령 7.4$\pm$0.3일,5령 12.6$\pm$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물바구미의 생식과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Rice Water Weevil, Lissorhoptrus oryzophilus (Coleoptera: Curculionidae))

  • 이기열;장영덕;안기수;강호중;박성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3-128
    • /
    • 2002
  • 벼물바구미의 생식과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2$0^{\circ}C$에서 3$0^{\circ}C$사이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20, 25, 3$0^{\circ}C$에서 산란전기간은 5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3월에 채집한 충에서 길었다. 그러나 같은 온도조건에서 산란기간은 3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5월에 채집된 충이 길었다. (16.9일, 22.0일).산란기간이 긴 5월 채집충이 산란수도 많은 결과를 가져왔다. 난기간은 15.1일(2$0^{\circ}C$)에서 4.5일(3$0^{\circ}C$)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그리고 부화율은 27$^{\circ}C$에서(100%) 가장 높았다. 난부터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았다; 2$0^{\circ}C$에서 77.9일, 3$0^{\circ}C$에서 38.3일이었다. 난 발육영점온도(T)와 유효적산온도(K)는 각각 16.3$^{\circ}C$와 62.1일도이었다. 난에서 성충우화까지는 각각 13.9$^{\circ}C$와 577.6일도이었다. 제1세대 성충은 2$0^{\circ}C$에서 산란하지 못하였고, $25^{\circ}C$와 3$0^{\circ}C$에서는 산란하였다. 내적자연증가율(r$_{m}$ )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1세대당 순증식율(Ro)은 $25^{\circ}C$에서 가장 높았다(75.3).

기주에 따른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Host Dependent Oviposition and Development of Azuki Bean Weevil (Callosobruchus chinensis L.) in Different Leguminous Seeds)

  • 김슬기;이수미;박준홍;송국;신병식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46-352
    • /
    • 2016
  •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의 산란 선호성 및 성장 조사를 위해 6가지 콩과식물 종자인 팥, 흑태, 백태, 서리태, 서목태, 강낭콩을 선택, 실험을 하였다. 각 종자당 산란수는 팥 1.23개, 서목태 1.13개, 서리태 1.05개, 백태 0.69개, 흑태 0.61개로 나타났으며, 둘째 날(48 h) 최고 산란수, 넷째날(96 h) 최저 산란을 나타냈다. 유충 성장기간이 기주식물에 따라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팥, 서리태, 흑태, 백태, 서목태(83.33%, 28.23%, 27.87%, 20.44%, 11.59%)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종자에서 팥과 3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성충 수명은 암컷보다 수컷이 대부분 길었고 암컷의 경우 팥 9.43일, 서리태 8.86일, 흑태 7.88일, 백태 7.17일, 서목태 6.80일로 나타났다. 각 성충의 무게는 암수 모두 팥에서 가장 무겁고, 수컷은 서목태, 암컷은 백태에서 최소 무게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팥바구미는 팥 이외의 기주에서는 산란, 우화율, 성충 수명, 성충 무게 감소가 나타났고 반면 우화시기도 지연되었다. 한편 강낭콩에서 산란과 우화는 전혀 없었는데 이것은 강낭콩 종피에 산란과 우화 억제물질이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물질의 활용으로 콩바구미과 피해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먹이 곤충에 따른 Orius strigicollis(Poppius)의 발육과 산란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Orius strigicollis (Poppius) (Hemiptera: Anthocoridae) reared on three different insect preys)

  • 김정환;한만위;이건형;김용헌;이정운;인치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6-171
    • /
    • 1997
  • 총채벌레류의 유력천적인 Orius strigicollis의 연중 실내사육에 적합한 대체먹이를 선발하고자 먹이 곤충으로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 긴털가루응애를 각각 급여하여 O. strigicollis의 발육과 산란수를 $25\pm$$1^{\circ}C$, RH60-80%, 16L:8D 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약충기간 중 생존율과 발육기간은 목화진딧물 급여시 81.6%와 11.6일, 점박이응애 급여시 56.7%와 14.6일, 긴털가루응애 급여시 42.3%와 16.5일 이었으며, 성충기간 중 총산란수는 목화진딧물 급여시 68.5개, 점박이응애 급여시 46.1개, 긴털가루응애 급여시 26.5개로 3종의 먹이곤충 중 목화진딧물 급여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the lawn cutworm, Spodoptera depravata (Lepidoptera: Noctuidae)

  • Jeong, Su Yeon;Lee, Byeong Yeo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8권2호
    • /
    • pp.38-50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the lawn cutworm, Spodoptera depravata (Lepidoptera: Noctuida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causing economic damage in grass production. For larval culture, we provided the zoysiagrass at $25^{\circ}C$ and $60{\pm}5%$ humidity. The dur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ges were as follows: $4.11{\pm}0.19$ days for eggs, $25.17{\pm}3.02$ for larvae, $8.80{\pm}0.28$ for pupae, and $7.57{\pm}0.95$ for adults. We grew the larvae to the 7th instar stage, unlike previous studies, in which it was assumed that the 6th instar was the final ag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ody length and head capsule width of each instar larvae. In terms of morphology, the eggs changed from light green immediately following oviposition to black as they developed, and the grass-fed larvae changed from light yellow immediately after hatching to green as development continued. We observed a pattern of black spot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dorsal sides of the abdomens of the final instar larvae. Furthermore, we detected two notable designs on the dorsal side of the front of the head. The pupal colors changed from light brown and green immediately after pupation, to dark brown as the pupal cuticle hardened. The wingspans of the adults were similar in both sexes. However, the forewings of the males had obvious outer lines and eyespots with dark gray-brown backgrounds, whereas the corresponding features on the female forewings were less obvious. The oviposition preperiod was 2.11 days, the oviposition period was 4.2 days, the average fecundity per female was approximately 341 eggs, and the hatching rate was approximately 76.1%.

갈색거저리 유충 생산을 위한 효율적인 사육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Optimal Rear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enebrio molitor Larvae)

  • 김시현;김종철;이세진;김재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21-429
    • /
    • 2016
  • 사료용 곤충 중에서 갈색거저리 유충은 사료용 및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유충 확보를 위한 대량사육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거저리 성충의 산란율 증가를 위한 밀기울+추가 사료 조건 별 산란율 비교, 산란 기간과 유충 크기의 균일성, 사육 밀도와 온도에 따른 발육 양상, 알과 번데기의 저온 보관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기본 사료인 밀기울에 당근과 애호박을 추가로 처리한 결과, 성충의 산란수와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성충의 산란 기간을 3일과 7일 동안 각각 달리한 결과, 14일 동안 산란을 받은 처리구에 비해 높은 유충 크기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육은 20, 25, 30, $35^{\circ}C$ 조건 중에서 $30^{\circ}C$에서 가장 빨랐으며, $20^{\circ}C$에서는 산란수는 많았지만, 상대적으로 느린 생육 특성을 보였고, 자연 치사율이 증가하여 일정한 크기의 유충 확보가 용이하지 않았다. 사육용기에 갈색거저리 유충을 1, 10, 20, 30, 40, 50마리 밀도로 사육한 결과,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충의 생존율과 길이 생육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무게 생장은 감소하였다. 사육 밀도를 30마리(/직경 90 mm 용기)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30마리 이상으로 유지할 경우 개체의 발육이 늦어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갈색거저리의 알과 번데기를 $4^{\circ}C$에 보관하였을 때, 알은 9시간, 번데기는 10주 이상 보관하면 부화율과 우화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보관 충태는 알보다는 번데기가 더 적합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갈색거저리 성충의 생존율과 산란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식물체 사료의 공급이 필요하며, 고품질의 균일한 충체 확보를 위해 산란을 7일 이상 받지 않을 것을 추천하고, $30^{\circ}C$ 근처의 사육온도에서 30마리/90 mm 용기 이하의 사육 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저장 보관 과정에서 알보다는 번데기 형태로 보관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갈색거저리 유충의 대량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의존 발육 및 산자 단위모형 (Temperature-driven Models of Lipaphis erysimi (Hemiptera: Aphididae) Based on its Development and Fecundity on Cabbage in the Laboratory in Jeju, Korea)

  • 오성오;권순화;김태옥;박정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19-128
    • /
    • 2016
  • 본 연구는 양배추에서 무테두리진딧물의 온도발육실험, 성충수명, 산자실험을 통해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약충의 온도발육모형, 무시성충의 산자모형 작성에 필요한 기본모형들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6개의 온도(10, 15, 20, 25, 30, $35{\pm}1^{\circ}C$, 16L:8D)에서 실험한 결과로 저온인 $10^{\circ}C$에서는 성공적으로 발육하지 못했다. 약충 발육기간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30^{\circ}C$까지는 감소하였고 $35^{\circ}C$에서는 다시 증가하였는데, $15^{\circ}C$에서 18.5일, $30^{\circ}C$에서 5.9일 이었다. 약충전체 직선회귀식에서 발육영점온도(DT)는 $7.9^{\circ}C$로 나타났으며, 유효적산온도(DD)는 126.3일이었다. 전기약충(1+2령), 후기약충(3+4령), 전체약충 발육률에 대한 비선형모형(Lactin 2 model)과 발육기간 분포 모형(Weibull model)을 작성하였다. 성충수명은 $15^{\circ}C$에서 비정상적으로 18.2일을 보였고, $20^{\circ}C$에서 24.4일, $30.0^{\circ}C$에서 16.4일의 범위에 있었으며, 성충 생리적 연령계산을 위한 노화율 모형작성에 이용되었다. 총 산자수는 $20^{\circ}C$에서 91.6마리로 최대값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무테두리진딧물 무시성충 산란모형 작성에 필요한 온도별 총산자수, 연령별 누적산자율, 연령별 생존율 모형 등 3개의 기본모형을 추정하였다.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o Break Diapause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terrestris

  • Yoon, Hyung-Joo;Lee, Kyeong-Yong;Hwang, Jae-Sam;Park, In-G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0권2호
    • /
    • pp.93-98
    • /
    • 2010
  • Bumblebees are widely used to pollinate various crops, especially tomato, in greenhouses and fields. An artificial hiberna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rearing of the bumblebee, which passes through one generation per year.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a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ffect artificial hibernation of the bumblebee queen Bombus terrestris. In chilling temperature regimes of $0^{\circ}C$, $2.5^{\circ}C$, $5^{\circ}C$, $7.5^{\circ}C$ or $12.5^{\circ}C$ under constant humidity >70%, the queens stored at $2.5^{\circ}C$ exhibit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which was 74.0% at one month, 67.0% at two months, 60.0% at three months, 46.0% at 4 months, 33.0% at 5 months, and 24.0% at 6 months. Rates of survival decreased at the following temperatures: $0^{\circ}C$, $5^{\circ}C$, $7.5^{\circ}C$ and $12.5^{\circ}C$. Colony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fter diapause were 1.2- to 1.5-fold higher than those of queens stored at $5^{\circ}C$. In terms of chilling humidity, the queens hibernated at 70% under $2.5^{\circ}C$ exhibited the highest rate of survival, which was $93.3{\pm}3.4%$ at one month, $83.3{\pm}0.0%$ at two months, $76.7{\pm}0.0%$ at 3 months and $36.7{\pm}12.1%$ at 5 months.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f queens hibernated at 70% were 80.8%, 30.8% and 30.8%, respectively. These values correspond to 1.7- to 3.3-fold increases in comparison to queens stored at 50% humidity. Therefore, $2.5^{\circ}C$ and 70% R.H. were the favorable chi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diapause break of B. terrestris queens.

The effects of cold treatment on the pupal period, emergence rate, and number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spawned

  • JANG, Heeseung;CHOI, Moon Bo;LEE, Hyoki;KIM, Yeongbu;KWON, Ohseok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550-558
    • /
    • 2018
  • To develop a system for the mass production of Protaetia brevitarsislarvae (Pbl), this study analyz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ird instar Pbl through successive rearing and cold treatments. In the first generation, females laid 50 eggs each on average, and spawned higher numbers of eggs for the first 5 days but then fewer after this. However, all of the $2^{nd}$-generation females that were produced through the successive rearing of eggs from the $1^{st}$ generation did not spawn. When test insects (TI) were raised at $32^{\circ}C$, their $mean{\pm}SE$ pupal period and emergence rate were $28.4{\pm}1.9$ days and 87%, respectively. However, most individuals raised in cold treatments ($5^{\circ}C$ and $-5^{\circ}C$) without a pre-cooling period did not survive. Individuals exposed to a pre-cooling period, however, had a 7-10 days longer pupal period than those raised at $32^{\circ}C$, and their emergence rate (90%) was slightly higher. Different cold treatment temperatures ($0^{\circ}C$, $3^{\circ}C$, or $5^{\circ}C$) and periods (30 or 60 days) were tested in further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group kept for 30 days at $0^{\circ}C$ and $3^{\circ}C$ had the shortest pupal period of all, and emergence rates exceeded 90% in most group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eggs spawned by the second generation females after cold treatments, the experimental groups held in cold treatments at $5^{\circ}C$ for 30 and 60 days were found to spawn the most eggs. Con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t $5^{\circ}C$ for 30 days was the most effective set of conditions tested during the entire breeding period.

쌍별귀뚜라미,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의 사육밀도가 섭식량, 성충사망률 및 부화 약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density on food consumption, adult mortality and mean number of hatchlings of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 박영규;이형근;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89-94
    • /
    • 2013
  • 쌍별귀뚜라미의 먹이 섭식량, 부화기간, 성충사망률, 사육밀도 및 성비에 따른 부화 약충수와 산란경향을 실내사육실($25{\pm}5^{\circ}C$, $60{\pm}10%$RH)에서 조사하였다. 사육중인 성충의 사육밀도가 50 ~ 400 개체로 증가할 때 사육밀도에 관계없이 하루에 $0.067{\pm}0.008g$의 사료를 섭식하였고 무는 0.128 ~ 0.068 g을 섭식하여 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산란된 알은 부화시작 후 6일차까지 95.8%가 부화하였다. 평균 사망률은 사육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일차함수로 증가하여 8주차에 93.9%가 사망하였다. 암컷 100개체의 사육밀도일 때 암컷 한 개체당 총 부화 약충수는 $248.8{\pm}17.8$ ($mean{\pm}SD$) 개체로 200 개체일 때의 $172.2{\pm}10.6$ ($mean{\pm}SD$) 개체보다 많았다. 암컷과 수컷의 성비는 부화약충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란 시작후 일차별로 산란수의 증감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3주차까지 총 산란수의 81.5%를 산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