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wintering site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의 월동처와 월동 사충률 (Overwintering Sites and Winter Mortality of Tetranychus urticae in an Apple Orchard in Korea)

  • 이중섭;이선영;도윤수;이성찬;조일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1-357
    • /
    • 2015
  • 사과 재배포장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월동은 사과나무의 여러 장소에서 5~15마리의 성충 암컷이 개체군을 형성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월동중인 암컷들은 대부분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유충의 고치가 있는 조피사이의 갈라진 틈에서도 발견되었으며, 부주지 상에 형성된 좁은 조피틈과 과실 수확 후 남아있는 꽃자루에서도 발견되었으나 월동 개체수는 매우 적었다. 또한, 월동중인 암컷들은 결과지의 기부에 형성된 거친껍질 및 눈의 기부, 여러 작은가지의 분지부위 좁은틈에서도 발견되었다. 한편, 수체상에 형성된 일부 점박이응애 월동장소로 죽은 개각충속, 깍지벌레 빈껍질속, 진딧물의 미라속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들 장소에서의 월동 응애수는 매우 적었다. 2년에 걸쳐 수행된 본 연구에서 점박이응애의 월동중 암컷 성충의 사망률은 평균 72~80%로 매우 높았으며, 이는 이들 응애가 겨울 동안 추위에 견디는 저항력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의 월동처와 본답발생 (Overwintering Site and Seasonal Occurrence of the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Hemiptera: Pentatomidae) in the Rice Paddy Field)

  • 이기열;박성규;안기수;최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1-296
    • /
    • 2004
  • 충북지역에서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월동처와 본논발생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벼먹노린재 월동성충은 월동처에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 유아등에 포획되었으며, 이동최성기는 6월 하순이었다. 본논에서 각 태별 발생 피크는 월동성충이 7월 중순, 알이 7월 하순, 약충은 8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제 1대 성충은 9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 피크를 보였다. 월동태는 성충이며, 월동충은 산기슭, 제방, 논뚝에서 발견되었다.

D-PSA-K: A Model for Estimating the Accumulated Potential Damage on Kiwifruit Canes Caused by Bacterial Canker during the Growing and Overwintering Seasons

  • Do, Ki Seok;Chung, Bong Nam;Joa, Jae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37-544
    • /
    • 2016
  • We developed a model, termed D-PSA-K, to estimate the accumulated potential damage on kiwifruit canes caused by bacterial canker during the growing and overwintering seasons. The model consisted of three parts including estimation of the amount of necrotic lesion in a non-frozen environment, the rate of necrosis increase in a freezing environment during the overwintering season, and the amount of necrotic lesion on kiwifruit canes caused by bacterial canker during the overwintering and growing seasons. We evaluated the model's accuracy by comparing the observed maximum disease incidence on kiwifruit canes against the damage estimated using weather and disease data collected at Wando during 1994-1997 and at Seogwipo during 2014-2015. For the Hayward cultivar, D-PSA-K estimated the accumulated damage as approximately nine times the observed maximum disease incidence. For the Hort16A cultivar, the accumulated damage estimated by D-PSA-K was high when the observed disease incidence was high. D-PSA-K could assist kiwifruit growers in selecting optimal sites for kiwifruit cultivation and establishing improved production plans by predicting the loss in kiwifruit production due to bacterial canker, using past weather or future climate change data.

밀양에서 월동하는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nomics of Overwintering Green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in Milyang)

  • 배순도;송유한;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0-145
    • /
    • 1996
  • 밀양에서 끝동매미충 개체군의 월동상채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현황은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 4령약충이 약 77~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약 15~17%의 3령약충과 약 3%의 5령약충이었다.이러한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비율은 월동중 채집시기와 함께 2령약충과 3령약충의비율이 상재덕으로 감소하고 5령약충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이듬해 2월 20일에는 5령약충의 비율이 13~16% 였으며, 월동후기인 3월에는 5령약충과 성충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 3월 19일에는 5령약충이 약 70-71%였고, 4월 8일에는 성충의 비율이 약 47~50%를 차지하였다. 끝동매미충의 두 월동기간 시기별 영기수성 현황을 수치로 환산한 평균령기는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는 각각 약 3.91령기와 3.86령기였으며, 이듬해 2월 20일에는 각각 4.11령기와 4.07령기, 3월 19일 에는 각각 약 4.75령기와 4.79령기였고, 4월 8일에는 각각 약 5.42령기와 5.45령기였다. 한편 끝동매미충의 시기별 영기구성 및 평균령기는 두 월동기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끝동매미충이 월동에 들어가는 초기(11월 12월상순)의 기온과 월동후기(3월)의 기온에 따라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끝동매미충의 채집기간 평균령기를 비교한 발육지수의 값이 대체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월동중에도 끝동매미충은 발육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동매미충의 월동장소별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 서 현저히 높았다.

  • PDF

배나무에서 복숭아순나방의 발생과 피해 (Occurrence of and Damage by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in Pear Orchards)

  • 양창열;한경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7-123
    • /
    • 2001
  • 배 과수원에서 복숭아순나방의 발생과 피해에 대하여 1996년부터 2000년에 걸쳐 나주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배나무에서 월동하는 유충의 밀도는 조생종에서 낮았으나 감천배와 만삼길과 같은 만생종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품종의 수확시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월동 유충은 배나무의 주지와 주간과 같이 지표면과 가까운 곳에서 월동하였다. 월동유충은 2월 중순부터 용화하기 시작하였고 3월 하순부터 우화하였다. 배 과수원에서 복숭아순나방은 3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 페로몬 트랩에 유인되었으며 년 4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발생 세대의 유충은 배나무의 신초와 과실을 가해하였다. 그러나 1, 2세대의 유충은 주로 신초에 피해를 주며 3, 4세대 유충은 과실을 가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심식나방류 유충에 의해 피해를 받은 배 과실 중에서 거의 대부분은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것이었으며 복숭아심식나방과 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 과실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감나무 탄저병균(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월동 전염원 조사 (Survey of Overwintering Inoculum Potential of Anthracnose of Sweet Persimmon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 권진혁;정선기;정부근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204-206
    • /
    • 2007
  • 2006년에서 2007년까지 2년간 자연상태에서 월동후 식물체 부위별 단감 탄저병의 병원균 분리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병든 가지의 병반과 눈, 죽은 가지, 잎자루, 잎, 건전한 가지와 눈, 월동한 과실 등에서 조사를 하였다. 4월에 조사한 결과 병든 가지의 병반에서 93.3% 분리되었으며, 병든 가지 눈에서 46.7% 분리되었으며, 죽은 가지에서 36.7% 병원균이 분리되었다. 잎자루에서 23.3% 분리되었으며, 잎에서 16.7% 분리가 되었으며, 낙과된 과실에서 6.7% 분리되었지만 건전한 가지와 눈에서는 병원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육중에 가지, 잎, 잎자루, 과실에 발생한 병든 부위에서는 병원균이 100%분리되었다.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토양내 수직분포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Vertical Distribution of Larger Black Chafer (Holo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in Soil)

  • 김기황;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4-199
    • /
    • 1988
  • 1984년부터 1986년 까지 야회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의 토양내 수직분포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종 모두 란, 섭식지유충 및 성충은 주로 지표에서 10cm깊이에 위치하였으며 유츙이 월동을 위해 밑으로 이동을 시작하는 시기는 10월 하순-11월 상순으로 5cm깊이의 지온이 $10^{\circ}C$ 내외로 떨어진 때였다. 유충의 월동깊이는 큰검정풍뎅이가 10-40cm, 참검정풍뎅이가 30-80cm였다. 큰검정풍뎅이는 월동장소에서 그대로 부하 및 우화하였으나 참검정풍뎅이는 월동 후 이듬해 4월에 다시 지표 가까이로 올라와 섭식 하다 6월하순경 다시 ?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10-40cm, 깊이에서 부하 및 우화하여 월동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