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denture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Overdenture 하에서 하악응력 및 의치의 변위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NDIBULAR STRESSES AND DENTURE MOVEMENTS INDUCED BY OVERDENTURES)

  • 김정희;정재헌;조규종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3-94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placement and the magnitude and the mode of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in the lower overdenture, the mucous membrane, the abutment tooth and the mandibular supporting bone when various denture base materials, such as acrylic resin and 0.5mm metal base, and various denture base design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loading schemes. For this study, the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Mandibular arch models, with only canine remaining, were fabricated. In the first denture base design, a space, approximately 1mm thick, was prepared between the denture and the dome abutment. In the second denture base design, contact between the denture and the dome abutment was eliminated except the contact of the occlusal third of the abutment. In order to represent the same physiological condition as the fixed areas of the mandible under loading schemes, the eight nodes which lie at the mandibular angle region, the coronoid process and the mandibular condyle were assumed to be fixed. Each model was loaded with a magnitude of 10 kgs on the first molar region(P1) and 7 kgs on the central incisal region (P2) in a vertical direction. Then the force of 10 kgs was applied distributively from the first premolar to the second molar of each model in a vertical direction(P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hen the testing vertical loads were given to the selected points of the overdenture, the overdenture showed the rotatory phenomenon, as well as sinking and the displacements of alveolar ridge, abutment and lower border of mandible under the metal base overdenture were less than those under the acrylic resin overdenture. 2. The maximum principal stresses(the maximum tensile stresses) being considered, high tensile stresses occured at the buccal shelf area,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idge crest and the an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ular ramus. 3. The minimum principal stresses(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es) being considered, high compressive stresses occured at the inferior and pos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le, the mandibular angle and the posterior border region of the mandibular ramus. 4. The vertical load on the central incisal region(P2) produced higher equivalent stress in the mandible than that on any other region(P1, P3) because of the long lever arm distance from the fixed points to the loading point. 5. Higher equivalent stress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metal base overdenture than the resin base overdenture under the same loading condition. 6. The case of occlusal third contact of the abutment to the denture produced higher equivalent stresses in the abutment, the mandibular area around the abutment and the overdenture than the case of a 1mm space between the denture and the abutment. 7. Without regard to overdenture base materials and designs, the amount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equivalent stresses under the same loading condition were similar in the mucous membrane.

  • PDF

장기간의 유지관리 실패로 인해 파절된 임플란트 피개의치 재수복 증례 (Retreatment of fractured implant overdenture due to long-term maintenance failure)

  • 김민지;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35-242
    • /
    • 2018
  •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치주적, 보철적 유지관리는 보철물과 임플란트의 장기적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유지관리의 실패는 임플란트 주위 골소실 및 보철물이나 구성품의 파절 및 마모로 인해 보철적 실패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증례에서는 유지관리 실패로 파절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재치료를 위해 기존의 골드 milled bar를 코발트 크롬 milled bar로 외형에 방해되지 않는 형태로 재제작하였고, 하악의 기존 고정성보철은 임플란트 주변 골흡수와 환자의 전신적 문제로 인해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선택하여 두 개의 임플란트에 CM LOC을 연결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재수복하였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위생관리를 수월하게 하는 디자인의, 기능적 심미적으로 장기간 유지관리에 유리한 보철물로 수복하였고 정기적인 유지관리를 시행하였다.

상악 임플랜트 Overdenture에서 Bar Attachment 설계에 따른 유지력 변화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RETENTIVE FORCES IN MAXILLARY OVERDENTURE BAR ATTACHMENTS)

  • 손차영;정창모;전영찬;임장섭;정희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0-661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It could be hypothesised that attachments, which provide more retention against vortical and horizontal dislodgement, will be associated with more favorable parameters of oral function. Purpose: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of initial retentive force and retention loss of different bar attachment systems recommended for use with maxillary implant overdentures. Material and method: 4 implants were placed in the anterior region of edentulous maxilla, five different systems of bar attachment were fabricated as follows: cantilevered Hader bar using clips (Type 1), Hader bar using clips without cantilever (Type 2), Hader bar using clip and ERA attachment orange male (Type 3), Hader bar using clip and ERA attachment white male (Type 4), and Bar using magnets (Type 5). Each samples were placed in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determination of retentive forces(at initial and after every 200 cycles up to 1,000 cycles). Results and Conclusion 1. Attachment type 1 showed the biggest initial retentive force followed by type 3, type 2, type 4, and lastly type 5(P<0.001). 2.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of attachments, significant loss of retentive forces was taken place except for attachment type 5. 3.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the loss of retentive force between type 1 and type 2, which used Hader bar and clip attachments. was greater in type 1 that had wider clip formation. And between type 3 and type 4, which used ERA attachments, the loss of retentive force was greater in type 4 that had white male attached (P<0.001). 4. After 1.000 cycles of repeated removals, attachment type 3 showed the biggest retentive force followed by type 2, type 4, type 1 and lastly type.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tachment type 3 and 4, and type 4 and 1(P<0.001).

짧은 길이의 거친 표면 임프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SHORT ROUGH SURFACE IMPLANTS)

  • 공준하;이백수;김여갑;권용대;윤병욱;최병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09
  • Background: Reduced bone height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faced in restoring tooth loss with implants. By the use of short implants, it is possible to reduce complicated and invasive treatment such as bone graft, allowing more simple surgery. But short implant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lower success rates than that of standard implants. Purpose: To assess the results of short Straumann implants by a retrospective study of short Straumann implants with TPS(titanium plasma-sprayed) and SLA(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surfaces. Materials and methods: 173 implants in 106 patients who received short Straumann implant surgery(${\le}8\;mm$)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yunghee Dental Hospital, from February 1996 to October 2006 were selected and studied. All of the implants were followed up after prosthetic rehabilitation.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with 119 months as the longest follow up perio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prosthetic rehabilitation was 31 months. 64 females(60.4%) and 42 males(39.6%)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ith the age range of 19 to 85(mean age 47). 20 patients(18.9%) were under 40, 85 patients(80.2%) were over 40 and under 70, and only one patient(0.9%) was over 70 years old. Results: 27 implants(15.6%) had TPS surface while 146 implants(84.4%) had SLA surface. 9 implants(5.2%) were 3.3, 108 implans(62.4%) were 4.1mm and 56 implants(32.4%) were 4.8mm in diameter. 167 implants(96.5%) were 8mm and 6 implants(3.5%) were 6mm in length. There were 24 implants(13.9%) on the maxillas and 149 implants(68.8%) on the mandibles. 119 implants(68.8%) were rehabilitated with FPD(fixed partial denture), 47 implants(27.2%) with single crowns and 4 implants(2.3%) with overdentures. Among the fixed partial dentures, 30 of them were splinted with short implants only. After over an year of follow-up period, 139 implants(96.5%) out of 144 implants showed marginal bone loss of less than 1mm. 3 out of 173 implants failed showing 98.27% survival rate. Conclusions: The use of short Straumann implants(${\le}8mm$) can be a simple and reliable treatment method in minimal residual bone height.

무치악 환자에서 기성 조립식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증례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with pre-fabricated bar attachment system in edentulous patients)

  • 소나영;홍영기;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1-48
    • /
    • 2016
  • 치아 상실에 이어 심각한 치조골 소실을 보이는 무치악 환자들은 전통적인 방식의 총의치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도록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사용되고 있다. SFI-bar$^{(R)}$는 진료실에서 직접 조정이 가능한 기성품으로 복잡한 기공과정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바 시스템보다 간결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55세 남자 환자로 기존 하악 임플란트-지지 피개의치가 파절되었다는 주소로 내원하였고 내구성이 있으며 통증이 없는 의치를 원하였다. 파절된 Locator$^{(R)}$ 어태치먼트를 제거 후 바를 이용한 피개의치로 치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77세 여자 환자로 하악 치조골이 심각하게 흡수되어 의치가 자주 탈락한다는 주소로 내원하였고 통증이 없고 유지력이 있는 의치를 원하였다. 하악 전치부에 두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임플란트에 연결된 어댑터에 바를 연결하였다. 그 후 바에 맞는 여성부를 새로운 의치에 장착하여 치료하였다. 2년의 추적 관찰 결과 상기 환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으므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자성 피개의치 수복 증례 (Overdenture with magnetic attachments for a patient with Parkinson's disease: a case report)

  • 마보영;민병귀;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01-306
    • /
    • 2016
  • 총의치 환자에 있어 환자가 만족할 만한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파킨슨병 등의 전신질환으로 하악에서 불수의적 운동이나 운동제한이 나타나는 환자에 있어서, 총의치의 기능적 한계는 임상가에게 더욱 더 힘든 문제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잔존치근의 보존을 통한 피개의치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증례는, 45세 남성환자로, 내원 당시 당뇨와 파킨슨 병의 약을 장기 복용 중이었고 우식으로 인해 대다수의 치아를 발치해야 했다.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2개의 잔존 치근을 이용한 자성 어태치먼트로 유지와 안정을 증진시킨 피개의치 증례로서, 기능적으로 개선된 보철물을 제작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편측 소수 잔존치에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수복 증례 (The use of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the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with a few unilateral remaining teeth and implant overdenture in the mandible: A case report)

  • 윤이나;김현아;박상원;박찬;장우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515-522
    • /
    • 2021
  • 소수의 잔존치가 존재하는 경우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적으로 식립하여 의치의 유지, 지지, 안정을 확보하는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및 피개의치의 성공적인 증례가 보고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임플란트를 포함한 지대치에 가해지는 측방력을 최소화할 경우 의치의 수평적, 회전적 움직임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의치의 탈락 및 안정의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주소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증례는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상악에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제작하고 하악에 Locator® attachment를 통해 의치의 유지, 안정, 지지를 개선하였다. 임상 관찰에서 환자가 최종 의치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면에서 모두 만족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치조골 소실이 있는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Pekkton telescopic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증례 (A case of maxilla implant overdenture using Pekkton telescopic attachm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 박하은;이원섭;이철원;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89-194
    • /
    • 2019
  •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편악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시 대합치열의 상태를 고려하여 올바른 교합평면을 설정하고, 교합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는 소수의 임플란트로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총의치보다 우수한 유지와 안정성을 주는 치료이다. 최근 치과 영역에서 소개된 신소재 polyaryletherketone (PAEK) 기반의 폴리머(Pekkton ivory, Cendres + $M{\acute{e}}taux$ SA, Biel / Bienne, Switzerland)를 사용한 telescopic 어태치먼트는 전형적인 telescopic 코핑의 이점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비해 가볍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 임플란트를 5개 식립하여, Pekkton으로 내 외관이 제작된 텔레스코픽 어태치먼트를 활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고, 하악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였다.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을 이용한 편악 피개의치 수복 증례 (Maxillary overdenture restoration us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 case report)

  • 조유경;이영후;홍성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55-62
    • /
    • 2022
  • 1933년 Meyer에 의해 처음 기술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 technique은 하악의 한계운동 내에서 대합치 교두에 의해 형성된 운동 경로를 구강 내에서 인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교합 형태를 부여할 수 있는데 이 증례에서는 자연치열과 대합되는 상악 피개의치를 제작하여 균형 교합을 부여하였다. 또한 FGP technique으로 구치부 교합면을 정밀하게 형성하고 의치 치아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성 레진 인공치가 아닌 지르코니아 의치 치아를 개별 제작하였다. 이러한 재료와 방법으로 치료 후 술자와 환자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 고정성보철 환자에 상악 Milled-bar와 부착장치를 이용한 피개의치로 수복한 증례 (Rehabilitation using milled-bar with attachment maxilla overdenture in a patient with peri-implantitis fixed prosthesis: A case report)

  • 이준명;김소연;이두형;이규복;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3-130
    • /
    • 2024
  •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철성 총의치는 비교적 경제적인 장점이 있지만, 불편한 착용감과 낮은 저작효율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반면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은 안정성이 높지만 다수의 임플란트가 필요하고 수술적인 위험이 있으며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 보철학이 도입되면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 피개의치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졌다. 잔존 치조골이 충분한 경우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이 가장 효과적인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잔존 치조골이 부족하여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능하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 소수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임플란트를 통해 지지를 얻고 부가적인 부착장치로 유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의치로 안모를 회복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양쪽 구치부 임플란트 통증 및 저작시 불편감으로 내원하였으며, 심한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다수의 임플란트를 발거 후 상악은 양쪽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재식립하여 milled-bar에 부착장치로 유지력을 얻은 피개의치를 제작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치료가 완료된 후 10개월간 경과관찰 결과 의치의 파절, 유지력 상실 등 임상적으로 이상이 없었으며 방사선학적으로도 초진시와 유사한 골 소실상태를 보였다. 또한 구강위생이 잘 유지되었고 환자도 심미적 기능적 결과에 만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