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the-head

검색결과 1,195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 먼지 분석법과 석면오염 측정 논란을 중심으로 (Politics of Knowledge of Asbestos Activism in South Korea: Settled Dust Analysis and the Controversies over Asbestos Pollution Measurement)

  • 강연실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9-175
    • /
    • 2018
  • 이 논문은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적 측면을 검토한다. 2008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석면운동은 석면오염을 한국 사회의 중요한 안전보건의제로 만드는 데 앞장서 왔다. 석면오염 측정은 특히 석면오염이 광범위하고 심각한 환경보건문제라는 주요 주장을 펼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이 활동의 특징은 공정시험방법이 아닌 '먼지 분석법'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석면운동가들의 오염 조사 보고서와 삼성 본관 주변 석면오염 논란을 통해 먼지 분석법이 대항 지식으로서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석면운동가들은 먼지 분석으로 얻은 측정 데이터를 활용해 그들의 주장에 언론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정책적 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규제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집단은 먼지 분석법이 신뢰할 수 있는 석면오염 측정방법이라는 석면운동가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론을 내리는 데 측정 과정에서 표준적 방법의 사용 여부와 측정 데이터의 해석적 맥락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먼지 분석법의 권위는 부분적으로 획득되었다. 그러나 먼지 분석법은 규제과학이 내포하는 가정들을 드러내고 사회적 토론의 대상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서, 사회 운동과 과학을 결합하여 규제기관과 전문가 집단의 측정에 도전한 석면운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Vibrio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 사람 분리균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생존율 (Via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solated from human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임수연;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22
  • Vibrio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 같은 인체 위해성 세균들은 수산물을 통하여 인체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생선회로 선호도가 높은 넙치에서 이들 세균이 어느 정도 생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온도와 염분 농도가 다른 배지에서 이들 세균의 생장도를 조사하였다. 37℃ 에서 보다 25℃에서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는 약 50~60% 감소한 생장률을 보였다. 그러나 1%, 2% 및 3% NaCl을 함유한 배지로 25℃에서 배양하였을 때의 생장은 3% NaCl을 함유한 배지에서 V. vulnificus가 증가된 생장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 차이는 없었다.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넙치의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106CFU/fish로 복강 주사하여 인위 감염을 하였으나 1주일간 사망 개체는 없었다.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넙치의 방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의 혈청 및 체표 점액에서의 세균 생존력과 신장에서 분리한 macrophage의 식균 활성을 알아보았다. 혈청에서는 3시간 이내에 각각 85%, 99% 이상의 균이 제거되었고 체표 점액에서는 12시간까지 세균 수가 감소하였으며 신장백혈구는 약 70% 이상에서 식균 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넙치는 환경 수에 있는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단순 이동매개체로 작용한다 할지라도 발달된 자체 항균력으로 이들 세균의 수를 감소시켜 인체 감염 가능성을 저하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자세에 따른 목뼈 정면 입사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adiation Incidence Angle in Cervical Vertebra Anteroposterior(AP) Examination by Position)

  • 곽종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1-107
    • /
    • 2015
  •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뼈 정면 입사각은 자세에 상관없이 머리 쪽으로 $15^{\circ}{\sim}20^{\circ}$의 입사각으로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세의 구분 없이 일률적으로 입사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목뼈의 추간판각을 측정하여 적정한 목뼈 정면 입사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3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부산의 P대학병원을 내원한 목뼈 단순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107명의 검사자 중 목뼈 전만각(정상 $40^{\circ}{\pm}5^{\circ}$)이 정상적인 20세 이상 80세 이하(평균연령 54세) 39명(남자 24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선 자세는 목뼈 단순촬영 측면영상의 추간판각을 측정하였으며 누운 자세는 자기공명영상의 가운데 시상면영상의 추간판각을 측정하였고 성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선 자세의 전체 목뼈 정면입사각은 남자는 $25.9^{\circ}$, 여자는 $23.1^{\circ}$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성별로 분석한 누운 자세의 전체 목뼈 정면입사각은 남자는 $11.6^{\circ}$, 여자가 $12.6^{\circ}$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5)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는 선자세의 전체 목뼈 정면입사각은 50세 미만이 $24.6^{\circ}$, 50세 이상에서 $25.0^{\circ}$로 나타났으며 누운 자세의 목뼈 정면 입사각은 50세 미만이 $12.0^{\circ}$, 50세 이상에서 $11.9^{\circ}$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p>0.05) 선 자세와 누운 자세의 전체 목뼈 정면입사각의 결과는 선 자세에서는 $24.8^{\circ}$로 나타났으며 누운 자세에서는 $12.0^{\circ}$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선 자세 및 누운 자세의 목뼈 정면 입사각은 종전의 머리 쪽으로 $15^{\circ}{\sim}20^{\circ}$가 아닌 각각 선 자세는 $24.8^{\circ}$, 누운 자세는 $12.0^{\circ}$가 추천되며 이로써 각각의 목뼈 추간판각에 따른 정확한 정면 목뼈와 추간원판의 구조 및 수술 후 각각의 목뼈 유합 수술환자 기구파악 및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고 평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갑상선 여포상 선종과 암종의 감별진단에서 $p27^{KIP1}$, MIB-1, bcl-2, p53 발현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The Significance of $p27^{KIP1}$, MIB-1, bcl-2 and p53 Express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 강미선;윤혜경;김상효;윤기영;이충한;최경현;허방;노미숙;홍숙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7
    • /
    • 2001
  • Objectives: The most important differential point of follicular carcinoma from adenoma is capsular invasion or angioinvasion of follicular cells. Serial sections for examination of levels of tumor margins are necessary to watch the invasion.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capsular invasion or angioinvasion is sometimes not feasible on the routine staining of tumor tissu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expressions of $p27^{KIP1}$, MIB-1, bcl-2 and p53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16 cases of follicular carcinoma and 26 cases of follicular adenoma were entered on study of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p27^{KIP1}$, MIB-1, bcl-2 and p53. In carcinoma cases, correlation between the above markers, patient's age, tumor size, infiltration pattern and metastasis was studied. Results: $p27^{KIP1}$ labelling index (LI) of follicular carcinoma and adenoma was $4.89{\pm}6.92$ and $14.52{\pm}9.17$,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enoma and carcinoma (p=0.2560). MIB-1 LI of carcinoma and adenoma was $4.11{\pm}3.89$ and $0.80{\pm}0.75$, respectively, and MIB-1 L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rcinoma (p=0.0000). bcl-2 expression was seen in 2(12.5%) of 16 carcinoma cases and 130(50.0%) of 26 adenoma cases, and bcl-2 expression rate was higher in adenoma than in carcinoma(p=0.014). In one adenoma and one carcinoma case, p53 expression was noted. In follicular adenoma with atypia compared to adenoma without atypia, lower $p27^{KIP1}$ LI, higher MIB-1 LI and lower bcl-2 expression rate were seen. In follicular carcinoma, MIB-1 L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nvasive carcinoma(p=0.045) and was relatively increased in tumors larger than 3.0cm, showing angioinvasion and distant metastasis. But $p27^{KIP1}$ LI was higher in cases over 40 years old(p=0.008) and with conspicuous capsular invasion. There were no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xpressions of MIB-1, bcl-2 and p53. Conclusion: MIB-1 labelling index and bcl-2 expression could be help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 adenoma and carcinoma, but p53 showed very low expression rate and no significance in differential diagnosis. $p27^{KIP1}$ labelling index reveals decreasing tendency in carcinoma compared with adenoma, MIB-1 LI was considered as a poor prognostic marker in follicular carcinoma, but $p27^{KIP1}$ LI was higher in carcinoma cases over 40 years old with showing conspicuous capsular invasion. Further study for the significance of $p27^{KIP1}$ labelling index in follicular neoplasms is necessary to evaluate diagnostic value of follicular carcinoma.

  • PDF

항차 데이터 기반 간이 연료 소모량 추정 및 최적 경유 항구 추천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Simple Fuel Consumption Estimation and Optimized Route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Voyage Data of Vessel)

  • 우상민;황훈규;김배성;우윤태;이장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80-490
    • /
    • 2018
  • 최근, 유럽 연합 가입국을 기항지로 항해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배출 가스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보고하고 검증받는 MRV 규제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러한 배출 가스량을 경험적으로 산정해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간이 연료 소모량 추정 및 최적 경유 항구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내용을 다룬다. 이를 위해 10여 년간 축적된 선박의 항차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항구별 연료 소모량, 거리,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연료 소모량을 추정하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선박의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최적 경유 항구를 추천하기 위한 기능을 비롯하여 실제 운항 경로 표시 기능, 실제 운항 경로와 최적 경로와의 비교 기능, 사용자 지정 경유 항구 선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을 구현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선박의 운항 계획 등을 위한 참고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여 미래 데이터를 예측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온화 방사선에 의한 TIMP1, TIMP2 유전자 발현 측정 (Expression of TIMP1, TIMP2 Genes by Ionizing Radiation)

  • 박건구;진정선;박기영;이연희;김상윤;노영주;안승도;김종훈;최은경;장혜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71-180
    • /
    • 2001
  • 목적 :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TIMP)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에 작용하여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고 염증, angiogenesis, fibr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IMP 유전자는 여러 cytokine 및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이므로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을 측정하고 전사 조절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두경부암 환자의 병변에서 유도하여 확립한 두경부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방사선에 의한 TIMP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였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 민감도를 측정하고 transwell을 이용한 invasion assay로 전이성을 측정하였다. TIMP1, TIMP2 발현은 conditioned medium을 취해 ELISA assay로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는 2 Gy, 10 Gy 군으로 나누어 관찰했고 조사 후 시간 간격은 24, 48시간이었다. MTT assay로 생존세포 수를 측정하여 방사선 세포치사로 인한 발현 변화를 보정하였다. hTIMP1 promoter region을 PCR하여 pGL2-basic luciferase reporter vector에 cloning하여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이입하여 functional TIMP1 발현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였고 protein kinase C (PKC) activator인 PMA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와 Ras에 의한 TIMP1 발현이 유도되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 HN-1, HN-2, HN-3, HN-5, HN골 세포주의 $D_0$는 각각 1.55 Gy, 1.8 Gy, 1.5 Gy, 1.55 Gy, 2.45 Gy 이었다. 각 세포주의 방사선조사 후 MTT assay에 의한 cell viability는 24, 48시간에서 2 Gy인 경우 모두 $94\%$ 이상 그리고 10 Gy에서는 $73\%$ 이상의 생존 세포를 확인하였다. TIMP1, TIMP2 단백의 basal 농도는 24시간 48시간에서 점점 증가하여 세포에서 계속 합성되어 분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Gy 조사 후 24시간에서 TIMP2는 HN-1, HN-9 세포주에서 감소하였으나, 10 Gy 조사 후에는 두 세포주에서 모두 증가하여 방사선량에 따라 반응이 달랐고, 방사선조사 후 48시간에는 HN-9 세포주에서는 증가하나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여 세포주에 따라 반응이 달랐다. 그러나 방사선에 의한 TIMP1 발현 변화는 미미하였다. TIMP1 reporter gene을 인간 두경부암 세포주에 transfection하고 PMA (100 ng/ml)을 가한 경우 HN-1세포주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고 HN-9 세포주에서는 감소하였다. Ras 발현 벡터와 co-transfection한 경우 TIMP1 promoter가 활성화 되었다. 결론 : 모두 두경부 암에서 유래된 세포주 이지만 방사선에 의한 TIMP의 발현 및 전사조절 기전은 세포주 마다 차이가 있었고 이온화 방사선의 용량에 따라서, 방사선조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도 TIMP 발현에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TIMP의 전사 및 발현이 여러 종류의 signal molecule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이 signal molecule들이 각 세포주 마다 다르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감마선 조사가 감초(Glycyrrhiza uralensis)의 초기 생육 및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ray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NA Damage in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 류재혁;임승빈;김동섭;안준우;김진백;김상훈;강시용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5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dose of gamma-ray on the growth and nucleus DNA damage for mutation breeding in licorice. Gamma-rays irradiated to dry seeds with various doses (0 to 1000 Gy). Significant decreases in germination rate (%), survival rate (%) and growth characteristics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and fresh weight) were observed by dose of increased. $LD_{50}$ (lethal dose) was approximately 400 Gy to 500 Gy. Also, reduction doses ($RD_{50}$)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and flash weight were 428 Gy, 760 Gy, 363 Gy and 334 Gy, respectively. It is supplest that the optimal dose of gamma irradiation for licorice mutation induction might be about 400 Gy in this study. We also conducted comet assay to observe nucleus DNA damage due to gamma irradiation. In comet assay, a clear difference was identified over 300 Gy treatments. With increasing doses of gamma-ray in the range of 100 to 1000 Gy, the rate of head DNA was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92.88% to 73.09%. Tail length(${\mu}m$) was increased as the dose of increased over 300 Gy. Growth characteristics (Germination rate, Survival rate,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and fresh weight) were highly negatively ($P{\leq}0.01$) correlated with dose. While the tail length was highly positively ($P{\leq}0.01$) correlated with dose.

연령에 따른 만성 뇌경막하 혈종의 임상적 분석 (A Clinical Analysis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according to Age Factor)

  • 정재은;김국기;박종태;임영진;김태성;이봉암;임언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48-753
    • /
    • 2000
  • Objectives : A 10-year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age at presentation(group A, under 50 ; B, over 50). Methods : We analyzed 468 cases with chronic subdural hematoma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1987 to December 199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ge at presentation(group A, under 50 ; B, over 50). Results : 1) The number of group A was 126 cases(26.9%) and that of group B was 342 cases(73.1%), respectively. Males were more frequently involved than females in each group. 2) There noted a history of head trauma in 88.9% of group A and 92.4% of group B. Forty-nine patients(38.9%) of group A and 103 cases(30.1%) of group B revealed a history of alcoholism. 3) Group A patients presented with symptom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such as headache(75.% ), nausea and vomiting(68.0%). However, Group B patients had more frequent mental changes(84.0%) and focal neurological deficits such as hemiparesis(76.5%). 4) Onset of symptom and its duration was shorter in group A than group B. 5) Six patients among 441 cases(1.4%) treated with burr hole drainage and two patients of 27 cases(5.4%) with craniotomy died, and all of these were group B patients. The two cases among six patients with burr hole drainage developed huge intracerebral hemorrhage and brain stem hemorrhage,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reating patients with chronic subdural hematoma, distinguishing between two age groups is quite helpful to determine treatment strategies.

  • PDF

기관내 흡인과 체위변경이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환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 and Position Change on Blood Pressure of Patients with Head and Intracranial Surgery)

  • 조은희;정여정;김은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6-23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esent guidelines for deciding appropriate time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BP)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who had surgery due to brain damage. Method: It was a repeated measures-experimental research on time variants in BP after nursing care. SBP (Systolic BP) and DBP (Diastolic) were measured every 2 minutes up to 5 times using an EKG patient monitor.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t-test. Results: For suctioning,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s for SBP averages after 2 min. (138mmHg, p<0.01) and 4 min. (133mmHg, p<0.01) compared to before suctioning (120mmHg). For position chan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averages after 2 min. (136mmHg, p<0.01) and 4 min. (130mmHg, p=0.01) compared to before changing position (121mmHg). For position change followed by suctio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averages after 2 min. (136mmHg, p<0.01), 4 min. (136mmHg, p<0.01) and 6 min. (125mmHg, p=0.003)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s (121mmHg). Conclusion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and DBP over time during nursing interventions, suggesting clinical measurement of BP after 6 min. or 8 min. be done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in neurosurgery clinics.

혈행화된 부분층 두개골피판을 이용한 상악골 종양 적출 환자에서의 안와하벽 재건술 증례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with Vascularized Partial Thickness Calvarial Bone Flap in Three Cases of Maxillary Tumor)

  • 신상호;이윤정;김준식;김남균;이경석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9-54
    • /
    • 2009
  • 상악골 악성종양의 경우 적출 후 골편들을 이식해 상악동 전체를 재건하는 경우는 재발이 많아 잘 시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안와하연의 재건을 통해 안구 및 안면윤곽만을 재건하는데, 저자들이 시행한 혈행화된 부분 두께의 골이식(vascularized split thickeness calvarium)은 술기방법에 있어 골피판이 혈관경에서 쉽게 분리되는 성질이 있어 시행에 주의가 필요하고 혈관경을 포함한 temporalis muscle이 부피감을 주므로 미용상 불리한 점이 있는 반면에 골편의 높은 생존율이 보장된다는 장점과 공여부의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술후 복시 현상이나 안구함몰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이 합리적인 술기임을 지지해준다. 따라서 측두동맥 및 정맥을 혈관경으로 하는 혈행화된 두정골 부분층 이식술은 안와하벽을 재건하는데 있어 안전하게 시행가능 한 술기였음을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