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patient medical utilization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5초

암 환자의 사망 전 6개월의 의료비용 (Medical Expenses during the last 6 Months of Life in Cancer Patients)

  • 박노례;윤영호;신순애;정은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권2호
    • /
    • pp.109-113
    • /
    • 1999
  • 목적 : 말기 암 환자들을 위한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비정상저인 의료행태가 발생되고 있어 말기 암 환자의 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고가의 생명유지장치의 무익성과 말기 암 환자 관리의 고 비용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보험에서 말기 암환자들에게 지출된 의료비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사망한 암 등록환자 중 공무원 교직원 의료보험 자료 이용이 가능한 151명의 급여내역을 추출하여 입 내원 일수와 의료보험 진료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사망 전 6개월 동안의 암 환자 일인당 평균 입원일수는 39일 외래일수는 14일이었다. 진료 일당 평균 진료비는 85,362원이었으며 입원 일당 평균 진료비는 105,908원, 외래 내원 일당 평균 진료비는 40,173원이었다. 진료비의 95%가 종합병원에서 지출되었으며, 진료비의 85%가 입원을 통해 지출되었다. 사망 전 6개월 동안의 진료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사망에 가까울수록 사망 전 2개월 동안에 약 50%, 1개월 동안에 약 30%가 지출되었다. 외래진료비는 사망 전 3개월 전까지는 증가하다가 2개월 전부터는 감소하는 반면, 입원진료비는 사망에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사망 전 6개월간의 의료비 분포는 미국의 메디케어의 자료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향후 보다 큰 규모와 세부적인 진료서비스 내용의 분석을 통해 말기 암 환자의 관리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 PDF

정액수가제 도입이 의료급여 혈액투석환자의 투석횟수 및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Implementing Case Payment System to Medical Aid Hemodialysis Patients on Dialysis Frequencies and Expenditure)

  • 이선희;김한중;신승호;조우현;강혜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60-266
    • /
    • 2004
  • Objectives : To assess the impacts of implementing case payment system (CPS) to Medical Aid (MA) hemodialysis patients on the frequencies and expenditure of dialysis. Methods : Fifty-eight clinics and 35 tertiary care hospitals were identified as having a minimum of 10 hemodialysis patients for each of the MA and Medical Insurance (MI) programs, who received hemodialysis from the same dialysis facilities for both periods of July 2001 and July 2002. From these facilities, a total of 2,167 MA and 2,928 MI patients were identified as the study subjects. Using electronic claims data, the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monthly treatments and charges for outpatient hemodialysis treatments for each patien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PS were compared between the MA and MI pat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independent impact of the CPS on th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dialysis treatments among the MA patients.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charges for the hemodialysis treatments of the MA patients, 3.4% (p<0.05), whereas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for the MI patients, 2.5% (p<0.05). For both the MA and MI patients, the frequency of the monthly hemodialysis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5.5 (from 12.1 to 12.7) and 7.8% (from 11.6 to 12.5), for the MA and MI patients, respectively. However,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monthly hemodialysis treatments between the MA and MI patient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CPS. Another regression model, regressing on the changes in the monthly claims of dialysis treatmen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efficient for the MA ((=-70725, p<0.05). Conclusion : The significant decrease in the total charges for hemodialysis treatments among MA as compared to MI patients suggests that there was a cost reduction in the MA progra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CPS.

한방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래환자의 지역 및 남녀별 치료질병의 우선순위 비교 (Comparison of Service Usage of Outpatients at Korean Medical Clinics by Regions and Gender)

  • 이우천;최성용;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1-55
    • /
    • 2014
  • This research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uses the data from "Research on Usage of Korean Medicine Service and Medicine"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usage of Korean medicine service by regions and genders on a national scale. The items analyzed wer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ferences of forms of Korean medicine service by gender and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p<.01). Men used service for back pains (23.0%), muscle injuries (20.7%), back sprain (16.5%), ankle sprain (11.2%), and arthritis (10.5%). Women used service for back pains (26.5%), arthritis (18.7%), muscle injuries (12.9%), back sprain (12.1%), and indigestion problems (1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men and women (p<.01). In the comparison analysis by cities, back pain was the biggest reason (p<.01), but there were differences from city to city; In Gwangju, back sprains (24.4%) and ankle sprains (16.1%) were first and second reasons, while In Ulsan, back sprains were the first reason (29.8%). By province level, back pains were the biggest reason for me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y provinces (p<.05); In Chungbuk and Jeonnam, muscle injuries were first (23.7% and 23.9%,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by cities and provinces in usage of Korean medical service, as well as by gender.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의료이용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n Elderly)

  • 곽광일;백창희;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17-626
    • /
    • 2015
  • 본 연구는 제 5기 전체(2010~2012)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비활동적인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활동적 신체활동군의 경우에 입원이용 가능성이 0.54배(OR;95% CI, p<0.001), 외래이용은 0.73배(OR;95% CI, p=0.040), 약국이용은 0.75배(OR;95% CI, p<0.007) 더 낮으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이용 횟수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소 신체활동군의 경우에 비활동적 신체활동군과 비교하여 입원 의료이용 가능성이 0.64배(OR;95% CI, p<0.001) 낮고, 이용횟수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서 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신체활동을 활발하게 실천하는 것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료비 지출의 감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인 수면장애 환자의 최근 3년간 한방 진료 양태 (Oriental Medical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 정선영;김재영;고영탁;안건상;이차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9-400
    • /
    • 2014
  • Objectives: 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sleep disorder, no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ine as a treatment. Ther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was examined herein us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G47) or nonorganic sleep disorders (F51) as a main diagnosis were adopted from the HIRAS database from 2011 to 2013.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number of patients and cost per patient, with comparison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in terms of gender, age, patient care service type, and hospital type. Results: 1) Regarding sleep disorders, the medical visits and insurance charges have been increasing. Western medicine was utilized 8 times more often than oriental medicine during 3 years. 2) There were 2.5 times more women than men. 3) Among all ages, the 50~59 year group had the highest representation. 4) In comparison of average portions of patient care type over 3 years, outpatients were the majority, while the number of visits of outpatients and hospitalization has been increasing. 5) Comparison of average portion of oriental hospital type over 3 years revealed oriental clinics to be used most. The use of general hospitals was higher in western medicine treatment, while public health centers used oriental medicine more. 6) Regarding average oriental medical cost per patient over 3 years, the total was 88,000 won, with 353,000 won for hospitalization and 85,000 won for outpatients. The outpatient cost has been increasing. 7) In line with 6, oriental medical hospitals cost 126,000 won, local clinics were 85,000 won, and etc. was 95,000 won. Average costs of all types have increased during 3 years, except oriental medical hospitals in 2013.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the epidemiologic characteristic of oriental medicine used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 For expansion of oriental medical demand for sleep disorder,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recent status.

외국인 건강보험가입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 (A Study on the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 of Foreign Nationals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South Korea)

  • 박형아;진기남;구준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14-32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거주 건강보험 가입 외국인의 국적 및 자격유형별 의료이용현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8년 건강보험 가입 외국인 중 보험료 결측인원을 제외한 1,058,88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의료를 한 번이라도 이용한 사람은 822,267명으로, 의료이용률은 약 78%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용 인원 수가 많은 국가는 중국, 베트남, 미국 순이었다. 1인당 총 진료비는 입원과 외래에 관계없이 미국이 가장 높았다. 자격유형별로는 지역가입자의 1인당 진료건수, 외래진료비, 입원진료비가 가장 높았으며, 1인당 입원 일수는 직장피부양자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인과 지역가입자는 다른 그룹에 비해 납부한 보험료 대비 많은 혜택을 누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외국인 건강보험 당연적용제도 시행 이전 자료를 사용함으로 인해 현재 상황을 정확히 보여주고 있지 못하지만, 추후 변화에 대한 비교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의료전달체계 실시 전후의 3차 진료기관 외래환자 이용양상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ttern of Outpatient Department Utilization at a Tertiary Level Hospital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atient Referral System)

  • 이경수;김창윤;강복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1호
    • /
    • pp.88-100
    • /
    • 1992
  • 1989년 7월 1일부터 실시된 의료전달체계가 3차진료기관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전(1988년 7월 1일$\sim$1989년 6월 30일)과 실시후(1989년 7월 1일$\sim$1990년 6월 30일) 각 1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내과, 일반외과, 소아과 외래를 이용한 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 대상자 전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과 환자는 의료전달체계 실시전 9,669건에 비해 실시후 6,181건으로 36.1% 감소했고, 일반외과는 1,864건에서 1,422건으로 23.7%, 소아과 환자는 3,372건에서 2,128건으로 36.9% 감소하였다. 내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의료전달체계 실시전에 49.7세였으나 실시후 52.5세로 증가하였고, 일반외과도 46.5세에서 49.7세로 증가하였다. 성별 분포는 세 과 모두에서 큰 변화는 없었으나 일반외과의 경우 여자 환자가 약 3.0% 포인트 증가하였다. 지역별 분포에서 내과와 소아과 환자는 대구시내 이용자의 비율이 의료전달체계 실시후에 약간 증가하였고, 타 대진료권에서 방문한 환자 비율은 감소하였으나, 일반외과의 경우는 이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신환자의 비율은 내과의 경우 의료전달체계 실시전 24.4%에서 실시후 14.6%로 감소하였고, 일반외과는 36.0%에서 23.5%로, 소아과는 15.5%에서 8.3%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의료전달체계 실시 전후의 외래 방문 횟수는 내과가 각각 1.7회와 1.6회로 감소하였으나, 일반외과와 소아과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의료전달체계 실시전후의 건당 외래진료 일수는 내과의 경우 각각 16.1일과 19.3일, 일반외과 12.0일과 15.2일, 그리고 소아과는 8.9일과 11.2일로 세 과 모두에서 실시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의료전달체계 실시 전후의 건당 검사건수는 내과가 각각 2.2건과 2.5건(P<0.01). 소아과가 0.8건과 1.1건(P<0.05)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일반외과의 검사건수도 약간 증가하였다. 건당 평균진료비를 불변가격으로 보았을 때, 일반외과가 실시전 75,900원에서 실시후 78,500원, 소아과는 실시전 12,700원에서 실신후 13,500원으로 증가하였으나, 내과는 43,900원에서 42,500원으로 실시후에 오히려 감소하였다. 질병분류를 17대 분류로 했을 때, 내과의 경우 내분비계질환, 순환기계 질환, 호흡기계 질환 등의 비율은 실시후에 증가하였으나, 소화기계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증상증후가 불명확한 질병은 감소하였다. 일반외과의 경우는 신생물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순환기계 질환과 증상증후가 불명확한 질병은 감소하였다. 소아과는 신생물, 신경감각계질환, 순환기계 질환 등의 비율은 증가하였으나, 호흡기계질환과 증상증후가 불명확한 질병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10대 다빈도 질환은 일반외과에서는 의료전달체계 실시후에 그 비중이 증가하였으나, 내과와 소아과는 변화가 없었다. 내과의 경우 위 십이지장염, 기타 간질환, 위기능 장애 등의 비율이 감소하였으나 본태성고혈압, 당뇨병, 폐결핵, 협심증 둥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일반외과의 경우에는 치핵, 항문열상, 종기 등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위암, 대장암, 담낭암 등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소아과의 경우 급성상기도염, 기관지염, 불명확한 장관감염 등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간질, 폐결핵, 천식, 임파성백혈병 등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료전달체계가 실시됨으로써 3차 진료기관의 외래 방문 환자의 건수, 건당 진료기간, 건당 방문횟수, 건당 검사건수, 건당 진료비, 질병의 구성 등에 변화를 준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더욱 광범위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 수준별 의료기관 간의 환자 흐름을 파악하고 세분화 된 질병분류를 이용하여 질병구조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양병원 외래부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 (Uniformity Evaluation of Elderly Hospital Outpatients' Waiting Space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 윤소희;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90-499
    • /
    • 2017
  • 현대사회의 복잡다기한 문제파악과 분석을 위해 최근들어 다양한 변수를 바탕으로 하는 복잡계 분석의 도입이 활발해 지고 있다. 외래부의 공간배치에 따른 환자들의 공간인지와 사용성을 미리 예측하는 것은 질 높은 병원서비스 제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객관적 분석을 위해 노인의 질환별 표준프로그램 절차 및 분석을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 히트맵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복잡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진료공간 접수공간 상담공간의 배치변화에 따른 4개 대안의 대기공간 균일성을 분석하기 위해 73개의 셀을 설치하여 시뮬레이션을 구축하고 그에 따른 밀도를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대기공간의 전체 공간밀도는 접수공간의 배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2)검사공간과 진료공간의 확실한 분리배치가 대기공간의 균일성을 높여주는 방안이다. 3)접수공간의 위치가 입구에서 가까울수록 대기공간의 밀도균일이 커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기공간 균일성 평가에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행위자기반모델이 공간분석 방법론으로서의 활용과 평가에 활용도를 가질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노인환자에게 제공하는 개국약국 약료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Economic Value of Pharmaceutical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 Community Pharmacies)

  • 손현순;신현택
    • 약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27-335
    • /
    • 2007
  • This study was to evaluate economic impact of a comprehensive pharmaceutical care intervention provided by community pharmacists on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a societal perspective. Clinical outcomes of pharmaceutical care included compliance increase, inappropriate medication discontinuation, and subsequent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reduction. Economic outcomes included cost savings from direct medical costs reduction such as medication and healthcare resource utilization. Input costs for pharmaceutical care included pharmacist time and computerized prescription review supporting program costs. Model parameters of outcomes were derived from published literatures, and costs were from literatures and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data in Korea. Annual costs and benefits were estimated in the year 2005. Current usual care and standardized pharmaceutical care required 0.3 and 2.0 hours per year respectively, for elderly outpatient using average 4.4 prescription drugs per visit and average annual frequency of 17.8 pharmacy visits. Comprehensive pharmaceutical care provided to overall elderly outpatients at community pharmacies would have cost of \74,994 mil. and benefit of \357,002 mil. per year. Benefit:cost ratio was 4.8:1 and net benefit was \282,008 mil/year. It was corresponded to net benefit of \73,816/year for individual elderly patient. In addition, pharmaceutical care was estimated to reduce 1,531 drug-related deaths/year. Conclusively this study, a first attempt in Korea to evaluate an economic value of pharmaceutical care at community pharmacies, proved that it was a cost-effective intervention having significant economic benefit.

심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심장일지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Heart Health Diary for Self-Care Enhancement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 심재란;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81-89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rt health diary to promote self-care ability among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F), and to identify the diary's effect on self-care adherence,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Methods: A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using block randomization. A calender-typed health diary was developed and it included a self-care checklist and education information on HF manag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guided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8 weeks and wrote a daily health diary during that peri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a tertiary medical center from February to April 2016. To verify the hypotheses, data for the experimental group (n=28) and control group (n=33) were analys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21.0. Results: At the end of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elf-care adherence (t=-2.48, p =.016) and exercise related self-efficacy (t=-3.44, p =.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a patient-directed heart health diary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HF patients' self-care adherence and exercise self-efficacy. Strategies to promote dietary self-efficacy are necessary along with further studies including repeated research with an increasing intervention period. Healthcare providers need to encourage the utilization of a health diary for HF patients as a tool for evaluation and for implementation that leads to self-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