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er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7초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iver otter habitat use pattern on Hongchun river in Gangwon province)

  • 박보현;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3-418
    • /
    • 2012
  • 본 연구는 수달이 선호하는 서식환경 알아보기 위하여 수달의 배설물을 이용한 서식 환경 분석과 육안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일대의 홍천강 상류 수계인 내촌천과 군업천 두 하천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2010년 11월 총 8회의 조사기간 동안 총 478개의 수달의 서식흔적 (배설물, 분비물, 족흔 등)을 발견하였다. 수달의 서식흔적이 발견되는 지점의 하천환경은 대체로 하천의 깊이가 얕은 곳(0.5-1m)과 유속이 느린 곳(5m/sec)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위와 기반암에서 많은 서식흔적을 발견하였지만, 제방과 같은 인공구조물에서는 거의 서식흔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수달의 서식환경과 식이물 분석을 통한 수달의 생태학적 연구는 수달 개체군의 보전과 수달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해 태안반도 연안에서 오터트롤에 채집된 저서생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Comparison of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in the West Sea of Korea)

  • 정경숙;차병열;임양재;권대현;황학진;조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4-273
    • /
    • 2014
  • To investigat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demersal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s off the Taean peninsula, otter trawl surveys were conducted from April 2010 to January 2011. A total of 75 species were collected, including 44 species of Pisces, 19 species of Crustacea, 6 species of Cephalopoda, 4 species of Gastropoda, and 1 species each of Bivalvia and Echin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each season were Palaemon gravieri in spring, Charybdis bimaculata in summer, Loligo japonica in autumn, and Crangon hakodatei in winter. The number of species,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winter and lowest in summer. The richness index was highest in autumn and lowest in winter.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autumn. A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demersal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pring and winter organisms (Group 1) and summer and autumn organisms (Group 2). We detect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se groups, mainly owing to Platycephalus indicus, Repomucenus koreanus, and Paralichthys olivaceus within Pisces: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Metapenaeopsis dalei, P. gravieri, and C. hakodatei within Crustacea: and L. japonica within Cephalopoda.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1998
  •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 ~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울진바다목장 해역에서 오터트롤로 어획한 저서생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Demersal Organisms Caught by Otter Trawl Survey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Korea)

  • 윤병선;윤상철;이성일;김종빈;양재형;박정호;최영민;박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06-515
    • /
    • 2011
  • To elucidate demersal organism community structure, abundance, and biomass by period and region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otter trawl surveys were conducted at six stations from February 2008 to December 2009.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118 species was collected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including 76 pisces, 27 mollusca and 15 crustaceans. The average abundance of individuals was 806 ind./$m^2$ and average biomass was 31,853 g/m2. The numbers of species, species richness, individuals per area and biomass per area were higher in 2009 than in 2008. Cluster and MDS analysis, based on a Bray-Curtis similarity matrix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of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per area, showed division into two different groups of demersal organisms in 2008 (Group 1) and one demersal organism community in 2009 (Group 2). From cluster and MDS analysis using the similarity of the demersal community among six stations,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was divided into Group A (St. 2, St. 4, St. 5 and St. 6) and Group B (St. 1 and St. 3).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멸종위기 포유류의 종분포 연구 -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 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

  • 전성우;김재욱;정휘철;이우균;김준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22
    • /
    • 2014
  • The provided habitat of many services from natural capital is important. But because most ecosystem services tools qualitatively evaluated biodiversity or habitat qualit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ose aspects usi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Ent). This study used location point data of the goat(Naemorhedus caudatus), marten(Martes flavigula),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flying squirrel(Pteromys volans aluco) and otter(Lutra lutr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put data utilized DEM, landcover classification maps, Forest-types map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This study generated the MaxEnt model, randomly setting 70% of the presences as training data, with the remaining 30% used as test data, and ran five cross-validated replicates for each model. The threshold indicating maximum training sensitivity plus specificity was considered as a more robust approach, so this study used it to conduct the distribution into presence(1)-absence(0) predictions and totalled up a value of 5 times for uncertainty reduction. The test data's ROC curve of endangered mammals was as follows: growing down goat(0.896), otter(0.857), flying squirrel(0.738), marten(0.725), and leopard cat(0.629).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habitat: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the goat, marten, leopard cat and flying squirrel in the forest; and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the otter in the river. More than 60 percent of endangered mammals' distribution probability were 56.9% in the forest and 12.7% in the river. A future study is needed to conduct othe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exclusive of mammals and to develop a collection method of field survey data.

서시천에서 수달(Lutra lutra) 배설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Feces Distribution of Otter(Lutra lutra) Population in Seosi Stream)

  • 김우열;진선덕;빙기창;박치영;이두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18-127
    • /
    • 2010
  • 본 연구는 전남 구례군 서시천에서 수달 배설물의 분포특성과 밀도를 조사한 것이다. 조사는 7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6회에 걸쳐 배설지점수, 구배설물수, 신배설물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 구간에서 배설지점수 222지점, 구배설물수 662개(60일 환산 718개), 신배설물수 364개가 관찰되었고 이들 모두 1월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500m 거리당 평균밀도는 배설지점수가 26.9지점, 구배설물수가 88.6개, 신배설물수가 44.4개로 나타났다. 이들에 대하여 각각 구간별 비율의 월 변동을 분석한 결과 수달이 연중 특별히 선호하는 구간은 없으며 서시천의 전 구간을 고루 이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여수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in Coastal Waters off Yeosu)

  • 이성훈;유태식;이대규;황태용;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2-177
    • /
    • 2019
  • 여수 돌산 연안에서 소형기선저인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연구하기 2012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조사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7목 29과 52종이었고, 4,848개체가 어획되었다. 이 중 농어목이 12과 20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 종수를 보였고, 우점종은 주둥치(2,786개체, 57.5%), 도화망둑(164개체, 3.4%), 준치(141개체, 2.9%) 순이었다.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한 계절은 2,174개체가 어획된 여름이었고, 겨울에 321개체로 가장 적은 개체가 어획되었다. 다양도 지수는 봄에 3.06으로 가장 높았고, 여름과 가을에 1.77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온은 출현 개체수 (r=0.94)와 출현종 (r=0.83)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Prediction Study on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in the Ansim-wetland Using EN-Simulator)

  • 신지훈;서보용;노백호;김지영;한성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1호
    • /
    • pp.13-23
    • /
    • 2021
  •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 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달의 식이 습성 및 부산 신항 공사가 수달 먹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od Habits of the Otter, Lutra lutra, and Effects of Construction of the Busan New Port on its Prey)

  • 최준우;윤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36-7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항 공사 지역 주변 해역의 총 16개 지역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분기별로 매년 4회씩 수달의 배설물을 수집하여 배설물 내 생물 잔해 즉 먹이의 종류를 알아보고, 신항 개발이 수달의 섭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달은 주로 어류를 섭취하지만 갑각류와 복족류 등도 소수 섭취하는 것이 밝혀졌고, 숭어목이 수달의 주 먹이임이 밝혀졌다. 한편 어류는 모든 계절에 출현했지만 대부분의 어목의 출현 빈도와 어획량이 계절별로 매우 유사한 점으로부터, 수달이 섭취하는 어류의 양은 이 지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양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시사되었다. 한편 배설물에 출현한 대부분의 어류, 갑각류 및 복족류의 출현 빈도가 2010년 이후에 감소했는데, 이는 공사에 의해서 수달의 먹이가 감소했고, 가까운 장래에 수달의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추론은 2010년 이후 수달의 배설물 수가 감소했고, 최근에 이 지역의 어획량이 급감했고, 수질 오염도 증가했다는 연구들로부터 뒷받침된다.

영각의 변화에 대한 전개판의 정적 안정성 연구 (A study on the static stability of the otter board in relation to the angle of attack)

  • 박창두;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234-24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개판의 영각 변화에 따른 정적안정성에 관하여 이론적 해석을 하였다. 또한 전개판의 형상별 유체력에 의한 정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종횡비가 다른 평판과 만곡도가 다른 종만곡판을 사용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체력 및 모벤트를 측정하고 형상별 압력중섬계수와 모멘트 계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영각($\alpha$) 변화에 따른 끌줄의 장력과 후릿줄의 장력에 의한 모멘트 변화는 전개판을 항상 정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작용한다. 2. 종횡비(λ)가 0.5, 1.0, 1.5인 평판의 압력중심계 수는 영각의 증가와 함께 전연에서 중심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유체력에 의한 모멘트는 항상 정적으로 안정하도록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종횡비가 일정(λ=1.5)하고, 만곡도(CR)가 5%, 10%, 15%, 20%인 만곡판의 유체력에 의한 압력중심계수는 영각의 증가와 함께 후연에서 전연쪽으로 이동한 다음, 다시 만곡판의 중심쪽으로 이동한다 만곡판에 작용하는 유체력에 의한 모멘트는 만곡도가 커질수록 정적으로 불안정한 영각의 범위가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