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wald 조화론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Ostwald 색채 조화론을 이용한 조화색 추천 (Suggestion of Harmonious Colors Based on Ostwald Color Harmony Theory)

  • 이정현;김성환;이준환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37-47
    • /
    • 2007
  • 색채계획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감성에 맞는 색상들을 추천해 주거나 조화론 및 배색사전을 기계화하여 조화색을 추천하는 반자동 보조 시스템을 일컫는다. 본 논문은 조화색 추천 과정에 관한 것이며, 조화색 추천의 보편적 지식개입을 위하여 Ostwald 색채 조화론을 채택하였다. 채택된 조화이론의 적용 공간인 Ostwald의 색체계는 MPEG-7 HMMD 색공간과 일치한다는 가정아래, Ostwald의 동일 색상면과 호환이 가능한 가상의 HMMD 공간을 제작하였다. 두 색공간이 호환하기위한 선행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가정을 세우고 가정에 맞는 가상의 색공간을 제안하였다. 또한 Ostwald의 동일 색상 평면이 갖는 양자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동일 색상 평면을 구성하여 이용자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제안한 가상의 HMMD 공간에서 Ostwald의 색채 조화론을 규칙기반화한 다양한 조화색을 추천할 수 있다.

  • PDF

표색계를 이용한 실용 색채배색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color schemes based ont the use of color systems)

  • 김학성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89-98
    • /
    • 1996
  • 본 연구는 색채조화의 원리연구라기보다 우리 나라에서 채택한 표색 계를 이용한 실용적 색채배색 안을 제시하고 저 한다. 연구대상의 표색 계로는 먼셀 표색 계와 오스트발드 표색 계 그리고 미국의 ISCC-NBS 색명 법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색채조화 론에서는 오스트발드 색채조화 론과 쟈드 색채조화론 등을 통하여 색채조화의 일반적 원리를 정리하였다. 표색 계를 이용한 색채배색 방법으로는 우리 나라에서 색채교육용과 공업규격으로 채택하고 있는 먼셀 표색 계의 10색상환과 ISCC-NBS 색명 법을 사용하여 만든 색조 분류법을 이용하여 색채배색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이 배색방법은 색채교육을 통하여 보다 쉽게 효율적으로 균형 잡힌 색채배색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 PDF

감성인식을 위한 이텐의 색채 조화 식별 (A Study on Speechreading about the Korean 8 Vowels)

  • 신성윤;최병석;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93-99
    • /
    • 2009
  • 비디오에서 색채가 즐거움을 주는 조화를 이루는지 알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색채 조화를 식별함으로서 색채의 조화가 질서감, 명료성, 동류성, 대비성, 그리고 친근감 등을 준다. 따라서 색채 조화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색채 조화는 먼셀, 오스발트, 비렌, 문 스펜서, 이텐, 슈브뢸, 그리고 저드 등이 조화론을 내세워 색채가 조화를 이루는지 판별했다.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인 이텐의 색상환을 이용하여 2색, 3색, 4색, 5색, 그리고 6색의 색채 조화를 식별해보도록 한다. 식별에는 에지 추출, 레이블링 및 클러스터링, 그리고 색채 추출 및 조화 등이 이용된다. 이렇게 색채 조화를 식별함으로써 감성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감성 인식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이태리 아동 가구 디스플레이 공간 색채 분석 - 오스트발트 및 파버 비렌 색채조화론을 적용한 분석 - (An Analysis Study on the Children Furniture Design and Display Space in Italy - Focused on the Color Harmony Theory of Wilhelm Ostwald and Faber Birren -)

  • 안혜련;최경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2-264
    • /
    • 2011
  • This research is regarding color-analyzing Italian children's furniture and display space, in which application method of furniture display is looked at by understanding relations of furniture and display spa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by understanding each factor of composition. Moreover, it establishes a formality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standard in the color scheme of furniture and display space through using NCS Color System and the related Color Harmony Theory of Ostwald and Faber Birren as analysis tool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lors of furniture and display space, I aimed to comprehend color trend of Italian children's furniture display spa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Italian children's furniture dealers. I was able to comprehend the color relationship between furniture and display space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examples of children's furniture display space and analysis of color deviation. Therefore, with this research I suggest the primary data and application strategy from a systematic point of view through Color Harmony Theory in color scheme of children's furniture display space in contemporary Italy.

  • PDF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국외 오피스 가구의 색채 경향 분석 (A Study of Color Inclination of Office Furnitures in Overseas Based on Theory of Color Harmony)

  • 백은;정현정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9-184
    • /
    • 2012
  • As this research is the one analyzing the color using status of the office furniture in overseas, it surveyed and analyzed the color use on the basis of total 22 products by selecting 7 office furniture companies in overseas so as to promote the upright use of the color in planning the office furnitur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y of color system (NCS) and the theory of color harmony (Ostwald and Fiber Biren), which are used in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office furniture and the definition and importance of the color, have been specifi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In this result, only 8 products, which are 36.4% among 22 products of 7 companies, are harmonized as per the theory of color harmony of two color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 influence may be bestowed on improvement of the office environment and increase of the work efficiency as the more planned and effective use of the color is made for the office furnitur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