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pedic procedure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38초

거골하 신연 골편 관절 유합술 (Subtalar Distraction Bone Block Arthrodesis (Five Cases))

  • 류총일;은일수;정용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106
    • /
    • 2004
  • Purpos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SDBBA (Subtalar distraction bone block arthrodesis) procedure on patients with late complication of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including subtalar joint arthritis and anterior ankle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Five cases in which the SDBBA procedure was implemented were followed for more than one year. All five patients were male with an average age of 56. Clinically,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and the pain score were assessed. Radiographically, the talocalcaneal height and the talar inclination angle were determined. Results: All five patients achieved subtalar joint fusion. The average pre-operative AOFAS score was 22.8 scores (range, 8-32 scores). At last follow-up, these scores improved to an average of 72.4 scores (range, 64-82 scores). The average pre-operative pain score was 8.2 scores (range, 7-10 scores). At last follow-up, these scores improved to an average of 13.2 (range, 12-15 scores). The average pre-operative talocalcaneal height was 72.8 mm (range, 70-77 mm), average post-operative talocalcaneal height improved to 79.8 mm (range, 78-84 mm). At final follow-up, these measurement was slightly decreased to average 78.6 mm (range, 74-83 mm). The average pre-operative talar inclination angle was 13.2 degrees (range, 12-15 degrees), average post-operative talar inclination angle improvedto 19.2 degrees (range, 15-24 degrees). At final follow-up, these measurement was slightly decreased to average 18.6 degrees (range, 12-24 degrees). Four patients achieved successful outcomes. One patient developed a wound infection with subsequent sural neuropathy as well as collapse of the bone graft.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SDBBA procedure successfully restores the talocalcaneal height and tibio-talar relationship. This procedure is useful in surgically managed patients with talo-calcaneal height loss and anterior ankle impingement syndrome due to the late complications of calcaneal intra-articular fractures.

  • PDF

후족부 외반을 동반한 증상이 있는 부주상골 환자에서 시행한 내측 전위 종골 절골술과 Kidner 술식을 동시에 시행한 결과 (Results of Kidner Procedure Combined with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for the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with Hindfoot Valgus)

  • 박철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5-8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Kidner procedure combined with medial displacement calcaneal osteotomy (MDCO) in patients with the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with hindfoot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January 2019, fifteen patients (15 cases) who had undergone a Kidner procedure combined with MDCO for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with hindfoot valgus were included. Their mean age was 36.3 years old (19~61 years old) and there were 6 males and 9 female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midfoot score, and postoperative subjective satisfaction. The radiographic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talonavicular coverage angle and the anteroposterior talo-first metatarsal angle, the lateral talo-first metatarsal angle, the calcaneal pitch angle, and the hindfoot alignment angl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 VAS and AOFAS midfoot scores continuously improved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Subjective satisfaction after surgery was excellent in 10 cases and good in 5 cases. The hindfoot alignment angle significantly changed after surgery. Pain due to lateral impingement disappeared in five patients, and persisted in one patient. Five patients complained of irritation caused by their fixation devices, and all the symptoms improved after removal of the fixation devices. Conclusion: Kidner procedure combined with MDCO in patients with the symptomatic accessory navicular with hindfoot valgus showed good clinical results with satisfactory correction of hindfoot valgus. In particular, the clinical results showed continuous improvement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Model for Surgical Procedures in Trauma -Essential Surgical Procedures in Trauma Course-

  • Kim, Hohyun;Park, Chan-Yong;Cho, Hyun-Min;Yeo, Kwang-Hee;Kim, Jae Hun;Yu, Byungchul;Go, Seung-Je;Kwon, Oh Sa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1호
    • /
    • pp.8-16
    • /
    • 2019
  • Purpose: The Essential Surgical Procedures in Trauma (ESPIT) course was developed as a model to teach necessary surgical procedures to trauma physicians. Its goals are to improve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technical competence. Methods: The ESPIT course consisted of five lectures and a porcine lab operative experience. The ESPIT course has been run seven times between February 2014 and April 2016. ESPIT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self-efficacy regarding essential surgical procedures in trauma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aking the ESPIT course. Sixty-three participants who completed both pre- and post-course questionnaires on self-efficac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The overall post-ESPIT mean self-efficacy score was higher than the pre-ESPIT mean self-efficacy score ($8.3{\pm}1.30$ and $4.5{\pm}2.13$, respectively) (p<0.001).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SPIT course in general surgeons (p<0.001),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ons (p<0.001), emergency medicine doctors, and others (neurosurgeons, orthopedic surgeons) (p<0.001).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core according to career stage (<1 year, 1-3 years, 3-5 years, and >5 year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s: The data of the ESPI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felt that the ESPIT course improved their self-efficacy with regard to essential surgical procedures in trauma. The ESPIT course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teaching surgical procedures, thus promoting better management of traumatic injuries.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령 환자의 흉요추부 유합에서 원위부 갈고리의 효과 (The Effect of Distal Hooks in Thoracolumbar Fusion Using a Pedicle Screw in Elderly Patients)

  • 이동현;김성수;김정훈;임동주;최병완;김진환;김진혁;박병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3-91
    • /
    • 2017
  • 목적: 고령 환자의 흉요추부 유합에서 척추경 나사못과 함께 사용된 원위부 갈고리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다기관 후향적 연구로, 2008년부터 2015년까지 65세 이상 환자에서 흉요추부 병변으로 전방 지지와 함께 장분절의 후방 유합을 시행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척추경 나사못 및 원위부 갈고리를 이용한 10명을 갈고리 군으로, 원위부 나사못 없이 척추경 나사못만을 이용한 10명을 나사못 군으로 나누어 술 후 1년째 원위부 나사못의 뽑힘 및 후방 이탈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72.4세(65-83세), 유합 분절은 평균 4.6분절(3-6분절)이었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 나이, 성별, 원인 질환, 요추 및 근위 대퇴골 골밀도, 골다공증 유무, 유합 분절 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술 후 1년 사이에서 발생한 원위부 나사못의 후방 이탈을 평가한 지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원위부 나사못의 후방 이탈은 총 6명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모두 원위부 갈고리를 보강하지 않은 나사못 군에서만(60%, 6/10) 관찰되었고 갈고리 군에서는 없었다. 결론: 고령 환자의 흉요추부 장분절 유합에서 원위부 갈고리의 사용은 나사못의 후방 이탈과 관련된 합병증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술식이다.

요추 압박 골절의 골 시멘트를 이용한 척추성형술 치료 후 발생한 폐동맥 시멘트 혈전증: 증례보고 (Pulmonary Bone Cement Embolism Following Percutaneous Vertebroplasty)

  • 차용한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3호
    • /
    • pp.202-205
    • /
    • 2015
  • Purpose: Pulmonary cement embolization after vertebroplasty is a well-known complication. The reported incidence of pulmonary cement emboli after vertebroplasty ranges frome 2.1% to 26% with much of this variation resulting from which radiographic technique is used to detect embolization. Onset and severity of symptoms are variable. Case description: We present the case of a 83-year-old women who underwent fourth lumbar vertebroplasty and subsequently had dyspnea several days later. Posteroanterior chest radiography showed multiple linear densities. Computed tomography of thorax revealed also multiple bilateral, linear hyperdensities within the lobar pulmonary artery branches are detected in axial and coronal views. Literature Reviews: Operative management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has included percutaneous vetebroplasty for the past 25 years. Symptoms of pulmonary cement embolism can occur during procedure, but more commonly begin days to weeks, even months, after vertebroplsty. Most cases of pulmonary cement emboli with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complications are treated nonoperatively with anticoagulation. Endovascular removal of large cement emboli from the pulmonary arteries is not without risk and sometimes requires open surgery for complete removal of cement pieces. Conclusion: Pulmonary cement embolism is a potentially serious complication of vertebroplasty. If a patient has chest pain or respiratory difficulty after the procedure, chest radiography and possibly advanced chest imaging studies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

  • PDF

Postoperative Results of Kyph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 Yoon, Won-Ki;Roh, Sung-Woo;Rhim, Seung-Chul;Lee, Chun-Sung;Kwon, Soon-Chan;Kim, Jeoung-H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7권4호
    • /
    • pp.253-257
    • /
    • 2005
  • Objective: We analyze pain relief, deformity correction and complication rate after percutaneous kyph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kyphoplasty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Results: The patients had significant pain improvement with the procedure. Th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reduced from 8.6 to 3.4 significantly after the procedure. The midline vertebral body height significantly increased postoperatively, but mean kyphotic angle did not.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except one case of epidural cement leakage without neurological impairment. Conclusion: Balloon kyphoplasty safely can reduce severe back pain and returned geriatric patients to higher activity levels. The midline vertebral height is restored significantly. However kyphotic deformity correction is not significant as contrary to what we expected from the present study before it was carried out.

정복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Reduction of Irreducible Knee Dislocation - A Case Report -)

  • 정진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4
    • /
    • 2009
  • 외상성 슬관절 탈구 중 도수 정복되지 않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대개는 관혈적 정복술을 요한다. 본 증례는 도수 정복되지않는 슬관절 탈구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경험으로 자기공명 영상에서 정복을 방해하는 내측 인대 및 관절낭 구조물을 관찰하고 관절경 검사로 확인한 후 대퇴골 내측와가 완전히 관찰되고 관절이 정복 될 때까지 끼어있는 조직을 제거하였으며 인대 봉합이나 재건술은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약 4주간의 신전상태에서 고정 후 점진적인 관절운동 및 체중부하 보행을 허용하였다. 3년 추시 관찰에서 경도의 슬관절 불안정성은 있었으나 일상생활에 지장 없었으며 정상범위의 관절운동범위를 회복하였다.

  • PDF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 덮개가 연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 고식적인 미세골절술과의 전향적 비교 연구 (The Effect of Placing Biomembrane cover following Microfracture on Cartilage Repair: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icrofracture Technique in a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 손광현;김진호;곽규성;박장원;윤경호;민병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3-91
    • /
    • 2011
  • 목적: 슬관절의 연골 결손에 대한 미세골절술 후 병변을 덮는 생체막을 이용한 환자들의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관절경 검사로 확인된 슬관절 연골의 국소적 전층 결손이 있으며, 골관절염을 보이지 않는 53명(총 59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정된 36명(42례)은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으로 병변을 덮어주었고(실험군), 나머지 17명(17례)은 고식적인 미세골절술만을 시행받았다(대조군). 모든 환자는 수술 후 6개월째에 임상적 결과를 IKDC 설문지와 통증, 만족도에 대한 VAS 점수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골연골 병변의 회복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 결과(IKDC, 통증 VAS, 만족도 VAS)에서 실험군이 대체로 더 우수하였으며 IKDC에서는 두 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IKDC, p=0.047, 통증 VAS, p=0.074; 만족도 VAS, p=0.001). MRI 추시결과에서 실험군의 33명(78.6%)에서 우수한 결손 치유(67~100%)를 보이고, 5명(11.9%)만이 불량한 치유 소견을 보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4명(23.5%)의 환자에서 양호한 결손 치유가 관찰되고 9명(52.9%)의 환자들에서 결손 치유가 불량하였다(p=0.001). 실험군에서 35명(83.3%), 대조군 중 6명(35.3%)에서 변연부 결합부에서 간격이 관찰되지 않았다(p=0.001). 생체막 사용과 관련하여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슬관절의 연골 결손 병변에 대해 미세골절술 후 생체막으로 도포한 군에서 단기 추시 임상적 결과 및 MRI를 이용한 영상학적 결과에서 결손부의 연골재생이 잘 된 것을 확인하였고, 미세골절술 후 ArtiFilm$^{TM}$을 함께 사용했던 군에서 연골 치유가 더 잘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초음파와 방사선 투시장치를 이용한 경추 신경근 차단술의 임상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Clinical Outcomes of an Ultrasound-Guided and C-Arm Guided Cervical Nerve Root Block)

  • 하대호;심대무;김태균;오성균;이현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8-84
    • /
    • 2020
  • 목적: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결과를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하고 합병증 및 수술 비율 등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에 대해 2015년 5월 1일부터 2018년 2월 8일까지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7예와 2010년 6월 1일부터 2017년 8월17일까지 방사선 유도하에 시행한 94예 환자들의 경추통과 방사통을 시술 전과, 3주, 6주 후 verbal numeric rating scale (VNR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시술과 연관된 합병증 유무도 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7예 중 66예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남성이 41명 여성이 25명이었고 목표 신경근은 경추 5번이 8예, 6번이 37예, 7번이 21예였다.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94예 중 77예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5세였다. 남성이 40명, 여성이 37명이었고 목표 신경근은 5번이 6예, 6번이 42예, 7번이 26예, 8번이 3예였다. 시술 후 경추통의 numeric rating pain scale은 초음파 유도하의 경우 중간값 5.4점에서 3주, 6주에 2.7점, 1.4점으로 감소하였고(p=0.0023, p<0.001), 방사선 유도하의 경우 시술 전 중간값 6.2점에서 3주에 3.1점, 6주에 1.5점이었다(p<0.001, p<0.001). 방사통의 경우 초음파 유도하 차단술의 경우 시술 전 중간값 6.3점에서 3주에 2.8점, 6주에 1.5점으로 호전되었고(p<0.001,p<0.001), 방사선 유도하의 경우 시술 전 7.4점, 3주, 6주에 3.3점, 1.9점으로 감소하였다(p<0.001, p<0.001). 합병증의 경우 방사선 유도하 차단술의 경우 호너 증후군이 1예, 간대성 근경련이 1예였으며 초음파 유도하차단술의 경우 일시적인 수부 부종을 호소하는 1예가 있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결과는 방사선 유도하 경추 신경근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슬관절 부분 치환술의 장기 생존 분석 (Long-Term Survival Analysi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 박철희;이호진;손혁성;배대경;송상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27-434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술자가 시행한 슬관절 부분 치환술의 장기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 및 생존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치환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생존 곡선을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982년 12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시행된 슬관절 부분 치환술 9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Modular II 10예, Microloc 44예, Allegretto 45예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16.5년이었다. 임상적 평가로 술 전, 술 후 1년, 최종 추시 hospital for special surgery(HSS) 점수와 관절운동범위를 조사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로 술 전, 술 후 2주, 최종 추시 대퇴 경골각을 조사하였다.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술 전 진단, 치환물의 종류 중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따라 군을 나누어 생존 곡선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HSS 점수는 평균 술 전 57.7점, 술 후 1년 92.7점, 최종 추시 79.1점이었다(p<0.001). 관절운동범위는 평균 술 전 134.3도, 술 후 1년 138.4도, 최종 추시 129.3도였다(p<0.001). 전체 대퇴 경골각은 평균 술 전 내반 0.8도, 술 후 2주 외반 4.1도, 최종 추시 외반 3.0도였다(p=0.003). 전체 생존율은 5년 91.8%, 10년 82.9%, 15년 71.0%, 20년 67.0%였다. 부분 치환술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나이와 치환물의 종류였다. 나이가 높을수록 실패 위험이 낮았으며(hazard ratio=0.933), Microloc 사용 시 Modular II와 Allegretto에 비해 위험률이 높았다(hazard ratio=0.202, 0.430, respectively) 60세 미만군의 생존 곡선이 60세 이상 군에 비해 의미 있게 낮았다(p=0.003). Microloc 사용군의 생존 곡선이 Modular II와 Allegretto 사용군에 비해 낮았다(p=0.025). 결론: 고정형 치환물을 사용한 슬관절 부분 치환술의 장기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 및 생존율은 만족스러웠다. 부분 치환물의 장기 생존을 위해 적절한 환자와 치환물의 선택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