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paedic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18초

3차원 프린팅 기술과 이를 활용한 골종양 수술 (Three Dimensional Prin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Bone Tumor Surgery)

  • 강현귀;박종웅;박대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466-477
    • /
    • 2018
  • 정형외과는 인체의 모든 근골격계를 담당하기 때문에 3차원(3-dimensional, 3D) 프린팅 기술을 가장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분야이다. 구체적으로 관절염, 척추, 외상, 기형, 종양 등의 다양한 정형외과 질병에 대해 해부학적 모델, 수술용 가이드, 금속 임플란트, 바이오-세라믹 재건, 보조기 등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정형외과 종양 영역은 환자마다 종양의 발생 위치와 크기가 다양한 데 반하여 사지 보존 수술에 활용할 수 있는 기존의 수술 방법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이 매우 절실한 분야였다. 최근에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를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기존 방법으로 골 재건이 어려웠던 부위에 대해서도 해부학적 재건이 가능하게 되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의료 영역에서 더욱 폭넓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출력, 검증 과정에 필요한 많은 전문가들과 함께 수평적 위치에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의료계에서 3D 프린팅을 활용을 선도함으로써 다른 분야의 전문가 양성 및 3D 프린팅 관련 산업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정부도 규제보다는 활성화에 역점을 두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 정형외과가 전체 의료계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선도해 가기를 기대하면서 골종양 수술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였던 저자의 경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이 허리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의 시각적 상사 척도 및 엉치뼈 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on Pain and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Spine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 오현주;최석주;이관섭;최지운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16
    • /
    • 2018
  • Backgroun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rapy methods through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on pain,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argeting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due to L5-S1. Method: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vity of the therapy method for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and provid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The research period is March 1, 2018 to June 30, 2018 and subjects are the patients diagnosed as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due to L5-S1 by their doctor through clinical findings and medical equipment such as X-ray, CT, MRI etc. Among patients who visited and hospitalized in S Orthopaedics located in Daegu and 30 female patients with sacral angle of more than $30^{\circ}$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15 people and we carried out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for 15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and 15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pplying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pain,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nges in the Visual Analogue Sc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measurement of experimenta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within two groups of sacral angle,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scores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measurement of each group(p>.05). Discussion: All those results the above proved that we need to confirm various benefits of the therapy with the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and the findings of the concerned study will possibly become useful information when doctors actually work on a therapy to treat patients with the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골단일 형질세포종 : 방사선학적 소견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Radiologic Findings)

  • 윤춘식;김명준;안창수;서진석;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1-68
    • /
    • 2000
  • 목적 :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방사선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최근 5년동안 골단일 형질세포종으로 진단받았던 9례의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중 2례는 골수검사 소견의 이상으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다른 2례는 전산화단층촬영(1례)와 자기공명영상(1례) 소견의 이상 소견에 의해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 5례 중 4례에서 단순방사선검사상 경화성 변연이 없는 지도 모양의 골파괴 소견을 보였으며 대퇴골에서 발생한 1예는 골경화증 병변을 보였다.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단순방사선검사에 비해 소주형성을 한 골파괴와 연부조직 침범 등 보다 많은 정보를 보여주었다. 4례의 자기공명영상에서 T 1강조영상에서는 비교적 고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 는 근육보다 약간 높은 중등도 신호강도를 보여주었다. 1례에서는 광범위한 연부조직 침범이 있었고, T1강조영상에서 같거나 저신호강도로, T2강조영상에서는 비균일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다발성 괴사가 있었다. 조영증상 T 1강조영상에서는 괴사부위를 제외한 병변의 강한 조영증강소견이 보였다. 결론 :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특징적인 소견의 일부를 보여줄 수 있고 형질세포 침윤이 있는 다른 부위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