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Radiologic Findings

골단일 형질세포종 : 방사선학적 소견

  • Yoon, Choon-Si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
  • Kim, Myung-Joo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
  • Ahn, Chang-Soo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Pundang CHA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Suh, Jin-Suck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
  • Shin, Kyoo-Ho (Department of Orthopaed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 윤춘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연세대학교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김명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연세대학교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안창수 (포천 중문의과대학 분당차병원 진단방사선과학교실) ;
  • 서진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연세대학교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 신규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연세대학교 방사선의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Purpose : We examined the patients to evaluate the radiologic findings of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radiologic findings of 9 cases with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bone (SPB) for recent 5 years, but 2 cases were not included this study due to an abnormal finding of bone marrow and another 2 cases were not included due to an abnormal manifestations of computed tomography (n=1) and MRI (n=1). Results : Among 5 cases, 4 cases had an osteolytic bone destruction and 1 case had an osteosclerotic bone destruction on the plain radiograph. Computed tomography and MRI showed more informations about trabeculated bone destruction and the soft-tissue extension of the lesion comparing to plain radiographs. The MRI finding of SPB in 4 cases showed a relatively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 and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on which the signal intensity of the lesion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muscle. One case had an extensive soft-tissue involvement and multiple necrosis, which presented iso to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 and high heterogeneous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 The Gadolinium-enhanced T1-weighted images of 5 cases showed diffusely strong enhancement of the lesion except on the necrosis areas. Conclusion : Computed tomography and MRI may present some characteristics of SPB and demonstrate another foci of plasma cell infiltrates, so these can be helpfu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PB.

목적 :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방사선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최근 5년동안 골단일 형질세포종으로 진단받았던 9례의 방사선 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중 2례는 골수검사 소견의 이상으로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다른 2례는 전산화단층촬영(1례)와 자기공명영상(1례) 소견의 이상 소견에 의해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결과 : 5례 중 4례에서 단순방사선검사상 경화성 변연이 없는 지도 모양의 골파괴 소견을 보였으며 대퇴골에서 발생한 1예는 골경화증 병변을 보였다.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단순방사선검사에 비해 소주형성을 한 골파괴와 연부조직 침범 등 보다 많은 정보를 보여주었다. 4례의 자기공명영상에서 T 1강조영상에서는 비교적 고신호강도, T2강조영상에서 는 근육보다 약간 높은 중등도 신호강도를 보여주었다. 1례에서는 광범위한 연부조직 침범이 있었고, T1강조영상에서 같거나 저신호강도로, T2강조영상에서는 비균일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다발성 괴사가 있었다. 조영증상 T 1강조영상에서는 괴사부위를 제외한 병변의 강한 조영증강소견이 보였다. 결론 :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특징적인 소견의 일부를 보여줄 수 있고 형질세포 침윤이 있는 다른 부위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골단일 형질세포종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