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treatment.

검색결과 1,327건 처리시간 0.032초

인조골에서 식립 방법이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기계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The effects of different pilot-drilling methods on the mechanical stability of a mini-implant system at placement and removal: a preliminary study)

  • 조일식;추혜란;김성균;신윤섭;김덕수;김성훈;정규림;존황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4-360
    • /
    • 201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ilot-drilling methods on the biomechanical stability of self-tapping mini-implant systems at the time of placement in and removal from artificial bone blocks. Methods: Two types of artificial bone blocks (2-mm and 4-mm, 102-pounds per cubic foot [102-PCF] polyurethane foam layered over 100-mm, 40-PCF polyurethane foam) were custom-fabricated. Eight mini-implants were placed using the conventional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and another 8 mini-implants were placed using a novel manual pilot-drilling method (using a manual drill) within each of the 2-mm and 4-mm layered blocks. The maximum torque values at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mini-implants were measured, and the total energy was calculat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ximum insertion torque was similar regardless of block thickness or pilot-drilling method. Regardless of the pilot-drilling method, the maximum removal torque for the 4-mm block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for the 2-mm block. For a given block, the total energy at both insertion and removal of the mini-implant for the manual pilot-drilling method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for the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Further, the total energies at removal for the 2-mm block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4-mm block, but the energies at insertion were not influenced by the type of bone blocks. Conclusions: During the insertion and removal of mini-implants in artificial bone blocks, the effect of the manual pilot-drilling method on energy usage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motor-driven pilot-drilling method.

상아질 표면처리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 TO DENTIN SURFACE FOLLOWING SURFACE CONTIONING)

  • 이광우;홍찬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1호
    • /
    • pp.104-11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Ketacfil, ESPE, Co.) against dentin surface which had been treated with surface conditioning agents(distilled water,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Ketac - conditioner, 40% polyacrylic acid). In this study, 60 human molars with sound and healthy crown portion which were previously extracted for orthodontic or periodontal problem. The dentin surfaces of these teeth were exposed with wet trimmer and polished with 150 - grit and 600 - grit silicon carbide paper and the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15 teeth per group) according to the following surface conditioning methods. Group I : Surface treatment with distilled water as control group. Group II : Surface conditioning with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III : Surface conditioning with Ketac conditioner. Group IV : Surface conditioning with 40% polyacrylic acid.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Autograph(Shimatzu Co. Japa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s were then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using one -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hear bond strength accrding to the dentin surface conditioning conditions was highest in Ketac conditioner group, with measurements of $44.44{\pm}0.74(kg/cm^2)$ and lowest in the distilled water group, with measurements of $28.84{\pm}0.88(kg/cm^2)$.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surface conditioning with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or Ketac conditioner group and distilled water group(P<0.01). 3.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urface conditioning with distilled water group and 40% polyacrylic acid group(P<0.05). 4. Overall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was not found (P<0.05). 5. Fractured dentin surface treated with conditioning solutions showed cohesive fracture. 6. Distilled water group and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removed the smear layer less effectively. 7. Conditioning dentin with Ketac conditioner and 40% polyacrylic acid resulted in the removal of a significant amount of the smear layer without removing the tubular plugs and dissolving the peritubular dentin.

  • PDF

가임기 여성의 치주질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eriodontal Disease in Fertile Women)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0-586
    • /
    • 201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20~44세의 성인 여성 2,134명을 대상으로, 가임기 여성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연령대(p<0.001), 교육수준(p<0.001), 결혼상태(p<0.001), 소득수준(p<0.05), 흡연(p=0.05), 출산경험(p<0.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만성질환 요인은 고혈압(p<0.001), 비만(p<0.001), 당뇨(p<0.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5), 저콜레스테롤혈증(p<0.001), 고중성지방혈증(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강건강 행태요인은 치통(p=0.05), 교정치료(p<0.05), 저작불편(p<0.05)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살펴본 결과, 만성질환요인에서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에서 1.576배, 당뇨군에서 2.569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행태요인은 구강위생용품미사용자가 1.372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좋은 여성에 비해 나쁜 여성이 1.614배 치주질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성의 만성질환 중 당뇨병이 치주질환 가장 큰 위험도를 나타냈으며, 당뇨와 비만은 관련성이 크므로 치주질환 위험요인으로 중요한 변수라 사료된다. 이에 복합적인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향후 여성의 치주질환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확대 및 구강보건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어린이에서 저속 상악 확장에 따른 골격성, 치아치조성, 기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평가 (Three Dimensional Skeletal, Dentoalveolar and Airway Space Changes after Slow Maxillary Expansion in Children)

  • 김나운;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5-16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확장 속도에 따른 치아치조성, 골격성 효과 및 상기도에 대한 효과를 CBCT를 통해 3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저속 상악 확장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서 Banded hyrax를 이용하여 상악 확장을 시행한 23명(평균 8.93 ± 1.61세)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확장 속도에 따라 저속 상악 확장군과 급속 상악 확장군으로 분류되었다. 치료 전후의 치아치조성, 골격성, 기도 부피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치료전(T0)과 치료 종료 및 유지 후(T1)에 촬영한 CBCT를 사용하였다. 상악 확장 결과 두 군 모두에서 치아치조성, 골격성 측정 값 및 상기도 부피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또한 모든 측정 값에서 저속 상악 확장과 급속 상악 확장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저속 상악 확장의 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저속 상악 확장은 치아치조성, 골격성 측정 값 뿐만 아니라 기도 부피, 상악동 기체 부피에서도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급속 상악 확장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는 성장기 어린이의 치주 조직의 생리적 측면, 불편감에 따른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급속 상악 확장과 저속 상악 확장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periodontal ligament models generat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t different resolutions for the assessment of periodontal bone loss

  • Hangmiao Lyu;Li Xu;Huimin Ma;Jianxia Hou;Xiaoxia Wang;Yong Wang;Yijiao Zhao;Weiran Li;Xiaotong L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77-88
    • /
    • 2023
  • Objective: To develop a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digital model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PDL) using 3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reconstruction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agreement of the 3D PDL models in the measurement of periodontal bone loss. Methods: CBCT data collected from four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rior to periodontal surgery were reconstructed at three voxel sizes (0.2 mm, 0.25 mm, and 0.3 mm), and 3D tooth and alveolar bone models were generated to obtain digital PDL models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Linear measurements of the alveolar bone crest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were compared with the digital measurements for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the digital models. The agreement and reliability of the digital PDL models were analyzed using intra- and interexaminer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Bland-Altman plots. Results: Digital model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PDL, and alveolar bone of the four patient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Relative to the intraoperative measurements, linear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3D digital models were accurat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voxel sizes at different sites. High diagnostic coincidence rates were found for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The digital models showed high intra- and interexaminer agreement. Conclusions: Digital PDL models generated by 3D CBCT reconstruction can provide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alveolar crest morphology and facilitate reproducible measurements. This could assist clinicians in the evaluation of periodontal prognosis and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orthodontic treatment plan.

학교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A research study on the necessity of school oral health education)

  • 곽정숙;우승희;김은주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7-5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n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Mokpo, South Jeolla Province, from October 1 to 31, 2018. The data that were collected from 327 students were analyzed by SPSS 21.0.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got 2.25 on a three-point scale in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This score was above average, which indicated that the students thought they were in good oral health. As for problems with oral health, dental caries was given the highest score of 2.48 on a five-point scale, followed by oral malodor with 2.35. Second,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oral health education accounted for 69.1 percent, and the students who felt the need for this education represented 82.6 percent. As for educational content desired, the biggest group of 57.8 percent hoped to learn about how to prevent and manage dental caries,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of 17 percent wanted to learn about how to take care of oral health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state of oral health education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mor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students who had mor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asked more for this education, which implies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boost the level of their oral health knowledge and change their oral health attitude in a positive manner. If oral health practice programs that connect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families with one another are developed to guide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teenagers in the right direction, i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악수술과 양악수술시 술후동태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SURGICAL CHANGES BETWEEN ONE JAW SURGERY AND TWO-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 최양숙;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7-313
    • /
    • 1997
  • 본 연구는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총 42명 중 하악에만 수술을 받은 환자 18명과 상하악에 동시에 수술을 받은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진,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 6개월 경과후의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채득하고 투사도를 작성하여 계측하였다. 골격, 치아 및 연조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수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연조직 변화를 편악수술군과 양악수술군에서 비교하고 술전교정치료시에 지침이 될 수 있는 상하악절치의 경사도에 대해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수술직후 양악수술군에서는 상악골 및 상악전치, 상순의 전방과 상방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졌다. 양군 모두에서 하악골 및 하악절치는 후방이동하였고 하순의 두께가 증가되었으나 두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는 없었고 전안모고경은 양악수술군에서 더 많이 감소되었다(p<0.05). 수술 6개월 경과후 편악수술군에서는 상악절치가 1.44mm 전방이동하였고, 하악절치와 하악골도 각각 1.26mm, 1.43mm 전방이동하였으나 양악수술군에서는 유의한경조직의 변화가 없었다. 2.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가 0.70, 0.73, 0.70이었고 변화율은 79%, 80%, 82%였다.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3, 0.94였고 변화율은 89%, 101%였다. 편악수술군에서는 하악골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73, 0.83이었고 변화율은 각각 92%, 104%였다. Pog과 Pog', Me와 Me' 사이의 수평적 변화율은 양군 모두 1:1 이었다. 3. 수술직전과 수술 6개월 경과후 양악수술군에서 상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상순의 Sn, SLS, 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0.72, 0.76, 0.75, 변화율은 각각 57%, 58%, 59%였다. 하악절치의 수평적 변화와 하순의 LI, ILS의 수평적 변화사이의 상관계수는 양악수술군에서 0.93, 0.90, 편악수술군에서 0.71, 0.89였고 변화율은 양악수술군에서 76%, 87%, 편악수술군에서 75%, 85%였다. 4. 편악수술군에서 악골의 전후방 부조화와 상하악절치 경사도사이 에 FMIA = 57.48-2.17 ANB, Ul-SN = -75.02+2.17 SNB의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는 각각 0.63, 0.63이었다. 양악수술군에서는 SNB와 FMIA, SNB 및 ANB와 U1-SN사이에 회귀방정식을 구할 수 있었으나 결정계수가 0.13에서 0.19사이로 낮아 유의성은 없었다.

  • PDF

한국 아동의 측모두부 수평 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Children)

  • 김경호;최광철;이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1-265
    • /
    • 1999
  •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수평 기준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재현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수평 기준선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성인 환자와는 다르게 성장기 아동에서는 발육단계에 따라 수평 기준선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평 기준선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아동의 골성숙도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Sella-Nasion (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성장기 남녀 아동 540명을 대상으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MA(Skeletal Maturity Assessment)를 이용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SMI 1-4를 A군, SMI 5-7을 B군, SMI 8-11을 C군으로 분류하고,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결과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성숙도와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는 $8.27^{\circ}{\pm}2.31^{\circ}$, 여자는 $8.59^{\circ}{\pm}2.24^{\circ}$, 전체에서는 $8.42^{\circ}{\pm}2.28^{\circ}$였다. 3. FH 평면과 구개평면이 이루는 각은 골성숙도,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1.09^{\circ}{\pm}3.21^{\circ}$).

  • PDF

8-10세 아동에서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study of the components of Cl III malocclusion in children 8-10 years of age)

  • 김형돈;유대진;김일규;오성섭;최진호;오남식;김의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9-174
    • /
    • 2000
  • III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치료 방법들이 소개되었고 치료 방법은 술자의 선호도와 경험, 그리고 치료 성공률과 같은 술자에 관한 것이 아니라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에 따라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III급 부정교합의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인종과 연령에 따라 각기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 변형 치로의 대부분이 행해지는 시기인 8-10세의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을 대상으로 III급 부정교합의 본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알아보아 환자가 갖고 있는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125명의 8-10세 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이용하여 McNamara방법에 의해 4가지 수평요소와 1가지 수직요소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II급 부정교합은 한가지의 임상적 실체가 아닌 악골과 치아의 다양한 상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상악골의 후방 위치가 III급 부정교합자들의 가장 흔한 특징이었다. 3. 상악 전치는 대부분 후방 위치하였다. 4. 하악 전치는 대부분 전방 위치하였다. 5. 하악골은 정상적 위치인 경우가 많으나 전돌과 후퇴도 있었다. 5. 수직적으로는 과도한 성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 성장기 아동의 III급 부정교합에서는 수직적 성장 억제와 상악골의 수평적 성장 촉진에 대한 치료 기법들의 적용이 많은 경우에서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OCCLUSAL PLAN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F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7-253
    • /
    • 1998
  •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조절이나 절충치료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환자의 대부분이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상하악 동시 수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양악 수술에서, 교합평면의 설정은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되어지며, 바람직한 기능 및 심미적인 결과와 술후 안정성을 얻을수 있도록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 (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양악 수술 후 $T_2와\;T_3$시기의 유의차를 보인 값은 교합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 이었으며 그외의 교합평면의 경사도에선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교합평면의 술후 재발량은 SN평면과, FH평면에 대해서 각각 $0.24^{\circ}{\pm}2.43{\circ},\;0.15{\circ}{\pm}2.16{\circ}$로 양악 수술 후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유지되었다. 2. A군과 B군사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3. A군및 B군내에서 교합평면의 안정성은 술자 및 수술방법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술후의 치아에 의한 변화 보다는 악골의 변화($T_3-T_2$)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하악골의 변화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5. 술후 교합평면의 변화($T_3-T_2$)는 수술에 의한 상악골의 impaction양, 하악골의 후퇴량($T_2-T_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