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miniscrew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5초

Nonsurgical maxillary expansion in a 60-year-old patient with gingival recession and crowding

  • Kim, Harim;Park, Sun-Hyung;Park, Jae Hyun;Lee, Kee-J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7-227
    • /
    • 2021
  •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often manifests as a posterior crossbite or edge-to-edge bite and anterior crowding. However, arbitrary arch expansion in mature patients has been considered to be challenging due to the possible periodontal adverse effects such as alveolar bone dehiscence and gingival recession.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nonsurgical maxillary expansion of the basal bone has been demonstrated in young adults. However, the age range for successful orthopedic expansion has remained a topic of debate, possibly due to the underlying individual variations in suture maturity. This case report illustrates nonsurgical,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in a 60-year-old patient with maxillary transverse deficiency accompanied by anterior and posterior crossbites, crowding, and gingival recession. The use of MARPE allowed relief of crowding and correction of the crossbite without causing significant periodontal adverse effects.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ccess rates of posterior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s: A subgroup meta-analysis

  • Hong, Sung-Bin;Kusnoto, Budi;Kim, Eun-Jeong;BeGole, Ellen A;Hwang, Hyeon-Shik;Lim, Hoi-Jeo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1-126
    • /
    • 2016
  • Objective: To systematically review previous studies and to assess, via a subgroup meta-analysis, the combined odds ratio (OR) of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miniscrew implants (MIs) inserted into the buccal posterior region. Methods: Three electronic searches that were limited to articles on clinical human studies using MIs that were published in English prior to March 2015 were conducted. The outcome measure was the success of MIs. Patient factors included age, sex, and jaw of insertion (maxilla vs. mandible), while the MI factors included length and diameter.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7 individual studies. The quality of each study was assessed for non-randomized studies and quantified using the Newcastle-Ottawa Scale. The meta-analysis outcome was a combined OR. Subgroup and sensitivity analyses based on the study design, study quality, and sample size of miniscrews implanted were performed. Results: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s were revealed for MIs inserted in the maxilla, for patients ${\geq}20$ years of age, and for long MIs (${\geq}8mm$) and MIs with a large diameter (> 1.4 mm). All subgroups acquired homogeneity, and the combined OR of the prospective studies (OR, 3.67; 95% confidence interval [CI], 2.10-6.4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xilla than that in the retrospective studies (OR, 2.10; 95% CI, 1.60-2.74). Conclusions: When a treatment plan is made, these risk factors, i.e. jaw of insertion, age, MI length, and MI diameter,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ile sex is not critical to the success of MIs.

정중구개봉합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연구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dpalatal suture area for miniscrew implantation using CT image)

  • 박영철;이종석;김두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42
    • /
    • 2005
  • 교정용 임플란트 사용에 있어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의 높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부학적 자료가 없어서 임상에 적용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과 재구성 프로그램인 V works 40 (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해부학적 근거를 얻고자 하였다. 성인 남자 14명, 성인 여자 14명의 보철용 임플란트를 위한 CT 자료를 통해 정중 시상면에서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하고 정중구개봉합 부위에서 골조직 두께를 측정하며 교정용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구체적 부위를 설정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S에서 PNS까지의 상악골의 길이를 계측한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51.08mm, 여자에서는 평균 47.34mm였다 남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골조직 두께를 측정한 결과 남자의 ANS-PNS길이의 중점에서 구개평면을 따라 PNS쪽으로 15 mm지점을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5mm이상의 골조직이 존재하였다. 정중구개봉합부위에 교정용 임플란트를 적응할 때 안정적인 식립부위는 구개평면을 따라서 ANS로부터 남자는 19.43mm 후방부위, 여자는 17.62mm 후방부위에 해당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안정적인 식립부위에서는 교정용 임플란트 식립이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바탕으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교정용 임플란트를 활용하여 교정치료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하악 전치 함입 시 변위양상의 3차원 유한요소분석 (3-D FEA on the intrusion of mandibular anterior segment using orthodontic miniscrews)

  • 박현경;성의향;조영수;모성서;전윤식;이기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84-398
    • /
    • 2011
  •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이용하여 하악 전치의 함입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분절의 크기에 따른 예측가능한 이동 양상에 대하여 보고된 바는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4전치와 6전치 분절 모델에서 미니스크류와 훅의 위치를 달리하여 함입력을 적용하였을 때 응력분포와 초기 변위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악 전치와 치주인대,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미니스크류 및 호선상 훅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힘 벡터에 따른 치아의 3차원 각 평면에서의 변위량 및 von Mises 응력분포 양상을 비교하였다. 하악 4전치 분절에서는 함입력의 위치에 무관하게 공히 치관의 전방 경사가 발생하였으며 측절치 원심의 미니스크류와 후하방 힘을 가한 경우 경사 정도가 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6전치 분절의 함입 시 견치 전방에 위치한 미니스크류에 의해 역시 상당한 치관의 전방 경사 및 순측치경부 치근막에 von Mises stress가 집중되었으며 견치 후방에 위치한 미니스크류와 중절치-측절치 간 훅에 의한 힘에 의해 순수한 함입에 가까운 치아 변위 및 치근막 전체에 균일한 von Mises stress의 분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악 전치의 함입이 요구되는 과개교합 증례에서 견치 원심측의 미니스크류와 중절치-측절치 간 훅을 이용한 후하방 힘에 의해 예측가능하게 하악 6전치의 순수한 함입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recycling on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retrieved orthodontic miniscrews

  • Yun, Soon-Dong;Choi, Sung-Hwan;Cha, Jung-Yul;Yu, Hyung-Seog;Kim, Kwang-Mahn;Kim, Jin;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38-247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cycled and unused orthodontic miniscrew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reuse. The comparisons included both miniscrews with machined surfaces (MS), and those with etched surfaces (ES). Methods: Retrieved MS and ES we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 assigned recycling procedure: group A, air-water spray; group B, mechanical cleaning; and group C, mechanical and chemical cleaning. Unused screws were used as control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metry, insertion time and maximum insertion torque measurements in artificial bone, and biological responses in the form of periotest values (PTV), bone-implant contact ratio (BIC), and bone volume ratio (BV) were assessed. Results: Morphological changes after recycling mainly occurred at the screw tip, and the cortical bone penetration success rate of recycled screws was lower than that of unused screws. Retrieved ES needed more thorough cleaning than retrieved MS to produce a surface composition similar to that of unused scre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TV or BIC between recycled and unused screws, while the BV of the forme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latter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use of recycled orthodontic miniscrews may not be feasible from the biomechanical aspect.

Effect of archwire stiffness and friction on maxillary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during anterior segment retraction: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Park, Choon-Soo;Yu, Hyung-Seog;Cha, Jung-Yul;Mo, Sung-Seo;Lee, Kee-J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93-403
    • /
    • 2019
  • Objective: Sliding mechanics using orthodontic miniscrews is widely used to stabilize the anchorage during extraction space closure.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both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and anterior segment displacement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rchwi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chwire stiffness and friction change on the displacement pattern of the maxillary posterior segment during anterior segment retraction with orthodontic miniscrews in sliding mechanics. Metho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onstructed. The retraction point was set at the archwire level between the lateral incisor and canine, and the orthodontic miniscrew was located at a height of 8 mm from the archwire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rchwire stiffness was simulated with rectangular stainless steel wires and a rigid body was used as a control. Various friction levels were set for the surface contact model. Displacement patterns for the posterior and anterior seg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conditions. Results: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s exhibited backward rotation, regardless of archwire stiffness or friction. Among the conditions tested in this study, the least undesirable rotation was found with low archwire stiffness and low friction. Conclusions: Posterior segment displacement may be unavoidable but reducing the stiffness and friction of the main archwire may minimize unwanted rotations during extraction space closure.

교정용 미니스크류 식립 시 스크류의 길이, 직경 및 피질골 두께에 따른 응력 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for stress distribution on the length and diameter of orthodontic miniscrew and cortical bone thickness)

  • 임종원;김왕식;김일규;손충렬;변효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20
    • /
    • 2003
  • 본 연구는 교정치료 시 고정원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길이, 직경 및 피질골 두께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미니스크류의 길이와 직경 변화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식립되는 피질골의 두께를 1.0mm로 고정하고 미니스크류의 길이를 6.0mm, 8.0mm, 10.0mm, 12.0mm로, 직경을 1.2mm, 1.6mm, 2.0mm인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또한, 피질골의 두께 변화에 따른 응력 분포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미니 스크류의 길이를 8.0mm로 고정하고 직경은 1.2mm, 1.6mm, 2.0mm로, 피 질골의 두께는 1.0mm, 1.5mm, 2.0mm, 2.5mm인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다. 각각의 유한요소 모델의 미니스크류 head중심에 200gm의 수평력을 가하여 응력 분포 양상과 크기를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니스크류 내부에서 나타나는 최대 응력값을 비교한 결과, 미니스크류의 직경이 1.2mm에서 2.0mm로 증가할수록 응력이 감소하였으며 같은 직경에서는 길이 증가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2. 피질골 및 해면골에 작용되는 최대 응력값을 비교한 결과, 미니스크류의 직경이 1.2mm에서 2.0mm로 증가할수록 응력이 감소하였으며 같은 직경에서는 길이 증가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3. 피질골 및 해면골에 작용되는 응력 분포를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응력이 피질골에서 흡수되었으며 ,해면골에 전달되는 응력값은 미미하였다. 4. 피질골 두께에 따른 최대 응력값을 비교한 결과, 같은 미니스크류의 직경에서는 피질골의 두께 증가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유지에 길이보다는 직경이 더 크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니스크류의 식립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성장기 아동의 single tooth scissors bite의 교정 치료: 증례 보고 (ORTHODONTIC TREATMENT OF SINGLE TOOTH SCISSORS BITE IN GROWING CHILDREN: CASE REPORTS)

  • 김지인;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27-434
    • /
    • 2011
  • 중심교합위의 상태에서 편측 혹은 양측으로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하악 구치부의 협측으로 위치한 경우를 scissors bite라고 한다. 이는 상악의 폭경이 크거나 하악의 폭경이 좁은 경우 발생한다. Scissors bite의 경우 방치하게 되면 하악의 성장이 방해받게 되고 그 결과, 악궁 폭경의 부조화가 심해져 저작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 차단 교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실제 임상에서는 여러 치아의 scissors bite보다 최후방 구치 혹은 그 외 하나의 구치만의 single tooth scissors bite(STSB)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STSB의 경우도 방치하게 되면 저작력으로 인하여 구치의 각도가 더욱 악화되므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STSB를 보이는 7세, 14세, 12세, 16세의 환자에게 각각 criss-cross elastic, 고정성 장치, 가철성 장치, miniscrew를 사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보고하였다. 각 환자의 증례에 적합한 장치를 잘 선택하여 사용한다면 치아를 정출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고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Osseous outgrowth on the buccal maxilla associated with piezosurgery-assisted en-masse retraction: A case series

  • Tuncer, Nilufer Irem;Arman-Ozcirpici, Ayca;Oduncuoglu, Bahar Fusun;Kantarci, Alpdog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7-62
    • /
    • 2018
  • Piezoelectric surgery is a novel surgical approach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for rapid tooth movement. This paper presents a case series wherein osseous outgrowths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piezosurgery-assisted en-masse retraction. Sixteen patients requiring upper premolar extractions were treated with miniscrew-supported en-masse retraction and received minimally invasive decortication via piezosurgery. Computed tomography (CT) of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outgrowths. In 8 of the 16 patients, hemispheric or disc-shaped osseous outgrowths were observed on the sites where piezosurgery was performed during retraction. CT images revealed that these outgrowths were alveolar bone. This case series presents a previously unreported osseous response to piezosurgery-assisted tooth movement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ponse is mostly transient and is observed in 50% of the treated patients, suggesting a bone turnover that can be assess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성견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서의 티타늄 미니스크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itanium Miniscrew as Orthodontic Anchorage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dogs)

  • 윤병수;최병호;이원유;김경남;심형보;박진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7-523
    • /
    • 2001
  • 교정치료에서 원하는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안정된 고정원이 필요한데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매식과 제거가 쉽고, 구강 내 여러 부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나 비용적인 부담이 적고, 제거 후에 치유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에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한 임상 예들이 여러 편 발표되었는데 미니스크류의 이완이 가장 큰 실패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논문들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스크류의 식립 길이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교정적 고정원으로 미니스크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립 부위에 따른 골구조와 골밀도 차이를 고려한 식립 길이에 관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견의 상악골과 하악골에서 직경 2mm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다양한 길이로 식립하고 교정력을 적용한 후 그 안정성을 평가하여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니스크류의 식립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미니스크류가 상악에서는 6mm 이상, 하악에서는 4mm 이상이 골 내에 식립될 때 8주 동안 200g의 교정력에 동요도나 위치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식립 부위로는 부착치은 부위 치근 사이에 식립될 때 구강청결이 유지되고 미니스크류 주변 치은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아 정상적인 조직으로 유지 될 수 있었다. 또한 교정력 적용 8주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검사에서 스크류 주변 치근 흡수나 치조골 흡수, 치주 인대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cdot$하악 골밀도와 골구조의 차이를 고려하여 미니스크류의 골내 식립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교정적 고정원으로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n-Pg line와 Sn perp. 에서부터의 거리에는 차이가 없었다(p$44.32\%$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였고, 피질골 절단술 시행시에 저항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치경부에서 치근단 쪽으로 치근 길이의 $46.38\%$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여 피질골 절단술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후방견인력의 크기 변화에 따라 저항 중심의 수직적 위치는 변하지 않았다.Stainless Steel의 순이었다. 5. 비틀림실험은 0.016x0.022의 경우 Unitek Resilient가 가장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큰데, 64.8회의 회전후 파절한다. 그 다음으로 Jinsung Stainless Steel, Unitek Hi-T, Ormco Stainless Steel, Unitek Standard(50.6회) 순이었다. 0.019x0.025의 경우 Jinsung Stainless Steel이 가장 커서 83.2회의 회전에 저항하고, Unitek Resilient, Unitek Standard의 순이고 Ormco와 Unitek Hi-T가 가장 저항력이 작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