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ofacial myofunctional therap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The Effects of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on the Changes of Lip and Tongue Strength in Elderly People

  • Kim, Seol-Hee;Kim, Min-Ju;Lee, Seung-Hyun;Choi, Bo-Wha;Heo, Yae-J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9-287
    • /
    • 2019
  • Background: Increasing age and loss of teeth weaken oral muscle streng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on elderly people. Methods: Thirty six elderly individuals in a welfare center and a senior citizen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survey regarding lip and tongue strength suvsequent to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ver. 18.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lip strength (from 9.79 to 10.31) and tongue strength (from 41.26 to 43.97) after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The perception of oral health-relatedquality of life was enhanced (from 2.26 to 2.07).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dry cough for food removal while swallowing decresed due to an incresed in the secretion of saliva (p<0.05).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functional teeth was positively related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for improving lip and tongue strength is effective in the elderly. In older societies, oral strength should be maintained to impro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also suggests the interest of oral health workers and applying orofacial myofunctional training programs.

수면호흡장애 어린이의 근기능 장치 효과 증례 보고 (Effects of Myofunctional Appliance in Children with Sleep-Disordered Breathing: Two Case Reports)

  • 심호진;정태성;김신;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9-126
    • /
    • 2019
  • 수면호흡장애는 구강악안면 근육 기능부전을 유발하여 안모의 형태이상 및 부정교합을 유발할 수 있다. 소아치과 영역에서 수면호흡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이러한 합병증을 차단하여 정상적인 안모 성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수면호흡장애의 치료법 중에 하나로 근기능요법이 있으며 기성 근기능 장치가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들에서는 수면호흡장애가 있는 부정교합 환자들에게 기성 근기능 장치를 사용하여 수면호흡장애를 해소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하지만 총생의 개선 효과는 그 정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한계점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근기능요법을 통한 모야모야병 환자의 개방 교합 치료 (TREATMENT OF OPENBITE WITH MYOFUNCTIONAL THERAPY IN MOYAMOYA DISEASE PATIENT)

  • 이창근;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22
    • /
    • 2017
  • 비골격성 전방부 개방 교합은 대부분 구강 주위 근육 기능의 부조화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근기능요법을 통한 치료가 추천된다. 그러나 근기능요법의 시행 시에는 환자의 협조도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협조도가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습관 차단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습관 차단 장치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근기능요법을 병행할 수 있다면 장치 치료의 기간이 단축되고 치료 후의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습관제거장치와 근기능요법을 이용한 혀내밀기 원인성 개방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OPEN BITE BY TONGUE THRUSTING HABIT USING HABIT BREAKING APPLIANCE AND MYOFUNCTIONAL THERAPY)

  • 최지원;오유향;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9-235
    • /
    • 2005
  • 흡지벽, 수직적인 골격 발육부전 등 여러 원인을 갖는 개방교합은 치아와 치조돌기에 국한되어 있는 단순 개방교합, 수직골격 발육부전에 의한 골격성 개방교합인 복잡 개방교합으로 나눌 수 있다. 단순 개방교합은 흡지벽, 농설벽 등 국소적 원인에 의하며 치조돌기의 수직적 발육결여와 상하악 잔치의 맹출 장애 등의 특징을 보인다. 농설벽은 혀가 상하악 전치 사이에 위치하고 혀의 주변부위가 구치부 교합면 사이에 놓이지 못하게 됨으로써 구치부 과맹출에 의한 전치부의 개방교합과 상악전치의 전돌을 가속화하게 된다. 악습관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어린이에서는 습관을 없애주는 것이 개방교합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그리고 Hawley type 장치에 crib을 첨가하거나 oral screen을 장착시켜 농설벽을 치료할 수 있다 그리고 근기능요법은 동기유발과 혀의 기능을 조절하고 입술운동을 통해 새로운 연하운동을 발전시키도록 훈련하여 부정교합을 교정하거나 개방교합의 재발을 방지한다. 본 증례는 농설벽에 의한 개방교합을 가진 8세 여자 환자에서 탄성고무, 빨대를 이용한 연하연습과 발음연습을 포함한 근 기능요법과 습관제거장치를 이용해 습관의 중지 및 개방교합의 개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초등학교 어린이의 평균 구순폐쇄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Lip Closing Force and the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한이;백경희;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3-352
    • /
    • 2019
  • 성장기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구순폐쇄 부전은 구강기능 및 구강 주위 조직의 구조적 발달 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구강안면 근기능 이상으로 발전된다. 이처럼 입술을 다무는 것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행동이므로, 입술을 다무는 힘을 측정하는 것은 구강 감각 및 운동 이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어린이의 연령, 성별에 따른 평균 구순폐쇄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곳의 7 - 12 세 어린이 765명을 대상으로, 교합상태, 구순폐쇄 여부에 대한 임상 검사와 구순폐쇄력 측정을 시행하였다. 구순폐쇄력은 3회 측정하였고, 측정값의 평균을 대상자의 구순폐쇄력으로 활용하였다. Angle 분류법 및 안정시 구순폐쇄 여부는 구순폐쇄력 고저군 분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16, 0.004). 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높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불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낮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