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ginal text

검색결과 430건 처리시간 0.023초

빅데이터를 활용한 월경통에 대한 국내 한방 치료 인식 조사 (Study on Domestic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Dysmenorrhea using Big Data)

  • 전하영;황덕상;이진무;이창훈;장준복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32
    • /
    • 202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omestic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dysmenorrhea. Methods: We conducted word frequency analysis, 2-gram analysis, degree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using big data searched for '월경통', '생리통', and '한방' as main key words. The searching period was set from 2019 to 2023. Results: The number of original text data searched through main key words was on the rise. Specific words related to Korean medicine treatment were in the top 100, words related to herbal medicine ranked particularly high. The top 100 words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A; Body parts or body substances related to dysmenorrhea, B; Symptoms that accompany dysmenorrhea, C; Physiological or pathological situations related to dysmenorrhea, and D; Treatment related words of dysmenorrhea) and some clusters showe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s (B-C, B-D, and C-D).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interest i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dysmenorrhea is increasing. Also, as public understanding is estimated to be high,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method, process and mechanism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seems to be needed.

두사경(杜思敬)의 "제생발수(濟生拔粹)"에 수록된 침구의적(鍼灸醫籍)에 관한 문헌 (A Study on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corded in Dusagyeong(杜思敬)'s "Jesaengbalsu(濟生拔粹)")

  • 김정호;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1-83
    • /
    • 2009
  •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recorded in Dusagyeong(杜思敬)'s".Jesaengbalsu(濟生拔粹)" can be summarized into 3 major parts: 1. "Gyeolgo-ungichimbeop(潔古雲岐鍼法)" and "Dutaesachimbeop(竇太師鍼法)" 1) "Gyeolgo-ungichimbeop" was edited by Dusagyeong of the Won dynasty, and was recorded in "Jesaengbalsu". Du was influenced by his teacher Heohyeong(許衡) and followed Janggyeolgo(張潔古) and his son Jangbyeok(張璧), and collected his work "Chimgu-pyeon(鍼灸篇)" for Jang and named it "Gyeolgo-ungichimbeop", and took the content from the medical book of Jang and his student Wang-haejang(王海藏). (2) "Jesaengbalsu"'s original edition exists today. The "Gyeolgo-ungichimbeop" listed in "Jesaengbalsu"'s index contain two collections, the first collection being "Gyeolgo-ungichimbeop" and the second collection being "Dutaesachimbeop(竇太師鍼法)" (3) Gyeolgo(潔古)、Un-gija(雲岐子)'s acupuncture methods can be seen in Un-gija "Bomyeongjipryuyo(保命集類要)" and Wanghaejang "Chasananji(此事難知)". (4) The related acupuncture methods are 'Non-gyeong-rak-yeongsubosabeop(論經絡迎隨補瀉法)', 'Gyeong-rakchwiwonbeop(經絡取原法)', 'Jeopgyeongbeop(接經法)', and 'Sang-hanyeolbyeongjabeop(傷寒熱病刺法)' (5) Du's edition of the entire text of 'Gyeolgojajetongbeop(潔古刺諸痛法)' 'Jasimtongjehyeol(刺心痛諸穴)' and the first half of 'Jeopgyeongbeop(接經法)' is all recorded in "Somunbyeonggigi-uibomyeongjip(素問病機氣宜保命集)". The existing "Somunbyeonggigi-uibomyeongjip" is a combination of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of Yuwanso(劉完素), "Gi-ui(氣宜)" and "Byeonggi(病機)" with works such as Jangwonso(張元素)'s '"Bomyeongseo(保命書)"'. (6) Of the titles "Gyeolgo-ungichimbeop" and "Dutaesachimbeop", the 14$\sim$19th chapters "Dutaesachimbeop" should be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chapter, and the 16th chapter that Du added was put after chapter 14 "Yujujiyobu(流注指要賦)", and chapters 20, 21 should be put in "Gyeolgoungichimbeop" after chapter 13. 2. "Chimgyeongjeok-yeongjip(鍼經摘英集)" (1) "Chimgyeongjeok-yeongjip" is a collection of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contents of medical books from the Geum and Won dynasties that Dusagyeong collected and organized during the Won dynasty, which is consisted of 5 chapters : "Guchimshik(九鍼式)", "Jeolyangchwisuhyeolbeop(折量取腧穴法)", "Bosabeop(補瀉法)", "Yongchimhoheupbeop(用鍼呼吸法)", "Chibyeongjik-ralgyeol(治病直剌訣)". (2) First, the contents. The nine acupuncture needles[九鍼] listed in "Guchimshik(九鍼式)" is the first existing document recording to systematically illustrate the 'nine classical needles' in drawing and text form which reflects the forms of the needles of the era. Second, "Jeolyangchwisuhyeolbeop(折量取腧穴法)" has the same basic way of measuring points [量穴法] as Wang-yuil's "Dong-insuhyeolchimgudo-gyeong(銅人腧穴鍼灸圖經)" and the same point selection rules as "Jeonyeongbang(全嬰方)". Third, in "Bosabeop(補瀉法)", "Somun(素問)" and Janggyeolgo's "Yeongsubosabeop(迎隨補瀉法)" is put together. Fourth, in "Yongchimhoheupbeop(用鍼呼吸法)", the cold and heat supplementation and draining [寒熱補瀉] method that combines breathing with inner and outer rotation[外 內撚] is recorded. Fifth, "Chi-byeongjik-ralgyeol(治病直剌訣)" is the main part of "Chimgyeongjeok-yeongjip(鍼經摘英集)" listing 69 acupuncture treatments reflecting Du's scholastic ideas on aspects such as syndrome differentiation[辨證], needling method and type of needle[鍼具]. (3) The content of this book was quoted by "Bojebang Chimgumun(普濟方 鍼灸門)" and when Gomu compiled "Chimguchwiyeong", he put the acupuncture treatments for the main indications of the disease patterns[鍼方主治病證] of this book in the related main indications of acupuncture points[腧穴主治證], which influenced books on acupuncture points there after. 3. "Chimgyeongjeolyo(鍼經節要)" (1) Consists of 1 volume. The original title of this book is "Dong-insuhyeolchimgudo-gyeong (銅人腧穴鍼灸圖經)" and the author is Wang-yuil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written in the 4th year of the Cheonseong(天聖) era of the Song dynasty(1026). (2) Dusagyeong selected the contents on pathology of the 12 meridians in volume one and two, the introduction and five transport points[五輸穴] in volume 5 of "Dong-indo-gyeong(銅人圖經)" and named it "Chimgyeongjeolyo." During the Won dynasty it was recorded in "Jesaengbalsu".

  • PDF

베버리지 보고서의 의료보장 구상과 NHS를 통한 구현 (The Public Health Welfare Conception of the Beveridge Report and Its Realization via the NHS)

  • 한준엽;박지용
    • 의료법학
    • /
    • 제24권3호
    • /
    • pp.59-104
    • /
    • 2023
  • 본고는 베버리지 보고서 원문에 담긴 의료보장 및 복지 구상을 검토하고, 베버리지의 기획이 오늘날 영국 NHS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현실에서 구현되었는지를 규명하고자 노력한다. 20세기 복지 사회의 근간을 형성한 베버리지 보고서의 영향력을 염두에 둔다면, 보건의료 영역에 관한 베버리지 보고서의 본래적인 기획은 무엇이었으며, 그것이 국가 의료 시스템인 NHS로 얼마나 충실히 계승되어 구현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과제는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보건복지 정책이 현대 국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한다면, 베버리지가 제시한 의료보장 기획 및 그 내용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왔는지를 살피는 노력은 시의적절하다. 위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베버리지 보고서에 담긴 의료보장 구상과 NHS를 통한 구현을 다음과 같이 알아본다. 우선 베버리지 보고서의 역사적인 배경을 다루어 베버리지가 제시한 복지체계의 기원을 살피며, 복지 제도의 개혁을 주동한 시대정신의 역할 및 영국 전시생산체제와 응급의료서비스의 경험을 주요 논점으로 부각한다. 그 후 당대의 사회현실로부터 태동한 베버리지 보고서의 의료보장 구상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단계가 진행되며, 이때 사회복지를 향한 목표와 의료보장에 관한 계획이 주목된다. 마지막으로, NHS의 지향과 운용 방식, 치료 유형, 재활 프로그램을 포함한 현황을 차례로 검토하고 베버리지 보고서와 비교분석하여 저자의 기획이 현실에서 충실하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핀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베버리지 보고서 원문은 물론이며, 잉글랜드 NHS 헌법과 1946년 국민보건서비스법을 비롯한 주요 법정책 자료를 참고하여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한다. 본고의 탐구는 단지 베버리지 보고서의 답습에 그치지 아니하고, 현대의 관점에서 복지국가에 대한 베버리지의 기여를 평가하여 되돌아본다는 지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베버리지 보고서에 담긴 지향과 정책 등을 구조화하여 분석하고, 이를 NHS의 현실에 접목하여 비교분석하는 본고의 서술은 베버리지의 기획이 영국에서 착실하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피는 적절한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고는 보건의료 분야 복지의 과거와 현재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반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며, 한국 의료보장 및 복지 관련 법 제도의 미래와 개선을 염두에 두는 건설적인 탐구에 적절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강릉 연곡면 유등리 '유상대(流觴臺)' 곡수로(曲水路)의 조명(照明) (A Study on the Yousang-Dae Goksuro(Curve-Waterway) in Gangneung, Yungok-Myun, Yoodung Ri)

  • 노재현;신상섭;이정한;허준;박주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21
    • /
    • 2012
  • 본 연구 대상인 강원도 강릉시 연곡동 유등리 뱀골 하류의 너럭바위에 새겨진 '유상대(流觴臺)' 각자와 암각바둑판은 이곳이 유상곡수 놀이와 신선 풍류 행위가 이루어졌던 풍류처임을 확인시켜 준다. 3차에 걸친 정밀답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일신라 헌강왕 원년(875)에 도운(道雲)에 의해 창건되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 폐허가 되었고, 1954년에 재건된, 백운사 경내에 새겨진 '만월산 백운동천(萬月山白雲洞天)'이란 암각서는 뱀골 계곡에 선도적(仙道的)풍류와 선비문화의 전통이 면면히 스며있음을 보여주는 소중한 단서이다. 최백순이 1934년 편찬한 강릉의 읍지인 동호승람 제2권에 인종원년(1545)을 전후하여 '남전현(籃田縣)의 백운사는 율곡 이이, 성제 최옥 등 명유(名儒)의 강례처(講禮處)'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공간이 유서 깊은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호승람과 완역 증보임영지에 기술된 무오년, 즉 철종9년(1858) 김윤경(金潤卿)이 창건한 백운정(白雲亭)의 존재를 통해 누정 및 동천 경영의 흔적을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유상대 각자 바위 계류 건너 입석에 새겨진 '백운정동천(白雲亭洞天)' 암각서는 백운정 건립 3년 뒤인 철종12년(1861)에 조성되었으며, 유상대와 매우 깊은 연관성이 있는 상징적 표식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황과 입지성을 전제로 유상대 곡수유구 흔적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유상대 주변 계류 및 암반에는 수량과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세분석(細分石)과, 유로와 잔을 가두기 위한 홈인 금배석(擒盃石)과 유배공(留盃孔)의 조탁 흔적 등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하단 암벽에서 '오성(午星)'이란 명기 아래 23인명의 각자를 발견하게 됨에 따라 이곳이 20C중반까지 유상곡수연의 성격을 갖는 풍류 문화경관의 거점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공간에서는 적어도 20세기 중반까지 유상대를 중심으로 한 선비 풍류의 문화가 전승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유 불 선(儒 彿 仙)이 습합된 독특한 역사문화공간'이란 측면에서도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23인명의 정체와 유상대 각자 주체 파악 등 유상곡수 등 풍류행위를 기록한 자료 발굴 등을 통해 본 공간의 성격을 보다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록에 전해지는 암각장기판 또한 발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바, 현재 콘크리트포장 도로의 파쇄를 통한 추가 유적의 발굴 및 노선 변경 등 원형경관 회복방안 또한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원 이용행태의 시계열분석 -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 (Time Series Analysis of Park Use Behavior Utilizing Big Data - Targeting Olympic Park -)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7-36
    • /
    • 2018
  • 본 연구는 공원 이용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이용자에 적합한 공원 환경으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에 주목하고, 이용자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행태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온라인 데이터(블로그)를 연구의 기초자료로 선정하고, 5년 단위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시계열적 행태의 특성을 도출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온라인 데이터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첫째, '길을 걷다'(산책), '사진을 찍다', '자전거(인라인, 킥보드 등)를 타다', '먹다', '공연을 관람하다'는 올림픽공원에서 행해지는 공통적인 행태로 나타났다. 둘째, 수집된 데이터의 초기에는 운동 등 적극적인 신체활동을 행태가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핸드폰, 게임, 음식을 먹고 커피를 마시는 등의 소극적인 비활동적 행태도 공원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행태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원 이용자의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터넷 발달, 자신의 개성과 스타일을 표현하는 문화 등 사회의 여러 가지 여건의 변화로 나타났다. 넷째, 올림픽공원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행태는 공연 관람 등 문화적인 활동과 역사수업 등 교육적인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공원 계획 설계 시 의도하였던 목적보다는 여러 가지 시대적 변화로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하고, 공원의 행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올림픽공원의 주요 행태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하여 이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으로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분석방법으로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은 과거의 데이터도 수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행태 분석 시 장기적인 관점에서 분석이 가능하고, 도출된 키워드로 새로운 행태 및 가치 측정이 가능하여 이후 행태분석 연구의 영역의 확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온라인 데이터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연구결과의 신뢰를 높일 수 있었다. 추후 수집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여 더 포괄적인 행태분석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대용량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베단따의 '듣기·숙고하기·명상하기'(문·사·수)에 관하여 (On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in Vedānta)

  • 박효엽
    • 철학연구
    • /
    • 제116권
    • /
    • pp.155-180
    • /
    • 2010
  • 베단따의 주요 실천 방법인 '듣기 숙고하기 명상하기'(이하 '3수단'으로 부름)는 연속적인 단계(step)로서가 아니라 동일한 목적의 방편적 연장(extension)으로서 파악되어야 한다. 즉 3수단은 듣기에서 직접적 지식을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에 방편적으로 숙고하기, 명상하기로 연장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듣기 중심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은 3수단이 암시하는 인도철학의 주요 특징들을 드러냄으로써 더욱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인도철학에서 해탈 중심적 전통에 속하는 베단따는 쉽게 말해 자기를 앎으로써 자기가 되려고 하는 '본래의 자기 되찾기' 프로젝트이다. 이 경우 본래의 자기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그것을 듣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에, 3수단을 듣기 중심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베단따의 근본 가르침과도 부합된다. 게다가 '본래의 자기 되찾기' 프로젝트는 3수단을 통해 실행되므로, 3수단은 베단따의 형이상학이라는 그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되는 일종의 이벤트(event)라고 부를 수 있다. 이 경우 듣기란 자신이 참가한 이벤트의 시나리오를 이해하는 과정으로서, 스스로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그 시나리오를 듣기만 해도 프로젝트의 완성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성언이라는 지식수단의 중요성으로 말미암아 듣기 중심적일 수밖에 없는 3수단에 대해, 후대에 점점 명상하기가 강조됨으로써 연장이 아닌 단계로 이해하고자 하는 해석이 등장한다. 이는 '증언되는 것 혹은 주어진 것'을 '특별하게 지각되는 것 혹은 받아들이는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욕망이 반영된 결과이다. 지식의 간접성과 직접성을 나눈 채 전자에서 후자로 단계적 이행을 강조하는 이 해석은, 프로젝트의 실질적 실패로서 이벤트의 반복적 지연을 합리화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3수단에 삼매를 더하여 4수단을 언급하는 후대 베단따의 주장은 텍스트 바깥에서 텍스트와 별도로 깨달음이 가능하다는 논리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텍스트의 절대성을 강조하면서 그 시나리오가 오직 그대로 재현되는 것을 깨달음으로 간주하는 초기 베단따의 주장과 양립하기 힘들다. 결국 3수단에 대한 베단따의 표준적 해석은 명상하기 중심적 혹은 삼매 중심적인 것이 아니라 듣기 중심적인 것이어야 한다.

한국 최근 정치캠페인에서 나타난 크리에이티브한 선거광고홍보전략 트렌드 분석 -2010. 6.2지방선거, 2011. 10.26 보궐선거 2012. 4.11 총선, 2012. 12.19 대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reative trend of election Ads and PR strategy which appears in recent political campaign - Focused on 2010. 6.2 local election, 2011. 10.26 by-election, 2012. 4.11 general election, 2012. 12.19 presidential election)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65-73
    • /
    • 2013
  • 정치캠페인에서 선거운동전략은 어느 정치후보가 더 참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선거광고홍보를 치려 당선의 승패가 달려 있다. 특히 정치광고홍보는 한 줄의 카피(슬로건)와 한 컷의 이미지를 통해 유권자 감성을 휘어잡는 수단이기에 그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다. 본 연구는 2010~2012년 기간 동안 치러졌던 4차례(2010. 6 2지방 선거, 2011. 10 26 보궐선거, 2012. 4 11 총선, 2012. 12 19 대선)각 선거단위에서에 이색적인 크리에에티브한 정치캠페인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거 기간 동안 선거캠페인에 사용했던 동영상, 인터넷, 책자형 선거공보물, 선거운동활동 등을 대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으로 탐색분석 하였다. 이색적인 크리에이티브한 정치캠페인은 유권자들의 성별, 연령층, 사회적 분위기 등 지지성향에 맞추려는 맞춤형 마이크로 타깃팅 선거 전략의 트렌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선거 전략이 얼마나 성공했는지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한방전문간호사 교육과정 개발 연구 (A Study for a Curriculum for the Oriental Clinical Nurse Specialist Program)

  • 이향련;김귀분;조결자;신혜숙;김광주;왕명자;김숙영;김정아;김현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67-147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oriental clinical nurse specialist progra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human beings so as to develop nursing as a profession and promote the client's health.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nominal group study. The research was managed by 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ollege at Kyung Hee University. The research team was composed of 17 professors of nursing departments of oriental medical colleges. We obtained opinions from Oriental Nurses Association, Oriental Nursing Research Association, and professors in oriental medical college. We reviewed articles, curriculums of other clinical nurse specialist programs, medical laws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plan for the oriental clinical nurse specialist program from Korean Nurses Association. We discussed a curriculum thoroughly in numerous meetings. We developed a following curriculum: 1. Educational philosophy was founded on the oriental human view which was based on Chun-In union theory. It was founded on the oriental health view which recognized health being in harmony with nature and the balance of body function with the harmony of Yin-Yang in the five ele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ed on oriental nursing view to promote these health states. 2. Educational goals were to train oriental clinical nurse specialists, oriental nursing educators and oriental nursing researchers who developed knowledge of oriental nursing theory, nursing practice and created a leadership. 3. Curriculum consisted of 48 credits, of which 36 credits are based on lectures and laboratory classes and 12 credits are based on clinical practice. 36 credits consisted of 5 general subject credits and 31 core subject credits. General subjects consisted of nursing theory, nursing research, law and ethics. Students who had earned master's degrees are not required to take the general subjects. Core subjects consisted of 11 subjects such as advanced physical examination and laboratory, oriental nursing theory, original text of oriental nursing, oriental medical nursing, oriental pediatric nursing, oriental gynecologic nursing, oriental gerontologic nursing, oriental pharmacology, oriental constitutional nursing, advanced nursing of channels and acupuncture points and laboratory and oriental rehabilitation nursing and laboratory. In addition, clinical practice in a hospital ward, out patient department, herb prepation room,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nd health promotion center in oriental medical hospitals for 12 weeks. To admit this program, students should complete prerequisites of introduction to oriental nursing and nursing of channels and acupuncture points. 4. Course contents of each subjects were developed to include the course's goal and objectives and specific items. 5. Evaluation involved lecture, laboratory and in field practice. We applied various evaluation systems and methods that were based on both knowledge and skills of the students to ensure full credibility and validity.

  • PDF

수학자 이상설이 소개한 근대자연과학: <식물학(植物學)> (Botany: A Modern Natural Science Book written by Mathematician Sang-Seol Lee)

  • 박영민;김채식;이상구;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41-360
    • /
    • 2011
  • 본 원고는 2004년 과학사학자 박성래 교수가 독립 운동가이자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로 부르기 시작한 보재 이상설(李相卨, 1870-1917)이 자연과학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국수학사학회지 2009년 11월 호에 자세히 소개된 <수리(數理)>를 쓴 시기를 전후하여, 같은 시기에 이상설이 붓으로 쓴 것으로 여겨지는 <식물학(植物學)>(이상설, 1899)은 총 4면의 초록 필사본이며, 그 대본(臺本)은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 (Edkins, 1886)으로 영국의 Joseph Edkins(艾約瑟, 1823-1905)가 번역하여 1886년에 간행한 <서학계몽(西學啓蒙)> 16종 가운데 하나이다. 이상설의 <식물학(植物學)>은 이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을 읽으면서 그 책의 내용 중 당시의 조선 학자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내용을 중심으로 메모를 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산학과 근대서양수학을 연결하는 <수리(數理)>를 저술했으며, 우리나라의 정규 교과과정에 수학과 과학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수학교과서 <산술신서(算術新書)>를 발간함으로 당대 최고의 수학자로 평가된 이상설이 쓴 <식물학(植物學)>을 발굴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최초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의 서양 과학, 특히 식물학에 대한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식물학(植物學)>의 원전인 <식물학계몽(植物學啓蒙)>과 <서학계몽(西學啓蒙)>의 저자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는 당시 수학교육자가 자연과학분야에 행한 교육적 기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연구이다.

이황의 '연비어약' 이해와 시적 구현 (The way of Leehwang's understanding )

  • 신연우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1집
    • /
    • pp.185-206
    • /
    • 2004
  • $\lceil$도산십이곡$\rfloor$$\lceil$언지$\rfloor$ 제6종장에는 '어약연비'가 나온다. 이 시어는 흔히 이황의 성리이것은 이황의 문학을 이해하는 주요 어휘로 생각된다. 이 어휘는 이황의 사상과 문학이 만나는 접점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먼저 시경과 중용의 원문을 보고 정호와 주희의 주석을 살핀다. 원문과 해석 사이의 틀을 주목한다. 이를 이황이 수용한 양상과 시작품의 내용을 살핀다. 사상과 문학이 만나는 지점을 고찰한다. 이어서 이언적과 이이가 그 어휘를 사용한 방법과 비교해 이황 문학사상의 특징을 드러낸다. 연비어약은 언어를 넘어서는 유학의 절대적 경지를 대표하는 어구이다. 이는 $\lceil$시경$\rfloor$ 본래의 뜻에서는 벗어났지만 $\lceil$중용$\rfloor$ 이후로 궁극적 실체로서의 도체를 형용하는 관습구가 되었다.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경지를 언어로 나타낼 수 없는 것은 불교나 도교에서 뿐 아니라 유학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어로 나타낼 수밖에 없음도 마찬가지이다. 연비어약은 바로 그러한 점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비어약 자체가 언어로 나타낼 수 없는 본체를 언어로 표현한 것이라서, 이론적 설명과 시적 형상화 양쪽으로 나타나게 마련이었다. 그러나 이론적 설명으로는 어떻게 해도 그 궁극처를 형용할 수 없으므로 시적 형상화는 필연적인 것이다. 연비어약 자체를 시로 수용하려는 노력이 이언적이나 이황 같은 주리적 성향의 성리학자에게 나타난 것은 자연스럽다. 그러나 이황은 언어를 넘어서는 경지라 해도 도덕적 경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해석을 보여준 것으로 특이하다. 연비어약을 자연의 생기의 활발함에서 그치지 않고, 자연이 위와 아래의 질서를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연이 그러하듯이 인간에도 상하의 질서가 엄존함을 보고 있는 것이다. 불교에서라면 솔개가 물 아래 놀고 물고기가 하늘을 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황의 지적은, 불교에 대한 정확한 이해이면서 그것으로는 인간 사회의 질서를 마련할 수 없다는 데서 오는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이황의 생각에 유학은 불교의 그 경지를 포함하면서 사회 구성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더 낫다는 것이다. 이황이 연비어약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여러 편의 시로 나타낸 이유가 여기 있다. 사 계절의 질서와 연비어약의 약동이 둘이 아니라 하나임을 아는 것이 $\lceil$도산십이곡$\rfloor$ 시가 드러내고자 하는 이치이다. $\lceil$도산십이곡$\rfloor$은, 살아서 만물을 낳으면서 동시에 질서와 조화를 구현하는 세계의 근원적 모습을 사람들이 알기를 바라는 마음을 드러낸 시이다. 그 점을 자연과 고인의 길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알아야 한다고 설득하면서 자연과 도덕을 융화하고 있는 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