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ophosphorus pesticide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Adsorption and Leaching of EPN in the Soil

  • Kim, Jung-Ho;Kam, Sang-Kyu;Park, Moon-Ki;Moon, Yung-Soo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9년도 임시총회 및 가을 학술발표회 초록집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pp.221-223
    • /
    • 1999
  • The adsorption and leaching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EPN are investigated in Namwon soil(black volcanic soil), Aewol soil(very dark brown volcanic soil) and Mureung soil(dark brown nonvolcanic soil) sampled in Cheju Island. The organic matter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is 19.8%, 6.2%, 2.4%, respectively.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is 24.8 meq/100g, 13.0 meq/100g, 9.5 meq/100g, respectively. The Freundlich constant, K value, is 89.4, 26.9 and 9.25 for Namwon soil, Aewol soil and Mureung soil, respectively. The K value of Namwon soil with very high organic matter content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the highest for Aewol soil and Mureung soil. The Freundlich constant, 1/n, show a high correlation with organic matter content, i.e., it is less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rich soil of Namwon soil and greater than unity for organic matter poor soil of Mureung soil. The leaching of EPN is slower for Namwon soil with high K values, and faster for Mureung soil with low K value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pollution for EPN have little leached into soil environment.

  • PDF

급성 유기인계 농약 중독 (Acute Organophosphorus Pesticide Poisoning)

  • 이미진;박준석;홍태용;박성수;유연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90
    • /
    • 2008
  • Organophosphate (OP) pesticides are the most common source of human toxicity globally, causing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despite the availability of atropine as a specific antidote and oximes to reactivate acetylcholinesterase. The primary toxicity mechanism is inhibition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the neurotransmitter, acetylcholine, and abnormal stimulation of acetylcholine receptors. Thus, the symptoms (muscarinic, nicotinic, and central nervous system) result from cholinergic overactivity because of AchE inhibition. OP can also cause rhabdomyolysis, pancreatitis, parotitis, and hepatitis. OP therapy includes decontamination, supportive therapy, and the use of specific antidotes such as atropine and oximes.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controlled trials in humans. Here we evaluated the literature for advances in therapeutic strategies for acute OP poisoning over the last 10 years.

  • PDF

Exposure of chlorpyrifos impairs the normal function of boar spermatozoa

  • Adikari Arachchige Dilki Indrachapa Adikari;Young-Joo Yi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307-316
    • /
    • 2022
  • The misuse of pesticides has resulted in environmental pollution,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all life on earth. Chlorpyrifos is a chlorinated organophosphorus pesticide that is commonly used in agri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pyrifos on the fertilization function of boar spermatozoa. Sperm samples from boars were subjected to varying concentrations of chlorpyrifos from 10 to 200 µM for two incubation periods, 30 min or 2 hrs. The boar spermatozoa were then evaluated for motility, motion kinematics, viability, acrosome integrity, chromatin stability, an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 was a significant percentage reduction in sperm motility and motion kinematic parameters after both incubation periods (p < 0.05). The proportion of viable spermatozoa decreased after incubation for 30 min and 2 hrs in a dose-dependent manner (p < 0.05). A significantly lower percentage of normal acrosomes was observed in spermatozoa exposed to 200 µM chlorpyrifos over both incubation periods,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damage to sperm DNA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exposure time to chlorpyrifos was long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S levels in spermatozoa incubated with chlorpyrifos for 2 hrs (p < 0.05).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direct exposure of boar spermatozoa to chlorpyrifos altered boar sperm characteristics, suggesting potential toxicity that may affect the male reproductive function.

안동지역 하천의 환경오염물질과 곤충면역 생체지표 분석 (Environmental Pollutants in Streams of Andong District and Insect Immune Biomarker)

  • 유건상;고성운;조성환;이화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08
    • /
    • 2005
  • 경북 안동지역의 10개 하천 및 하천 주변으로부터 2004년 5월에 물, 토양,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지역의 환경오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공정시험법이나 U.S. EPA 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중금속, 유기인 및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그리고 dioxin-like PCBs 등의 오염물질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이용한 면역교란의 생체지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총질소가 9.12 mg/L 수준의 와야천을 제외하고는, 각 하천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환경부에서 정한 허용기준치보다는 비교적 낮았다. 각 하천 시료 중의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허용 기준보다도 매우 낮았지만, 하천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미천, 길안천, 현하천의 납과 카드뮴 함유량은 다른 하천의 시료들에 비해서 몇 배 이상 높게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은 미천 주변의 토양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 파라치온, 그리고 펜토에이트가 0.19, 0.40, $1.13\;{\mu}g/g$ 농도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16종의 유기염소계 농약과 12종의 dioxin-like PCB congeners는 검출한계 미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와야천의 시료에 대한 곤충면역 교란효과를 고려해 볼 때, 이 하천의 수질과 주변의 토양이 조사한 오염원 이외의 화합물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화학적 및 생물학적 검정 기술의 제약점과 상호 보완성이 기술되었다.

기체플라즈마에 의한 농약분해특성 연구 (Degradation of the Selected Pesticides by Gas Discharge Plasma)

  • ;홍수명;목철균;임건재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0
    • /
    • 2012
  • 식량증산을 위해 농약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문제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잔류농약 저감화 방법은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에 기체 플라즈마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는 고효율성과 환경친화성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플라즈마는 수질 및 고체 표면 중 유기인계살충제, 페놀, 벤조산, 염료, 니트로벤젠과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농식품 중에 잔류되는 농약의 제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대기압 및 감압플라즈마 플라즈마 발생 상태에서 60종의 농약을 대상으로 분해양상을 파악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시험용 농약을 유리판에 도포 후 대기압 및 감압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5분간 조사 후 잔류량을 확인 한 결과 대조구의 회수 분석결과가 70% 미만인 18종을 제외한 41종의 농약 분해율이 66.88-100%를 나타내었고, clothianidin은 감압플라즈마하에서 26.9%이 분해율을 보였다.

한방차 원료의 잔류농약 조사연구 (Survey of Multi Residual Pesticides in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Herbal Tea)

  • 김난영;김영숙;김명길;정홍래;김윤성;김한택;이선우;채경석;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8-34
    • /
    • 2012
  • 본 연구는 식품위생법과 약사법으로 관리 되고 있는 한방차 원료의 잔류농약 오염실태를 비교 조사하고자, 다성분 둥시분석법으로 총149건을 검사하였다. GC-ECD 와 GC-NPD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을 검사한 결과 22건에서 24종의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농산물에서 검출률은 20.3%, 한약재에서 검출률은 8.6%로 의약품 관리대상인 한약재보다 식품공전 규제대상인 농산물에서 검출률이 높았다. 주요 검출 품목은 구기자와 대추로, chlorpyrifos, chlorothalonil, hexaconazole 등 다양한 성분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그밖의 천궁, 길경, 산수유, 감국, 황기 등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 농약의 대부분은 유기인계(29.2%)였으며, 피레스로이드계(16.7%), 유기염소계(12.5%) 순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농약의 농도는 모두 기준 이하였으며, 식품공전 및 생약 등의 잔류오염물질 기준 적용이 가능하였다. 반면, 산수유, 천궁에서 다수의 농약이 다량 검출되었으나 천궁의 chlorfenapyr만이 0.05 mg/kg 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나머지 성분은 가공계수적용 등의 문제로 기준 적용이 어려웠다.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고감수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이즈의 대량생산 (Mass-Production of Acetylcholinesterase Sensitive to Organophosphosphates and Carbamates Insecticides)

  • 김영미;김소미;조문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53-360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AChE, EC 3.1.1.7)를 이용한 간이 잔류농약 검사법에 필요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된 AChE(MAChE)를 baculovirus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효소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한라산에서 채취한 초파리에서 AChE의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이용하여 AChE의 lipid anchor부분을 제거하고 site directed mutagenesis에 의해 E107Y, F368L, L408E의 염기서열을 변화시켜 재조합된 MAChE cDNA를 합성하였고 baculovirus vector에 삽입하여 대량생산을 시도하였다. 대량 증식에 필요한 조건으로 감염횟수가 네 번일 때, 그리고 세포수가 $2{\times}10^6$ cell/ml일 때 세포의 증식과 효소의 활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His tag을 붙여 Ni-NTA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MAChE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실험조건하에서는 pH(3-10)와 온도$(20-50^{\circ}C)$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농약 추출액으로 methanol을 사용했을 때가 ethanol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조합된 MAChE는 대만의 집파리 및 변형되지 않은 AChE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on Trap Mass Spectrometer와 Quadrupole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유기인제 및 유기염소제 농약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idue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with Ion Trap and Quadrupole Mass Spectrometer)

  • 이재성;박현미;어연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902-909
    • /
    • 1995
  • Ion trap 질량분석기와 Quadrupole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밀가루 중 유기인제(dimethoate, diazi-non, parathion-methyl, fenithion, malathion) 및 인삼 중 BHC 이성질체들의 정성 정량 분석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검출한계를 구하고,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이온화 방법으로 EI와 CI를 사용하여 mass fragmentation pattern을 비교하여 정성분석에 적용하였으며, scan과 selected ion monitoring(SIM) mode로 미량분석법으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검출한계는 ion trap에서 scan시 0.008-0.225ng이었으며, quadru-pole에서는 scan시 0.23-3.1ng, SIM 측정시 0.032-0.68ng으로ion trap이 quadrupole의 scan시 보다 2-300배, SIM보다 4-30배까지 검출한계가 낮았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ion trap과 quadrupole모두 0.9이상이었다. 밀가루 추출물은 Bio-Bead S-X3를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인삼은 Florisil column으로 정제하였다. 5종의 유기인제의 회수율은 80% 이상이었으며, BHCs의 회수율은 60-90%이었다.

  • PDF

Balb/c 마우스에서 유기인계 농약인 Pirimiphos-methyl 및 Methidathion의 면역독성 (Immunotoxicity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Pi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in Balb/c Mice)

  • 엄준호;정승태;박재현;길정현;이종권;오혜영;김형수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29-337
    • /
    • 2004
  • P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as organophosphorus (OP) pesticides were tested for their immunotoxic effects on Balb/c mice. Three dose levels of primiphos-methyl (10, 60, or 120 mg/kg/day) and methidathion (0.5, 2.5 or 5.0 mg/kg/day) were administered orally in the mice for 4 weeks. After, changes in body weight gain, relative weight of spleen and thymus, viable splenic cell numbers, surface marker on immune cell, and proliferation activity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neither Pirimiphos-methyl nor methidathion dosages changed significantly body weight, relative thymus and spleen weight, and thymus and spleen cellularities of the mice, but high dose treatment (120 mg/kg) of pirimiphos-methyl significantly decreased relative spleen weight and spleen cellularity of the mice. No alterations were observed in changes of LPS-proliferation response of splenocytes by exposure to any dose of pirimiphos-methyl and methidathion. However, pirimiphos-methyl dosages reduced ConA-proliferation response of splenocytes and both methidathion and pirimiphos-methyl decreased the ability of antibody production to SRBC. The results indicate that 28 days exposure to the high dose of pirimiphos-methyl suppress the function of splenic T and B cell function, and methidathion reduce the immune responsibility of B cell in mice without the changes in lymphoid organ weight or viability of splenocytes. Pirimiphos-methyl is more immunotoxic than methidathion although this has higher general toxicity than that.

잉어에 의한 Diazinon 및 Fenitrothion의 생물농축(生物濃縮) (Bioconcentration of Diazinon and Fenitrothion in Carp (Cyprinus carpio))

  • 이서래;유병선;전혜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0-35
    • /
    • 1984
  • 잉어에 의한 두 가지 유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의 생물농축(生物濃縮)을 추구(追求)하기 위하여 실험실 조건하에서 수행한 실험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Diazinon과 fenitrothion의 1 ppm농도에서 잉어에 의한 생물농축계수(生物濃縮係數)는 24시간후에 각각 31과 57이었다. 이 계수(係數)는 잉어의 부위(部位)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 바 내장(內臟)>기타 부위>아가미>근육(筋肉)의 순서로 나타났다. 2) 잉어를 fenitrothion의 세가지 농도에 28일간 노출시킨 결과 생물농축계수(生物濃縮係數)는 $96{\sim}138$로 나타났는 바 수중(水中)농도가 높을수록 적게 나타났다. Fenitrothion의 생체내(生體內) 농축(濃縮)은 계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조직내(組織內) 농도가 약 3.5ppm에서 평형(平衡)에 도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