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Brachydanio rerio와 Xiphophorus hellieri를 이용한 Dichlorvos, Methidathion 및 Phosalone의 단기간 생물농축계수의 측정 (Detemination of Short-term Bioconcentration Factor on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in Brachydanio rerio and Xiphophorus hellieri)

  • 민경진;전봉식;차춘근;김근배;조영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9-106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ncentration of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in zebrafish (brachydanio rerio), red sword tail(Xiphophorus hellieri). The fishes were exposed to 0.05 ppm, 0.01 ppm, 0.50 ppm, one-hundre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one-thousan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and test periods were 3, 5 and 8 days. The deputation rate of each pesticide from the whole body of fish was determined over the 24-hr period after treatment. Obtained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dichlorvo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_{s}$ of dichlorvo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concentration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and BCF$_{s}$ of dichlorvos were decreased as proloning test periods, especially dropped after 5days. Dichlorvos concentration in red sword tail extract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lyat BCF$_{s}$ in concentration of 0.05 ppm, 0.01 ppm and one-hundredth of 96-hrs LC$_{50}$ were decreased. Methidathion and phosalone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in zebrafish extract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test concentr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BCF$_{s}$. In the case of same experimental concentrations,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BCF$_{s}$ and concentration in zebrafish extract. In the case of red sword tail, it was impossible to calculate on BCF$_{s}$ data because test concentration was under the detecting limit on GC or test fish were die. Determined deputation rate conatant were highest on dichlorvos, and followed by methidathion, and phosalone. The results of determining depuration rate of these pesticides showed that the high BCF in fish might be due to the slow depuration rate in fish, it is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vapor pressure, water solubility and partition coefficient. It is suggested that one-hundredth concentration of 96-hrs LC$_{50}$ will be proper test concentration because one-thousundth of LC$_{50}$ was under the detecting limit on GC. Dichlorvos, methidathion and phosalone,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were examined to their BCF$_{s}$ and depuration rates by means of fish test.

  • PDF

HS-SPME-GC/MS에 의한 혈액중 17종 유기인계 농약의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Analysis of 17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Blood by Automated Head Space-SPME GC/MS)

  • 이종숙;정진미;이한선;염혜선;이상기;박유신;정희선
    • 약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29-440
    • /
    • 2010
  • HS-SPME-GC/MS was studied and optimized for the determination of 17 orgarnophosphorous pesiticides (OPPs: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demeton-s-methyl, diazinon, dimethoate, EPN, fenitrothion, fenthion, malathion, methidathion, monocrotophos, parathion, phenthoate, phosphamidon, sulfotep, terbufos, triazophos) in blood. Optimum SPME parameters were selected: choice of SPME fiber (85 ${\mu}m$ polyacrylate), pH effect (0.5 N HCl), salt effect ($Na_2SO_4$, 0.2 g; 20%), headspace incubation temperature ($80^{\circ}C$), headspace incubation time (1 min), headspace adsorption time (30 min) and GC desorption time (2 min). These parameters were optimized using HS-SPME autosampler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 validation was carried out in terms of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LOQ) and recovery in blood. The assay was linear over 0.5~5.0 mg/l ($r^2$=0.955~1.000).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in blood were determined 0.03~0.3 mg/l (S/N=3) and 0.1~1.1 mg/l (S/N=10), respectively. Relative recovery with 0.5, 1 and 5 mg/l (in blood) were 90.8%, 98.5% and 94.1%, respectively. This method will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orgarnophosphorous pesticides in postmortem blood. The proposed protocol can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be used in routine toxicological analysis.

일부 유기인계 농약의 광분해성 (Photodegradation of some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 민경진;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5
    • /
    • 1999
  • Dichlorvos 및 methidathion에 대한 광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속도상수와 분해생성물을 측정하였다. 햇빛을 이용한 광분해 실험은 1998년 9월 2일부터 9월 18일 까지 수행하였으며 두가지 농약이 상당기간 동안 안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햇빛 아래서는 humic acid의 광관여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자외선을 이용한 광분해 실험에서 dichlorvos의 광분해속도상수와 반감기는 각각 0.0208 및 33.3분으로 조사되었고, methidathion의 경우는 각각 0.6189 및 1.0분으로 조사되어 methidathion의 광분해는 4분 이내에 99% 이상의 매우 빠른 분해양상을 보였다. 두가지 농약 모두 3시간 이내에 분해되었고, 따라서 먹는물 정수처리시 농약의 분해가 필요할 때는 자외선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dichlorvos 및 methidathion은 자외선을 단독조사 하였을 때 보다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 분해는 다소 빠르게 진행되었다. 광분해에 의한 분해생성물을 확인하고자 GC/MS분석을 한 결과 dichlorvos에서는 분해생성물로 m/z=153의 Ο, Ο-dimethyl phosphate(DMP)를 확인하였다. Methidathion의 경우 분해생성물로 m/z=198 과 m/z=214로 각각 Ο, Ο-dimethyl phosphorothioate(DMTP)와 Ο, Ο-dimethyl phosphorodithioate(DMDTP)를 확인하였다.

  • PDF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작물 중 유기인제 잔류 농약의 동시 분석에 관한 연구 (제 1 보). 용매추출 및 방해성분의 분리 제거 (Studies on Simultaneous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Crop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I) Extraction and Cleanup)

  • 김택제;어연우;김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65-474
    • /
    • 1986
  • 농작물에 잔류되어 있는 11종의 유기인제 농약들을 추출하여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동시에 분석함에 있어서 농작물별로 방해하는 다른 성분들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액체-액체 분배와 컬럼크로마토그래피의 최적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Acetone을 사용하여 농작물로부터 녹여낸 추출물에 포화 NaCl용액을 가하고 petroleum ether로 두 번 분배하여 농약들을 회수하였다. Activated carbon, magnesia 및 diatomaceous earth의 혼합 흡착제(1:2:4)를 충진시킨 컬럼에 petroleum ether에 분배된 추출물들을 넣고 methyl chloride로 용리시켰더니 가해준 농약의 82∼105%가 회수되었고 농작물에서 녹아나온 방해 성분들이 거의 제거되었다.

  • PDF

신구저수지의 유기인계 농약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in Shingu Reservoir, Korea)

  • 홍성진;최진영;양동범;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318-326
    • /
    • 2007
  • 농업용 관개용수로 이용되는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얕은 부영양 저수지인 신구 저수지에서 잔류 유기인계 농약의 분포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29종의 유기인계 농약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저수지 내 잔류 농약은 8월에 IBP(1340.7${\sim}$16030.1 ng $L^{-1}$), DDVP (58.7${\sim}$127.6 ng $L^{-1}$), dyfonate (N.D.${\sim}$20.3 ng $L^{-1}$) 그리고 parathion-methyl (N.D.${\sim}$41.9 ng $L^{-1}$)이 주로 검출되었고, 9월에는 IBP (202.5${\sim}$213.2 ng $L^{-1}$), DDVP (100.7${\sim}$340.5 ng $L^{-1}$), dyfonate (N.D.${\sim}$25.0 ng $L^{-1}$)뿐만 아니라 mevinfos, ethoprofos, phorate, chlorfenvinfos 그리고 methidathion이 검출되었다. 저수지 내 유기인계 농약의 수직 분포는 중층에서 최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표층의 활발한 광분해와 성층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입자에 흡착하여 존재하는 농약으로는 IBP와 DDVP가 있었으며 저수지 내 수직 분포는 표층보다 저층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 이유는 유입된 농약이 입자에 흡착하여 침강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8월과 9월의 잔류 유기인계 농약의 종류와 농도의 차이는 월별 사용량의 차이로 사료되며 검출된 농도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보았을 때 수중 생물에 급성독성을 주는 수준은 아니었지만 일본의 수질환경기준 감시 필요항목을 일부 초과하는 값을 보여 수중 생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몬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유기인계 농약에는 소량이지만 EPA에서 지정한 I급의 강한 독성을 가진 살충제 (dyfonate, parathionmethyl, mevinfos, phorate, chlorfenvinfos, methidathion))가 검출되었고, 유기인계 농약의 특징인 불안정성에 의해 광분해 및 미생물 분해를 통해 이미 분해가 진행 중이어서 본래의 유기인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유기인계 농약이 완전히 분해되어 생성된 유기인계 농약 기원의 영양염류가 저수지 내로 많은 양이 유입된다면, 부영양화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에서 유기인계 농약의 농도 분포는 물론이고 중간 생성물과 그 독성, 광분해 및 미생물 분해의 메커니즘, 그리고 최종 산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페놀오염사건 이후의 낙동강수 오염평가 (Assessment of the Naktong River Pollution after Phenol Spillage from the Kumi Industrial Estates II, Korea)

  • 김두희;장봉기;홍성철;문효정;이덕희;오혜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268-281
    • /
    • 1993
  • The aquatic quality of the Naktong river after two or three months in June, 1991 with phenol spillage from a electrical factory in Kumi was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six sites of the Naktong river basin and Kachang and Kongsan lakes. Phenol was not detected from all water samples. Turbidity was very much increased to the down stream in the Naktong river. The BOD and COD values exceeded the 2nd grade(3mg/l) of the Korean standard quality of Environmenal Water Act at the all sampling sites of the Naktong river. Especially, the value of COD at Kaejin (12.5mg/l) was poorly classified as to the 5th grade of water class for the environmental quality standards.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such as parathion, malathion, fenitrothion and diazinon were investigated but not detected. Diazinon was only detected at the Ilsan bridge(1.42ppb), Okkye stream(6.95ppb), Waekwan bridge(0.32ppb), Gangjung reservior(0.13ppb), Kaejin (0.05ppb). Of the carbamates such as carbanyl, isoprocarb and cabofuran, the carbofuran was detected all sites except tap water, and Kachang and Kongsan lakes. The content of heavy metals such as Cd, Pb, Zn, Fe, Mn, Hg were not exceeding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at the all sampling region, but only mecury was detected from Okkye stream(0.018ppb) and Kaejin (0.09ppb). In the regions of Kachang and Kongsan lakes, the content of heavy meatals were lower than that of reservior of Naktong river.

  • PDF

농업종사자(農業從事者)의 혈장(血漿) Cholinesterase 치(値)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Plasma Cholinesterase Activity Level of Agricultural Workers in Korea)

  • 서석권;황인담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19-27
    • /
    • 1983
  • 살충제(殺蟲劑)의 주종(主宗)을 이루는 유기인제(有機憐劑)에 의한 만성중독(慢性中毒)의 예방(豫防)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 또한 농업종사자(農業從事者)의 혈장(血漿) cholinesterase의 정상치(正常植)를 추정(推定)하고저 전라북도(全羅北道) 정읍군(井邑郡)의 일부(一部) 농업종사자(農業從事者)에 대(對)한 혈장(血漿) cholinesterase 치(植)를 Takahashi의 Micro- method로 측정분석(測定分析)한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농약살포전군(農藥澈布前群)의 혈장(血漿) cholinesterase 치(植)는 $7.60{\pm}1.74{\mu}M/20{\mu}{\ell}$/hr.였고, 살포후군(撒布後群)에서는 $6.23{\pm}1.59{\mu}/20{\mu}{\ell}$/hr.로서 살포전군(澈布前群)보다 $1.37{\mu}M/20{\mu}{\ell}$/hr.가 낮게 나타났다 (P < 0.01). 2) 농업종사자(農業從事者)의 정상(正常) 혈장(血漿) cholinesterase 치(植)의 95% 신뢰구간(信賴區間)은 $7.30-7.90{\mu}M/20{\mu}{\ell}$/hr.이었다.

  • PDF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화학적 처리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Chemical Treatment)

  • 신갑식;전영환;김효영;황정인;이상만;신재호;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6-401
    • /
    • 2010
  • 살균제 tolclofos-methyl은 인삼 및 인삼 경작지 토양에서 빈번히 검출되고 있어 그 안전성이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tolclofos-methyl을 토양 slurry조건에서 여러 종류의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분해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ZVI를 처리한 경우 uZVI가 aZVI보다 tolclofos-methyl의 분해를 촉진 하였으며 uZVI와 ZVZn의 경우에는 ZVZn가 더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ZVI와 ZVZn 처리구에서는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입경이 작을수록 더 잘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 4.0 이하의 산성 조건하에서 처리된 ZVI는 tolclofos-methyl의 분해를 더욱 촉진시켜 수용액에서 24시간 만에 94.4%까지 분해시켰다. Fenton 반응을 이용한 tolclofos-methyl의 분해는 iron source로 $Fe_2(SO_4)_3$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H_2O_2$ 500 mM 처리구에서 93.5%까지 분해되었다. Sodium bisulfite를 이용한 토양 slurry 중의 tolclofos-methyl의 분해는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분해가 촉진되었으며 50 mM 처리구에서 52.9%가 분해되었다.

토양에 잔류된 살충제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이행 및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Organophosphorous Insecticide Chlorpyrifos Absorbed from Soil into Cucumber)

  • 황정인;전상오;이상협;이성은;허장현;김권래;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8-155
    • /
    • 2014
  • 토양 중 잔류하는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 이행과 잔류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생장상 내 실내시험과 시설재배 포장에서의 실외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및 실외시험 기간에 토양 중 chlorpyrifos의 분해 반감기는 각각 25.8~73.0일과 32.4~42.3일로 비슷하였다. 실내시험 오이 중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정식 후 15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오이 뿌리로부터 흡수된 농약의 양은 초기 처리된 절대량의 1.0~1.3% 수준이었다. 흡수된 농약의 대부분은 뿌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줄기와 잎 순이었다. 반면에 실외시험 중 수확된 오이열매에서 chlorpyrifos의 잔류량은 LOQ (0.02 mg/kg)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오이 부위별 시료 분석결과, 실내시험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대부분의 잔류량이 검출되었다. 실외시험에서 오이 한 개체에 흡수된 chlorpyrifos는 초기 토양에 살포된 양의 0.03~0.04%로 실내시험에서의 흡수율에 비해 30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실제 토양환경 중 chlorpyrifos의 잔류수준은 본 시험에서 시험된 고농도(40 mg/kg) 처리구보다 낮은 수준이므로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