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ochlorine insecticid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4초

제초제 Alachlor과 살충제 Endosulfan이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배아의 생존 및 기형유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on the Survival and Malformation of Bombina orientalis Embryos)

  • 강한승;계명찬;이재성;윤용달;김문규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00-307
    • /
    • 2004
  • The chloroacetanilide herbicide alachlor (2-chloro-2', 6'-diethyl-N-(methoxymethyl)-acetanilide)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6, 7, 8, 9, 10, 10-hexachloro-l, 5, 5a, 6, 9, 9a-hexahydro-6, 9-methano-2, 3, 4-benzodioxathiepin-3-oxide)are the highly toxic agricultural chemicals. Bombina orientalis is one of the most common amphibians in the world and comprises a large proportion of their total number. B. orientalis spawns in the farming regions at Spring when the massive appl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occurs. These chemicals in farmland may threaten the reproduction of this frog. Therefore, we examined the embryotoxic and survival effects of alachlor and endosulfan at various concentrations in B. orientalis embryos. The survival rates of embryos at 312h post fertilization treated with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creased with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lso, developmental malformations appeared by alachlor and endosulfan in B. orientalis embryos. The malformations showed in order of frequency with bent trunk, tail dysplasia, bent tail, thick-set body and ventral blister in alachlor treated embryos. The exposure of endosulfan produced 7 types of severe external malformations with tail dysplasia, pectoral blister, bent trunk, bent tail, cephalic dysplasia, ventral blister, and thick-set body. Following exposure to alachlor and endosulfan the types of malformations were diverse, suggesting these chemicals target multiple events in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in this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achlor and endosulfan were detrimental for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 orientalis embryos.

서호(西湖)의 수질 , 저니토(底泥土) , 붕어중(中) Polychlorinated Biphenyls 및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Organochlorine Insecticide Residues in Waters, Sediments and Crucian Carps in Soho Lake)

  • 박창규;황을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5-115
    • /
    • 1982
  • 서호 환경시료 수질(西湖 環境試料 水質) 22점(點), 저니토(底泥土) 20점(點), 붕어 19점(點)을 $1981.9.{\sim}1982.4.$ 간 채취(間 採取)하여 PCBs 및 유기염소계 살충제(有機鹽素系 殺蟲劑)를 G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환경시료(環境試料)의 잔류분석(殘留分析)에 간섭(干涉)하는 원소황(元素黃)은 copper powder를 첨가(添加)하여 제거하였다. 2) 서호 환경시료중(西湖 環境試料中)에 존재(存在)하는 PCBs잔류분(殘留分)은 Aroclor 1254인 것으로 판단(判斷)되었으며, $SbCl_5$로써 PCBs를 DCB로 전환(轉換)시켜 최소서출량(最少徐出量) 0.04 ng 수준(水準)에서 PCBs잔류분(殘留分)을 분석(分析)하였다. 3) PCBs는 전 시료(全 試料)에서 검출(檢出)되었으며 그 잔류수준(殘留水準)의 범위(範圍)는 수질(水質)에서는 $0.015{\sim}0.15ppb$, 저니토(底泥土)에서는 $0.037{\sim}0.088$ ppm, 10㎝내외의 붕어에서 0.091 ppm이 있다. 4) 중앙(中央) 및 유출구(流出口)의 저니토(底泥土)를 제외한 전 시료(全 試料)에서 PCBs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이 전(全) p,p'-DDT의 수준(水準)보다 높았다. 5) 수질중(水質中) PCBs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유출구별(流入口別) 차이가 있었는데 우측 유입구(右側 流入口)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이 좌측 유입구(左側 流入口)의 수준(水準)보다 3배나 높았다. 그러나 서호 환경시료(西湖 環境試料)에서 관찰(觀察)된 PCBs 오염원(汚染源)은 확실(確實)치 않았다. 6) 국내 환경시료(國內 環境試料)에서 PCBs의 오염(汚染)을 처음 양성적(陽性的)으로 확인(確認)하였다.

  • PDF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이 토양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an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on Soil Bacteria Community as Evaluated by 16S rRNA Gene Analysis)

  • 안재형;박인철;김완규;한병학;유재홍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7
  •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은 2012년 국제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인도와 중국을 비롯한 국가들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높은 잔류성과 이동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에서 검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엔도설판이 토양세균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16S rRNA 유전자 파이로시퀀싱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엔도설판을 100 mg/kg의 수준으로 밭토양에 처리했을 때 세균의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수와 다양성 지수가 감소했다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Proteobacteria와 Verrucomicrobia 문의 점유율은 증가하고 Chloroflexi와 Spirochaetes 문의 점유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엔도설판 처리가 토양세균 군집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엔도설판 처리 시 Sphingomonas와 Burkholderia 속에 속하는 OTU의 점유율이 배양 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Pseudonocardia와 Opitutus 속에 속하는 OTU의 점유율은 배양 후기에 높게 나타났다. 이전 연구에서 Sphingomonas, Burkholderia, Pseudonocardia 속에 속하는 균주들이 엔도설판을 분해하였으므로 이 속에 속하는 OTU들이 토양에서 엔도설판의 분해에 단계적으로 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Zerovalent Iron에 의한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의 탈염소화 (Dechlorination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 Endosulfan by Zerovalent Iron)

  • 신현수;김택겸;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2-208
    • /
    • 2009
  •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과 이의 토양 중 주 분해산물인 endosulfan sulfate의 ZVI에 의한 분해정도와 분해산물을 조사하였다. ZVI처리에 의해서 수용액내에서 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는 pH가 낮을수록 분해율이 높았으며 pH 3.0에서 ${\alpha}$-endosulfan은 28%, endosulfan sulfate는 90%정도 분해되었고 acetone/water(50/50, v/v) 용액에서는 ${\alpha}$-endosulfan은 65%, endosulfan sulfate는 92%정도 분해되었다. ZVI에 의해 ${\alpha}$-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는 분해되어 2개의 미확인 물질을 생성하였다.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속도와 반감기를 비교해 보면 endosulfan sulfate가 ${\alpha}$-endosulfan에 비해 빠르게 분해되는 양상을 보였다. ZVI의 처리에 인해 ${\alpha}$-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에서 생성된 2개의 미확인 물질은 GC-MS로 분석한 결과, 하나의 $Cl^-$$H^+$로 치환된 구조이성질체로 나타났다.

Hapten Synthesis and Influence of Coating Ligands on Enzyme-linked Immunoreaction of DDT

  • Hong, Ji- Youn;Kim, Jong-Hyun;Choi, Myung-J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0호
    • /
    • pp.1413-1431
    • /
    • 2002
  • For the development of immunodetection method of 4,4'-dichlorodipheny-2,2,2-trichloroethane (p,p'-DDT), a persistent and broad toxic organochlorine insecticide, various DDT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for the use of immunogens and the coating ligands for the antibody evaluation. The appropriate lengths of linkers were introduced to investigate more efficient DDT derivatives. Among these hapten derivatives, 2,2-Bis(4-chlorophenyl)acetic acid (DDA), 5,5-Bis(4-chlorophenyl)-5-hydroxypentanoic acid (DDHP) and 5,5-Bis(4-chlorophenyl)-5-chloropentanoic acid (DDCP) were conjugated with keyhole limpet hemocyanin (KLH) for the use of immunogen to produce antibodies. 6,6-Bis(4-chlorophenyl)-6-hydroxyhexanoic acid (DDHH) and 3-[6,6-Bis(4-chlorophenyl)-6-hydroxyhexanoylamino]propanoic acid (DDHHAP) in addition to above hapten derivatives were conjugated to ovualbumin (OVA)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for the use of coating ligands to measure the titration level of antibody and the displacement of free analytes. Three matching pairs of antibodies and coating ligands were selecte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p,p'-DDT and its related compounds of DDA and 2,2-bis(4-chlorophenyl)-1,1-dichloroethylene (p,p'-DDE) by investingating the displacement of free analytes in an indirect ELISA. These were PAb #1 and coating ligand DDCP-OVA, PAb #1 and DDHHAP-OVA, and PAb #3 and DDHHAP-OVA. The most useful immunoreaction for DDT analytes were obtained using PAb #3 and coating ligand DDHHAP-OVA showing 3.4 ng/mL of lower limit of de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itration level and free analytes displacement were greatly influenced by hapten derivatized and carrier proteins conjugated.

농약(農藥)이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살포(殺蟲劑撒布)에 따른 전토양미생물상(田土壤微生物相)의 변동(變動)- (Effects of Pesticides on Soil Microflora - Changes in Soil Microflora by Applic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

  • 양창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9-306
    • /
    • 1984
  • 난분해성(難分解性)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균제(殺菌劑) 및 살충제(殺蟲劑)의 다량(多量) 연용(連用)이 밭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TPN(Tetrachloroisophthalonitrile), HCH(Hexachlorocyclohexane) 및 퇴비(堆肥)를 단독(單獨) 그리고 혼합투여(混合投與)한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2년간(年間)에 걸쳐 미생물상(微生物相)의 경시적(經時的)인 변동(變勳)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HCH의 투여(投與)는 방선균수(放線菌數)의 변화(變化)에는 영향(影響)하지 않았고 포자형성세균수(胞子形成細菌數)를 약간(若干) 저하(低下)시켰으나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및 사상균수(絲狀菌數)를 어느 정도(程度) 증가(增加)시켰다. 2. TPN의 투여(投與)는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TPN내성세균(耐性細菌) 및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수(數)를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胞子形成細菌)의 수(數)를 격감(激減) 시켰다. 3. TPN HCH의 혼합투여(混合投與)는 각 농약(農藥)의 단독투여시(單獨投與時) 결과(結果)의 합(合)으로 나타나 전세균(全細菌), 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 TPN내성세균(耐性細菌) 및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수(數)를 증가(增加)시켰고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胞子形咸細菌)의 수량(數量)을 감소(減少)시켰다. 4. 퇴비(堆肥)와 이들 농약(農藥)과의 혼합시용(混合施用)은 이들 농약(農藥)의 투여(投與)에 의한 토양미생물수(土壤微生物數)의 증가(增加)를 촉진(促進)시켰고 감소(減少)를 완화(緩和)시켜 전세균(全細菌) 및 그람음성세균수(陰性細菌數)의 증가(增加) 정도(程度)를 강화(强化)시켰고 사상균(絲狀菌), 방선균(放線菌) 및 포자형성세균수(胞子形成細菌數)의 감소정도(減少程度)를 약화(弱化)시켰다. 5. TPN의 연용(連用)에 의하여 TPN내성세균(耐性細菌) 특(特)히 TPN내성(耐性)그람음성세균(陰性細菌)의 집적(集積)이 현저(顯著)하였다.

  • PDF

유기염소계 농약 endosulfan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분리 및 분해 특성 (Isolation of endosulfan degrading bacteria and their degradation characteristics)

  • 신재호;곽윤영;김원찬;소재현;신현수;박종우;김태화;김장억;이인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2-297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유기염소계 살충제 endosulfan을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총 182점의 토양, 퇴비 및 액상의 미생물 시료를 접종원으로 실시한 endosulfan 집식(enrichment) 실험으로부터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 형태로 경유하여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고 그 이름을 Bacillus sp. E64-2로 명명하였다. 분리균주는 7일만에 배지에 함유된 10 mg/L 농도의 endosulfan을 99% 이상 분해하였다. 또한 분리균주 Bacillus sp. E64-2의 조효소액은 endosulfan을 endosulfan diol로 전환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균주 자체는 생육 중에 배지의 pH를 배양 7일 만에 pH 7.0에서 pH 8.4로 올릴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활성과 pH 증가 능력은 분리균주 E64-2에 의한 endosulfan 분해의 주된 작용 인자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균주는 효소에 의한 분해작용과 pH 상승작용을 통하여 토양에 잔류는 난분해성 물질인 endosulfan을 bioremediation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균주로서의 가치가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현미(玄米)중 BHC의 잔류성(殘留性) 연구(硏究) (BHC Residues in Brown Rice Produced in Korea)

  • 김용화;송기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6-312
    • /
    • 1978
  • 한국산 현미(玄米)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살충제인 BHC의 잔류량(殘留量)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각지에서 수집(蒐集)한 현미시료와 포장(圃場)실험에 의한 시료중 BHC 잔류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도별(各道別) 미곡생산량에 비례하여 수집한 1976년산 통일계통 현미시료 112점에 대한 총 BHC 잔류량 평균치(平均値)는 0.0061 ppm, 검출범위(檢出範圍)는 $0.0010{\sim}0.0762ppm$이었다. 2) 산지별(産地別)로는 전북(全北), 경남(慶南), 충남산(忠南産)이 전국평균치(全國平均値)보다 많았고 이성체별(異性體別)로는 ${\alpha}>{\gamma}>{\beta}>{\delta}$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농도별(濃度別) 검출빈도(檢出頻度)는 0.01 ppm 이하 89.3%, $0.01{\sim}0.05\;ppm$ 9.8%, $0.05{\sim}0.10\;ppm$ 0.9%이었다. 3) 관행법(慣行法)에 의한 수도(水稻)재배중 살포한 BHC의 잔류량을 경기(京畿)지역과 전북(全北)지역에서 시험한 결과 이화명충 1화기에 살포(BHC 6% 입제(粒劑) 4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무처리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0.035 ppm을 초과하지는 아니하였다. 한편 이화명충 2화기에 살포(6% 입제(粒劑) 3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0.04{\sim}0.19\;ppm$ 범위로 잔류(殘留)하였다.

  • PDF

미생물제(Sphingobium sp. Cam5-1) 처리에 따른 토양 중 카두사포스의 분해효과 (Enhanced Degradation of Residual Cadusafos in Soils by the Microbial Agent of Cadusafos-degrading Sphingobium sp. Cam5-1)

  • 연제형;정준휘;최한석;고영준;김다연;안시현;안재형;한귀환;원항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46-352
    • /
    • 2023
  • Cadusafos, an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has been commonly used against various pests worldwid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have shorter half-lives and lower toxicities than organochlorine pesticides. However, excessive use of Cadusafos can increase pest resistance and issues with acetylcholine biomagnification, potentially resulting in human toxic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Cadusafos-degrading microbial agent (CDMA) prepared using Sphingobium sp. Cam5-1, which was previously reported to effectively degrade residual Cadusafos in soil.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both controlled laboratory and greenhouse field condition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CDMA (106 cfu/g soil application rate) decomposed 97% of Cadusafos in the soil in the untreated control after 21 days. Additionally, when CDMA (106 cfu/g soil) was mixed with quicklime, 99% of Cadusafos was decomposed within 3 days. Under greenhouse field conditions, the combined effect of CDMA (106 cfu/g soil) and quicklime was not observed. However, CDMA (106 cfu/g soil) application alone was capable of decomposing 91% of Cadusafos after 3 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DMA can effectively decompose high residual levels of Cadusafos in soils under field conditions using a low inoculum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