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 identification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rison of microbial molecular diagnosis efficiency within unstable template metagenomic DNA samples between qRT-PCR and chip-based digital PCR platforms

  • Dongwan Kim;Junhyeon Jeon;Minseo Kim;Jinuk Jeong;Young Mok Heo;Dong-Geol Lee;Dong Keon Yon;Kyudong Ha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4호
    • /
    • pp.52.1-52.10
    • /
    • 2023
  • Accurate and efficient microbial diagnosis is crucial for effective molecular diagnostics, especially in the field of human healthcare. The gold standard equipment widely employed for detecting specific microorganisms in molecular diagnosis is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However, its limitations in low metagenomic DNA yield samples necessitate exploring alternative approaches. Digital PCR, by quantifying the number of copies of the target sequence, provides absolute quantification results for the bacterial strai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agnostic efficiency of qRT-PCR and digital PCR in detecting a particular bacterial strain (Staphylococcus aureus), focusing on skin-derived DNA samples. Experimentally, specific primer for S. aureus were designed at transcription elongation factor (greA) gene and the target amplicon were cloned and sequenced to validate efficiency of specificity to the greA gene of S. aureus. To quantify the absolute amount of microorganisms present on the skin, the variable region 5 (V5) of the 16S rRNA gene was used, and primers for S. aureus identification were used to relative their amount in the subject's skin.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absolut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digital PCR in microbial diagnostics. We suggest that the high sensitivity and precise quantification provided by digital PCR could be a promising tool for detecting specific microorganisms, especially in skin-derived DNA samples with low metagenomic DNA yields, and that furthe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is needed to improve medical practice and diagnosis.

정보 공유를 위한 토큰 기반 KMS 연구 (Study on Token based KMS for Information Sharing)

  • 한성화;이후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29-34
    • /
    • 2023
  •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은 다양한 기관에서 정보 공유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 KMS는 각 기관에서 사용하는 기본 정보 뿐만 아니라,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KMS에 저장된 중요 정보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기 위하여, 많은 KMS는 사용자 식별 및 인증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KMS 보안 환경은, KMS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유출되면, 해당 계정 정보를 사용하는 악의적 공격자는 KMS에 접근하여 허가된 모든 중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계정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중요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사용자 토큰(Token)을 적용한 파일 접근통제 기능 적용 KMS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토큰 기반 KMS는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KMS에 등록된 파일을 보호한다. 실효성 검증을 위해 목표하는 사용자 접근통제 기능에 대한 단위 기능을 확인한 결과, KMS에서 제공해야 할 접근통제 기능을 정상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북한 공역의 통일 후 지위 (The Status of North Korean Airspace after Reunification)

  • 권창영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87-325
    • /
    • 2017
  • 20세기 이후 항공우주 군사과학기술의 발달과정에 비추어 보면, 국가의 존립과 번영을 위해서 하늘은 매우 중요하다. "하늘을 지배하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는 격언이 제공권(制空權)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글은 남북의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 공역(空域, airspace)의 지위에 관한 최초의 연구로서,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공(領空)은 영토와 영해의 상공으로 국경선과 영해선에 의하여 그 수평적 범위가 결정된다. 국경문제에 관하여 역사적 진실규명을 통한 재조정의 시도보다는 현질서의 수용이 가장 합리적이고, 통일전후과정에서 인접 국가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 통일한국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사이의 기존 국경협정을 그대로 존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북한이 동해 황해에 설정한 직선기선은 국제법상 직선기선이 적용될 수 있는 사정을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를 폐기하고, 통일한국은 국제법에 부합하는 기선을 다시 정하여 그 바깥쪽 12해리의 선까지에 이르는 수역을 영해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비행정보구역(Flight Information Region)은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과 항공기의 수색 구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획정한 구역이므로 국제법상 효력이 있다. 현재 한반도 일대에는 남한이 관할하는 인천 FIR과 북한이 관할하는 평양 FIR로 나누어져 있다. 급변사태가 발생하여 북한에서 일시적으로 평양 FIR의 관제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남한이 평양 FIR의 관제권을 행사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ICAO가 일시적으로 이를 행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일한국에서는 FIR의 체계적 관리와 통제, 항로개설 관리의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ICAO의 승인을 얻어 평양 FIR을 폐지하고 인천 FIR로 통합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방공식별구역(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은 국가안전보장 목적상항공기의 용이한 식별, 위치 확인 및 통제가 요구되는 공역으로서, 해당 국가가 일방적으로 설정한다. 미국은 1951. 3. 22. 전시포고령에 의하여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였는데, 국방부는 2013. 12. 8. 이어도 상공을 포함하는 지역까지 확장한 새로운 KADIZ를 선포하였다. 현재 북한의 군사경계수역은 동해 황해 등 해상경계선으로만 설정되어 있는 점,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ADIZ로서 기능을 수행하기에 부족한 점에 비추어 보면, 통일한국이 이를 승계할 의무는 없다. 한반도의 경우에는 종심(縱深)이 짧기 때문에 영공보다 외곽에 ADIZ 경계선을 설정하여야 ADIZ 본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통일한국의 인천 FIR과 일치하는 경계선으로 통일한국의 KADIZ를 새로 설정하여 이를 선포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인접국가의 ADIZ와 중첩되거나 경계선을 같이하여 완충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될 수 있으므로,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는 상호간 협상을 통하여 해상에서는 인접국가의 ADIZ 사이에 완충공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성인에서 AUDIT와 손상의 연관성 (Drinking Pattern and Nonfatal Injuries of Adults in Korea)

  • 유인숙;최은미;권호장;이상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90-1698
    • /
    • 2012
  • 음주는 손상의 가장 위험 요인으로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만성음주행태측정 이하 AUDIT)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성인에서의 음주행태와 손상 발생률 및 손상 세부 특성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실시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성인 만 19세 이상 성인 중 7,893명이 참여하여 손상에 응답한 7,511명, 그 중 음주행태조사 참여는 6,6362명 설문에 무응답 104명을 제외 최종 6,258명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AUDIT범주에 따른 손상 발생률 및 세부특성 즉 신체부위, 유형, 기전별 손상 발생율의 비교위험도를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체전손상에서 남자가 손상의 발생이 유의하게 높았다. 음주 관련 손상의 경우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손상의 발생 위험이 8.3배 높았다. 교육은 고등학교 졸업자가 AUDIT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 유의하였으며, 결혼한 사람과 월소득이 201-300만원인 사람들이 AUDIT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문제음주자와 알코올의존자에서 의미있게 증가된 신체부위의 손상은 두 경부에서 0.0371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AUDIT와 손상외인 기전에서는 운수사고, 미끄러짐, 기타, 부딪힘, 추락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손상의 유형 분류상 기타(열상, 좌상, 중독, 관통상 등)에서 유의하였다. 음주로 인한 손상 및 손상외인의 기전은 매우 중요하며, 상담자를 통한 동기유발 조정이 이루어 지게 되면 음주횟수를 줄여 음주로 인한 손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학교 쓰레기 처리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립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 (A Study of School Waste Disposal Status and Its Reforms (Public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Seoul))

  • 노성빈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3권1호
    • /
    • pp.130-140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trends of waste products in schools, its gathering and disposal, identification of problems and to analyze its disposal. Moreover, this study was aimed at basic suggestions about the establishment and plans of waste environmental education. 98 public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surveyed in Seoul during the month of March and April, 1991.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each educational association by random sampling. Questionaries were used for this survey. To understand the disposal status of school waste and its reforms, this study surveyed the amount of waste by products, their origin and analyzed the disposal by type, one number of schools and teachers involved. The dump sited and disposal methods of school waste, its problems, and the status of school waste educations were researched, and ideal disposal methods and plans for waste educ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hool's trash was produced by followings: paper, vinyle plastics, food, woods, metals, ceramics, glass, bottles, and ash from the heating system. The biggest cause of the school's waste as shown by the survey was a lack of environmental awareness(39.8%). The second biggest was the use of a one time use of disposable paper products(27.6%). 2. Waste collection by different grade levels were proven to be important but as you move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waste collecting operation decreased, in this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waste collection itself it was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were not working as significant variables. 3. Of the school that collected waste 69.5 percent of the schools separately grouped common waste and recyclable waste. 25 schools(42.4%) received improvement on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of trash collection through this method. 4. From the number of disposal sites in surveyed schools, it was determined that the education of the necessity for separation of waste was performed in vain and accordingly the should require a real education in the future. 5. Regarding the method of disposal of waste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1 method of disposal was partial burning and the remains carried to a dump site by others(35,7%). In elementary schools the entire waste was taken by individuals to a dump site (33.3%). In high schools partial burning and then transported by individuals #1 in our survey(50%). 6. Relative to the problem of the treatment to waste, the emission of smoke from the burning was considered to be the #1 priority in our survey (62.3%) the problem of trash collection being delayed was 52.1%(1in our survey). 7.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waste us lacking. Under present circumstances, the practice of public announcements for improvement and waste-paper collection has been going on vigorously but lacking in education as to the preparation of compositions for students the themes of public exhibitions, the organizing of voluntary associations should be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to reinforce student's awareness of proper waste disposal. 8. The most economical alternative for disposal was recycling usable waste or combustible material through a variety of education we can therefore educate students bring this education to their homes public servants will also be able to benefit in the waste disposal process with proper education. In conclusion we should intensify the systemical organization and the education of our waste disposal for a better environment.

  • PDF

엽록체 전장유전체 정보를 이용한 감자 야생종 Solanum stoloniferum 구별 분자 마커 개발 (Comparison of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Solanum stoloniferum with other Solanum species generates PCR-based markers specific for Solanum stoloniferum)

  • 김수정;박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31-140
    • /
    • 2020
  • Solanum stoloniferum은 가지과에 속하는 4배체 감자 야생종 중의 하나로 감자 육종에서 다양한 병원균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하여 좋은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감자와의 생식적 장벽으로 인하여 감자와 직접적인 교배를 통해 육종을 할 수 없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체세포 융합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세포 융합 이후에는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적합한 융합체 선발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 stoloniferum 특이적 마커를 개발하기 위하여 S. stoloniferum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마커를 개발하였다. S. stoloniferum의 cpDNA 총 길이는 155,567 bp이고, 6개의 다른 Solanum 종과의 비교를 통해 S. stoloniferum가 S. berthaultii와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인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 종의 Solanum과의 엽록체 전장 유전체 다중 정렬에서는 S. stoloniferum 특이적인 6개의 InDel과 39개의 SNP를 구명하였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네개의 S. stoloniferum 특이적인 PCR 기반의 분자마커를 개발하였다. 이 마커들은 적절한 체세포 융합체를 선발하고 S. stoloniferum을 이용한 감자 품종 육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아비투스 형성과정 탐색 (The Search of the Habitus Formation Process in Professional Football Club Supporters)

  • 오병돈;유영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72-3681
    • /
    • 2013
  • 이 연구는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를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서포터즈와 관련한 선행연구에서는 하위문화의 작동방식과 내면으로의 본질적인 접근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는 어떠한 활동과 과정을 거치면서 서포터즈의 아비투스로 발전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목적 표집 중 강도표집과 준거표집을 통해 서포터즈 활동경력이 5년 이상이며, 서포터즈에서 임원활동을 했던 서포터 중에서 6명의 서포터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비참여관찰을 병행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자료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한 이후부터 자료를 발췌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축구 서포터즈가 일반관중과의 문화적 구별짓기가 발생하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는 열광적인 현장응원과 소모임 문화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축구 서포터즈의 하위문화가 오랜기간 동안 지속되면서 결국 서포터즈만의 아비투스로 발전되어 일반관중들이 쉽게 참여할 수 없는 그들만의 문화가 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재 내진진단과 보수·보강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한국과 일본의 목조 건조물 문화재를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Seismic Capacity Evaluation and Repair Reinforcement in Cultural Assets : Focused on Wooden Structure Cultural Assets in Korea and Japan)

  • 홍지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88-495
    • /
    • 2016
  • 본 연구는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내진 대책과 보수 보강 개선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현재 문화재 내진에 관한 규정은 문화재청의 '문화재 지진재해 등에 관한 규정'으로 문화재 지진발생 후의 피해 상황 보고체계만을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이후, 일본의 '중요 문화재(건조물) 내진진단 내진보강 지침'을 참고로 하여 전문가의 내진점수평가 체계를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내진은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전문가의 점수평가로 진단되지만, 지진 발생 전, 지진 발생 중, 지진 발생 후로 구분하여 관리되고 있다. 또한 '헤리티지 매니저'와 '문화재 닥터'를 운용하여 문화재의 상시적인 관리와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의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지진 발생 후의 피해복구 중심의 관리체계를 벗어나 문화재의 상시적인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양성과 문화재 내진기준의 정립, 건축 관련 민간단체의 활용을 통한 상시적인 관리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현황을 조사하여 개별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점검을 통한 다양한 내진진단 기법의 개발과 적합한 보수 보강 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Hospitalization Risk According to Geriatric Assessment and Laboratory Parameters in Elderly Hematologic Cancer Patients

  • Silay, Kamile;Akinci, Sema;Silay, Yavuz Selim;Guney, Tekin;Ulas, Arife;Akinci, Muhammed Bulent;Ozturk, Esin;Canbaz, Merve;Yalcin, Bulent;Dilek, Imd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783-786
    • /
    • 2015
  • Background: Utilizing geriatric screening tools for the identification of vulnerable older patients with cancer is importa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ospitalization risk of elderly hematologic cancer patients based on geriatric assessment and laboratory par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61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ge 65 years and older, were assessed at a hematology outpatient clinic. Standard geriatric screening tes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timed up and go test (TUG), geriatrics depression scale (GDS) were administered. Demographic and medical data were obtained from patient medical record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in the following six months was then recorded to allow analysis of associations with geriatric assessment tools and laboratory parameter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37 being males, was 66 years. Positive TUG test and declined ADL was foun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hospitalization (p=0.028 and p=0.015 respectively). Correlations of hospitalization with thrombocytopenia, vitamin B12 and folic acid deficie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4, p=0.011 and p=0.05 respectively). Conclusions: In this study, geriatric conditions which are usually unrecognized in a regular oncology office visit were identified. Our study indicates TUG and ADL might be use as predictive tests for hospitalization in elderly oncology populations. Also thrombocytopenia, and vitamin B12 and folic acid deficiencies are among the risk factors for hospitalization. The importance of vitamin B12 and folic acid vitamin replacemen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n this population.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Identified TIMP2 Genetic Variant with Susceptibility to Osteoarthritis

  • Keam, Bhum-Suk;Hwang, Joo-Yeon;Go, Min-Jin;Heo, Jee-Yeon;Park, Mi-Sun;Lee, Ji-Young;Kim, Nam-Hee;Park, Miey;Oh, Ji-Hee;Kim, Dong-Hyun;Jeong, Jin-Young;Lee, Jong-Young;Han, Bok-Ghee;Lee, Ju-You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9권3호
    • /
    • pp.121-126
    • /
    • 2011
  • Osteoarthritis (OA) is the most common degenerative joint disorder in the elderly population. To identify OA-associated genetic variants and candidate genes, we conducted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 A total 3,793 samples (476 cases: wrist + knee and 3317 controls) from a community-based epidemiological study were genotyped using the Affymetrix SNP 5.0. An intronic SNP (rs4789934) in the TIMP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showed the most significance with OA (odd ratio [OR] = 2.06, 95% confidence interval [CI] = 1.52-2.81, p = $4.01{\times}10^{-6}$). Furthermore, a poly-morphism (rs1352677) in the NKAIN2 ($Na^+/K^+$ transporting ATPase interacting 2) was suggestively associated with OA (OR = 1.43, CI = 1.22-1.66, p = $7.01{\times}10^{-6}$). The present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identification of genetic predisposing factors for 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