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fertilizers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9초

시설화훼(施設花卉)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 화학비료(化學肥料) 및 토양개량제(土壤改良制) 시용량(施用量) 조사(調査) (Survey on the Green house Flower Soil Chemicophysical Properties and Amount of Fertilizers and Soil Amendment Applications)

  • 황기성;노대철;호교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5
    • /
    • 1998
  • 우리나라 시설화훼 재배지의 이${\cdot}$화확성과 화훼 재배농가의 화학비료 및 유기물질 시용량을 조사하여 화훼 재배농가의 토양개량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설화훼를 재배하는 85개 포장에서 화학비료 및 토양개량제 시용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화훼 재배지 토양의 토성분포(土性分布)는 미사질량토(微砂質量土)가 51%로 가장 많았으며 배수상태(排水狀態)는 68%의 농가포장은 양호한 상태였고 지하수위는 90 - 120cm 이 상 으로 화훼류 재배에 적합 하였다. 시설화훼지 토양은 양분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었으며 안개초 재배지에는 질산태질소, 장미 재배지에는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리 함량이 많이 축적되어 있었다. 시설 재배지 토양은 노지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질산태질소, 유효인산 및 치환성탈리의 축적이 현저하였으며, 2배 정도 축적되어 있었다. 화확비료의 시용량은 성분량으로 질소, 인산, 칼리 각각 211, 135, 132kg/ha 이었다. 유기물질 시용비율은 우분 > 퇴비> 유기물질비료 > 계분 > 돈분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기물질 종류별 사용량은 각각 우분 69, 돈분 103, 계분32, 퇴비20, 유기질 비료 43ton/ha 이었다.

  • PDF

유기질 비료시용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약용성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Growth and Medicinal ingredi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 전승호;노일래;김영국;조영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1-524
    • /
    • 2016
  • 이 연구는 도라지의 유기재배를 위하여 유기질 비료 시용이 도라지 뿌리의 생육특성 및 사포닌,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3년근 도라지를 이식하기 전 기비로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균배양체, 유박 및 퇴비를 시용한 결과, 뿌리의 길이는 화학비료와 유기질 비료 시용구에서 25.3 cm와 24.0 cm로 가장 길었으며, 직경에서도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굵은 26.6 mm 나타났다. 지근의 수는 유기질퇴비와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많은 20.0개와 17.0개로 조사되었으며, 수량과 관련성이 있는 생체중은 유기질비료 시용구에서 55.7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latycodin D의 함량은 327.4~373.8 mg/100 g의 범위로 유기질퇴비 시용구에서 높은 값이 나타났으며, 도라지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유기질비료 시용구에서 각각 15.5, 15.3 mg/g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라지의 유기재배시 유기질비료 시용구에서 수량성을 물론, 약리성 증대를 위한 사포닌 함량이 많은 지근의 수와 항산화 성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원 항온배양 온도가 토양미생물체량과 효소활성 및 PLFA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oil Microbial Biomass, Enzyme Activities, and PLFA content during Incubation Period of Soil Treated with Organic Materials)

  • 좌재호;문두경;전승종;김천환;최경산;현해남;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00-512
    • /
    • 2009
  • 유기물원을 항온 배양했을 때 온도가 토양미생물체량과 효소활성 및 PLFA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토양 특성별로 평가하고자 입상과 분상 혼합유기질비료, 돈분퇴비, 음식물퇴비를 화산회토양과 비화산회토양 30g에 2g을 잘 혼합 후 10, 20, $30^{\circ}C$에서 항온배양을 하면서 pH, 토양질소, 유기물 함량, Microbial biomass C와 N, 토양효소활성, 인지질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돈분과 음식물퇴비는 토양종류와 온도에 상관없이 토양 pH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입상유기질비료는 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비화산회토양에서 변화폭이 컸다. 미생물체량 C는 화산회토양의 경우 배양 온도가 높고 유기질비료를 처리할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지만 토양종류에 상관없이 점차 감소하였다. 미생물체량 N은 비화산회토양에서 유기질비료, 화산회토양에서는 돈분과 음식물퇴비를 처리할 때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 지방산함량은 항온배양 75일후 비화 산회토양이 화산회토양보다 높았고, 270일후 화산회토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Urease활성은 150일에 비화산회토양의 입상유기질비료처리에서 $10^{\circ}C$(75.0)>$20^{\circ}C$(16.3)>$30^{\circ}C$($4.6ug\;NH{_4-}N\;g^{-1}\;2h^{-1}$)순으로 $1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으며 화산회토양의 Urease활성은 $10^{\circ}C$에서 높게 나타났다. ${\beta}-glucosidase$ 활성은 비화산회토양이 화산회토양보다 높았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토양미생물체량 C와 미생물활성지표간의 상관계수는 비화산회토양에서 PLFA ($r^2=0.91$), 화산회토양에서 ${\beta}-glucosidase$ ($r^2=0.83$)가 높았으며, 미생물활성지표는 토양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바이오디젤 생산원료로써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한 대체 영양원 사용 기술 (Recent Trends of Using Alternative Nutrient Sources for Microalgae Cultivation as a Feedstock of Biodiesel Production)

  • 당낫민;이기세
    • 공업화학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18
  • 미세조류는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가장 지속가능하고 장래성이 좋은 생산 원료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몇몇 전과정평가 연구에 의하면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생산, 특히 배양 단계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유기탄소,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분, 그리고 배양에 필요한 용수 비용이 전체 배양 단계의 80%까지 이를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최근 미세조류 배양에 필요한 인공배지의 대체용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하폐수, 유기비료 연소배가스, 유기성 폐기물 등에 대한 최근의 활용 경향과 사용 전략에 대하여 문한 조사를 통해 요약 및 고찰하였다.

경축순환농업을 위한 가축분뇨 자원화 웹기반 정보은행 구축 (Web-base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of Animal Manure Matching Service for Recycling Agriculture)

  • 류종원;최덕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8
    • /
    • 2013
  • Animal and crop production systems were integrated on a single farm. This integrated farming system recycled nutrients on the farm. The separation of animal and crop produ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cheap commercial fertilizers, farms were not used land-applied manure. The on-line manure matching is one of the emerging business in the achievement of recycling and resource recovery. The manure matching actively promotes the reuse and recycling of by-products and manure. This study constructs to manure matching information system to solve the exchange problems between herders and croppers. Manure matching web sites designed. This paper introduces a web-based animal manure matching system. A manure matching service, part of the manure transport, links farmers who produce excess manure with farmers who can use the manure. Farmers registered with the service have requested manure. The manure matching service supports the transport project by linking farmers with excess manure with those farmers who can utilize the manure safely as a nutrient source. The goal of the service is to protect water quality by fostering efficient land application. Benefits to those who use the manure network include reduced disposal costs, lower purchase costs and recycling of manure. The manure matching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one persons waste is another person's fertilizer.' It provides a free online matchmaking service for environmentally safe manure recycling management system.

지역단위 농업환경 분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 허장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54
    • /
    • 2001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to make a regional plan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o prepare the regional plan is mandated by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of 1998. Here is proposed the input/output analysis framework, which includes the shifts of fertilizers, herbicides, pesticides, and livestock manures Basically, the discharged amount of polluted elements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elements entered into the crop and livestock sectors and the amount of the elements absorbed or used by the crop and/or livestock. A few suggestions are offered for better region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lan. The fore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a data collection system. The \"Green Accounting System\" is suggested. It is also crucial to create a standard guideline or manual which Provides detailed procedures to follow in making the plan by the local planners. More fundamentally, many experts on the regional planning will be demanded in the near future. Some compound model which links, for instance, the forestry, the livestock sector, and the crop sector, needs to be devised. Finally, it is argued here that more elaborated model will work as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which embraces living environment as well as agricultural environment.vironment.

  • PDF

Characteristics of Rice and Paddy Soil under No-Till Direct-Sown Rice-Wheat Cropping System

  • Cho, Young-Son;Choe, Zhin-Ryong;Lee, Byeong-Zhi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61
    • /
    • 1999
  • No-till direct-sown rice-wheat relaying cropping system has major advantages such as labor and cost saving by eliminating tillage and preparation of seed bed and transplanting. In this system, rice sowing was done simultaneously wheat harvesting. A paddy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no-till years on soil microbial changes and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rice growth and development. Chemical fertilizers and agricultrual chemicals was not applied in no-till system. As the year in no-till direct-sown system the air permeability was increased and after water submerging soluble nitrogen was released Aerobic microbial-n was highest in May and then decreased after water irrigation. The population of aerobic soil microorganisms were steeply decreased after water submerging Soil microorganisms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the soil depth. A month was needed for the seedling establishment in a no-tillage rice-wheat cropping system. Increased cropping years improved leaf greenness and leaf area index(LAI). But stomatal conductance(Gc) was higher in conventional cultivation system than no-till system. Stomatal conductanc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was increased higher in conventional condition of leaves but the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and no-till system was increased at heading stage. In no-till 4 years condition rice grain yield was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 PDF

볏짚퇴비 50년 연용에 따른 벼수량과 논토양 유기물함량 변화 (Changes in Rice Yield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under Continued Application of Rice Straw Compost for 50 Years in Paddy Soil)

  • 연병열;곽한강;송요성;전희중;조현준;김창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54-459
    • /
    • 2007
  • 하성충적층을 모재로한 사양질인(강서통) 논토양에서 볏짚퇴비를 50년간(1954년~2003년) 연용 했을 때,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벼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조수량은 3요소구에 비하여 3요소+퇴비구에서 5~12% 증가된 반면, 무비구에서는 21~38% 감소되어 장기간 볏짚퇴비 시용으로 유의성 있는 수량의 증가 효과가 있었다. 벼의 수확기 경엽과 종실의 무기성분 흡수량은 볏짚퇴비를 시용한 구에서 T-N 15%, $P_2O_5$ 19%, $K_2O$ 35%, $SiO_2$ 48% 증가되었다. 토양물리성은 3요소구에 비하여 3요소+퇴비구에서 토양경도는 14.0 mm에서 13.1 mm로, 용적밀도는 $1.34g\;cm^{-3}$에서 $1.23g\;cm^{-3}$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킨 반면, CEC는 $9.0cmol_c\;kg^{-1}$에서 $11.2cmol_c\;kg^{-1}$$2.2cmol_c\;kg^{-1}$ 증가되었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무비구와 3요소구에서는 $20{\sim}23g\;kg^{-1}$, 퇴비구에서는 $33g\;kg^{-1}$ 부근에서 안정화되었다. 1973년(SOM $22g\;kg^{-1}$)~1995년(SOM $22g\;kg^{-1}$) 까지 23년간 3요소+퇴비구의 토양유기물 함량의 증가량은 $11g\;kg^{-1}$이었으며, 매년 볏짚퇴비 $7.5Mg\;ha^{-1}$을 시용하고 벼를 재배할 경우 1년에 증가되는 토양 유기물 함량은 $0.45g\;kg^{-1}$으로 투입된 퇴비의 6%정도가 토양유기물로 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하여 사양질 토양에 대한 토양유기물함량에 따른 퇴비시용량을 하향 조정하였다.

아미노산 발효부산물비료에 관한 연구 1. 아미노산 발효부산물비료 시용 양잠농가의 시비실태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Fertilizer I.Appliation rate of fertilizer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of mulberry fields used glutemic Acid Fermention Residue Fertilizer)

  • 이원주;이건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24
    • /
    • 1984
  • 조미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폐산물로 생산되는 아미노산 발효부산물 비료를 뽕밭에 시용하는 농가의 시비 실태와 연용에 따른 토양 화학성의 변화를 알기 위해 전국에서 임의 선정된 110개 시군, 364개 농가 포장에서 토양을 채취 분석하고, 시비 실태를 설문 조사한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1. 부산물비료를 시용하지 않는 농가는 3요소를 25.8-12.8-16.0kg/10a 시비하는데 비해, 시용하는 농가는 9.8-4.5-5.5kg/10a을 시비하는데 그쳤다. 2. 유기물 시용은 부산물비료를 시용하지 않는 농가에서는 1,158kg/10a을 시용하였으나, 시용 농가에서는 329kg/10a를 시용하였다. 3. 부산물비료를 시용하는 농가 중 53%가 3요소를 74%가 유기물을, 50%가 3요소는 물론 유기물을 시용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용 연수에 따라 증가하였다. 4. 부산물 비료를 시용하는 농가의 토양은 연용연수와는 관계없이 시용하지 않는 농가에 비해 pH, 유기물, K, Ca, Mg, 유효인산 함량 등이 약간씩 낮은 경향을 보였다.

  • PDF

Tuber quality of Ashwagandha (Withania somnifera Duanal) affected by different growth conditions

  • Kaliyadasa, Ewon;Jayasinghe, Lalith;Peiris, Sriyan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51-161
    • /
    • 2019
  • Ashwagandha (Withania sominifera Duanal) i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with increased demand after discovering its anti-stress and sex stimulating properties that ar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active alkaloid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a proper agro technological package that ensures the optimum growth of Ashwagandha to obtain the finest quality without degrading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were combined with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ed as four different treatments in this study.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tubers were recorded up to 12 months starting from two months after sowing (MAS) while the shoo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and the root with a shoot ratio of up to 6 MA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wth of Ashwagandha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method of planting, type of fertilizer or their combinations during most of the harvests. However, tubers harvested at 6 MAS had the highest recorded dry tuber weight per plant in all four treatments compared to the early harvests where two direct seeded treatments had the best results. Comparison of the phytochemical compounds showed that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had the highest recorded values for alkaloid and withaferine A contents with a lower percentage of fiber compared to the treatments with inorganic fertilizer. In conclusion,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and tubers harvested at 6 MAS are recommended as the best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stage to obtain high quality tubers of Ashwagandh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