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57건 처리시간 0.032초

Biosolid 처리가 옥수수 근권의 유기산 생성과 중금속 유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solids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and Organic Acid Production in Rhizosphere of Zea mays L.)

  • 구본준;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73-179
    • /
    • 2005
  • Biosolid 처리는 옥수수의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중금속 흡수 또한 현저히 증가시켰다. 특히 다른 biosolid와 비교하여 Nu-earth 처리에서 옥수수 지상부의 Cd과 Zn의 흡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의 중금속 흡수는 biosolid 자체의 중금속 함량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는데, 크롬과 납의 흡수는 그 중 상관관계가 가장 낮았다. 근권의 유기산은 주로 lact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oxalic acid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glutaric acid와 succinic acid, pyruvic acid 및 tartaric acid도 일부 발견되었다. Biosolid를 처리한 경우에는 butyr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acetic acid가 가장 많았다.

건오징어 추출물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Extracts of Dried Squid)

  • 김동수;김영명;우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5-310
    • /
    • 1990
  • 건조오정어의 추요 유기산생분올 조사하고 이들 성분의 추출용매와 추출시간에 따른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건조오징어의 주요 유기산 성분은 lactic acid, pyroglutamic acid, succinic acid 및 citric acid였고 이들중 lactic acid와 pyrogluta­-mic acid가 전체 유기산의 85% 이상을 차지 하였다. 물로써 추출했을 때 추출 2시간에 310.1mg%로 가장 높았고 70% 에탄올로 추출했을 때 동일 추출시간에서 347.6mg%로 까장 높게 냐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올 보였다. 한편 추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천채척언 유기산의 총량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개별 유기산의 조성비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사과주스의 유기산 분석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혜정;김성수;윤광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87
    • /
    • 2000
  •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were analyzed by HPLC using YMC-peak ODS-AQ column and enzymatic assay. Model apple juices were prepared at the laboratory and commercial apple juices were purchased from the market. Individu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as follows: DL-malic acid 62~402mg%, L-malic acid 48~360mg%, citric acid 1.81~15.74mg%, fumaric acid nd~0.50mg%. Together, these tests ga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and authenticity of a particular apple juice smaple. The presence of D-malic acid was a clear indication of adulteration because this isomer did not occur naturally. Fumaric acid and citric acid levels above trace amounts were also inconsistent with pure apple juice.

  • PDF

유기물부하에 따른 음식물찌꺼기의 산발효 특성 (Acid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Food Wastes According to the Organic Loading Rate)

  • 박진식;안철우;장성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75-982
    • /
    • 2006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for effective acid fermentation according to OLR(organic loading rate) in the mesophilic and thermophilic acid fermentation proces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obtain reasonable acid fermentation efficiency in performing acid fermentation of food wastes in thermophilic condition, organic loading rate was required below 20 gVS/L.d. As $SCOD_{Cr}/TKN,\;SCOD_{Cr}/T-P$ of thermophilic acid fermented food wastes In organic loading rate 20 gVS/L.d were 18.9, 73.4 respectively, it was possible to utilize as external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in sewage treatment plant after solid-liquid separation as well as co-digestion of fermented food wastes and sewage sludge.

지방산 LB막의 온도에 대한 유기가스 반응특성 (Organic Gas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Temperature of Fatty Acid LB Films)

  • 이준호;진철남;장정수;권영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3-356
    • /
    • 1999
  •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fatty acid LB film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gas sensor using Langmuir-Blodgett(LB) films which have high ordered orientation and ordering structure. The deposition status of fatty acid LB films were verified by the measurements of UV absorbance. The conductivity of fatty acid LB films for horizontal direction at room temperature was about $10^8[S/cm]$,/TEX>, which was correspond to semiconductor material. The activation energy for fatty acid LB films with respect to variation of temperature was about l.O[eV].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organic gas were confirmed by measuring the response time, recovery time, and reproducibility of the fatty acid LB films to each organic gas. Also, the penetration and adsorption behavior of gas molecule were confirmed through the organic gas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atty acid LB films with respect to temperature.

  • PDF

유기산계 지반개량재를 혼합한 점토의 강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lay Mixed with Organic Acid Ground Improvement Material)

  • 임소영;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8호
    • /
    • pp.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저에너지, 친환경적인 방법의 지반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유기산재의 지반개량재로서의 강도특성을 모색하였다. 이에 유기산재를 활용하여 재령 28일까지의 일축압축강도시험 및 삼축압축시험을 통한 흙의 강도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기산 재료를 첨가한 점토의 강도는 재령이 길어질수록, 유기산재 혼합비가 커질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계 지반개량재 혼합에 따른 점토의 강도 증진 효과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일축압축강도시험과 삼축압축시험 결과를 통해 유기산재가 지반개량재로 쓰였을 때 가져오는 강도 증대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내시험을 통해 지반개량에 있어 유기산계 지반개량재의 활용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향후 세부적인 시험과 현장시험이 좀 더 명확한 강도증진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two different organic acid blands in olive flounder

  • Park, Gun-Hyun;Lee, Jun-Ho;Yun, Hyeon-Ho;Browdy, Craig L.;Bharadwaj, Anant S.;Bai, Sung-Chul C.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39-42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organic acid products as antibiotic replacement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ish averaging $3.5{\pm}0.05$ g($mean{\pm}SD$) were fed one of the ten semi-purified diets : Diet 1 ; Control, Diet 2 ; add antibiotics - 50mg OTC/kg body weight/day(OTC), Diet 3 ; Add organic acid bland A(OABA) - 4g/kg diet, Diet 4 ; add organic acid bland B(OABB) - 4g/kg diet for 10 weeks. Total gut microflora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OTC and organic acid groups(P<0.05). Fish fed OABA, OABB and OTC had lower gut Vibrio counts compared to the contro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from the challenge study indicate that mortality in the different treatment groups (50%)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bserved for the control group (100%).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rtality between the OTC and organic acid groups. Overall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organic acid blends A and B were as effective as oxytetracycline, an antibiotic, in regulating total gut bacterial numbers, Vibrio counts and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a pathogen such as Edwardsiella tarda.

Organic acids 의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메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cid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 옥지운;하동욱;이신자;김언태;이상석;오영균;김경훈;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24-13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organic acids를 첨가하여 in vitro 상의 반추위 발효성상과 반추위 내 메탄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추위액은 순천대학교 부속목장의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Holstein에서 채취하였고, organic acids는 반추위액과 버퍼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그 결과 pH 값은 lact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첨가구에서 6.69에서 6.16 정도로, 대조구와 다른 첨가구보다 낮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배양 48시간에 aspart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메탄 발생량은 lactic acid 첨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총 VFA와 propionic acid의 농도는 배양 12시간에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반추위 미생물 측정 결과에서는 Fumaric acid와 malic acid의 bacteria수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protozoa수는 유의적(p<0.05)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organic acids의 첨가는 반추위 내 pH를 감소시키고 가스 발생량, 반추위 미생물 성장량 및 propionic acid 모두 증가시켰으며, 특히 lactic acid는 메탄생성을 억제하였다. 앞으로 Organic acid와 다른 메탄억제 물질과 혼합하여 반추위 내 메탄생성 억제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형상이 다른 메주로 제조한 재래식 간장 중의 유기산과 지방산 조성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Traditional Soy Sauce Prepared from Meju under Different Formations)

  • 서정숙;이택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6-211
    • /
    • 1995
  • Three kinds of soy sauce were prepared using the brick type of conventional menu(A), the brick type of meju of Aspergillus oryzae (B) and the grain type of menu Aspergillus oryzae (C). Organic acid and fatty acid were analyzed In accordance to aging time of those products Citr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malonic acid, butyric acid, oxalic acid, and propionic acid were dej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shown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organic acid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much higher at beginning of preparation, at 120 days in soy sauce C and at 180 days in soy sauce B than any other conditions. The content of citric acid was highest at beginning preparation in soy sauce C, and that was highest in soy sauce B except beginning preparation to 120 days.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iic, linolenic,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all kinds of soy sauce after 180 days. The content of oleic acid were shown 32.59∼53.79% in soy sauce B and in soy sauce C. The content of stearic acid was shown 49.7oA In soy sauce A. Linoline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detected in only soy sauce C.

  • PDF

면역기능 조절제(MOS, Lectin)와 유기산제(Organic acid F, Organic acid G)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Immune Modulators(MOS, Lectin) and Organic Acid Mixture(Organic acid F, Organic acid G) on the Performance, Profile of Leukocytes and Erythrocytes,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우경천;김찬호;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481-490
    • /
    • 2007
  • 본 시험은 대조구, 항생제 처리구:Avilla- mycin?? 6ppm, MOS 처리구:MOS 250ppm, lectin 처리구:Mannosespepecific lectin 12.5ppm, Organic acid F 처리구:FORMI??(formic acid 35.4%, formate 34.6%, potassium 30.0%) 0.3%, Organic acid G처리구: GALLACID?? 0.06% 등 6처리구를 두고 이들 처리가 산란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생산성, 혈액성상, 혈청 IgG, 장내 미생물 균총을 조사하였다. 사양시험은 48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900수를 선별하여 6처리, 5반복, 반복당 15케이지, 케이지당 2수씩 A형 2단 케이지에 수용하고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6주 동안의 산란율(hen-day, hen- house egg production)에서는 MOS 처리구가 가장 높은 산란율을 보였고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산란율이 높았다(P<0.05). 난중은 lectin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연파란율은 lectin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P<0.05). 난황색은 Organic acid G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았다(P<0.05). Haugh unit는 lectin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Leukocytes 중 SI는 lectin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Erythrocytes 중 RBC, HB, MCHC는 lectin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MOS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P<0.05). 장내 미생물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Lactobacilli 수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Cl. perfringens 수는 Organic acid F를 제외한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경향이 있었다. 혈청 IgG 농도는 MOS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모든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시험에서 사용된 면역조절제(MOS, Lectin)와 유기산제는 산란계에서 항생제(Avilamycin??)와 유사한 생산성을 나타내어 항생제 대체제로서 산란계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 할 수 있으며 특히 이중에서 MOS의 생산성 개선효과가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