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 preserv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외상성 폐손상시 체외막형 산화기 치료 - 2 예 -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Treatment of Traumatic Lung Injury - 2 cases -)

  • 양진성;신화균;허균;원용순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4권2호
    • /
    • pp.155-158
    • /
    • 2011
  • Mechanical ventilation is usually the treatment of choice for severe respiratory failure associated with trauma. However, in case of severe hypoxia, mechanical ventilation may not be sufficient for gas exchange in lungs.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undergo difficulties in oxygen and carbon dioxide exchange.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is the ideal therapeutic option for those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injuries. ECMO allows lungs to reserve their functions and decreases further lung injuries while increasing survival rate at the same time. We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with traumatic ARDS and Multiple Organ Failure including compromised heart function. The preservation of lung function was successful using ECMO therapy.

경구강 레이저 및 로봇 수술 (Transoral Laser and Robotic Surgery)

  • 노종렬;유창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4
    • /
    • 2011
  • Traditionally, the main strategy of treatment of the head and neck cancer was en bloc resection including adjacent normal tissues through wide incision. However, the procedures may leave severe functional deficit such as swallowing difficulty, aspiration, and wide neck scar. Therefore,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up to minimize these morbidities. Of them, the minimal invasive approach such as transoral laser microsurgery (TLM) and transoral robot surgery (TORS) have been spolighted as a sensible strategy for organ preservation of th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Results of TLM are equivalent to those obtained by conventional surgery, with considerably less morbidity, less hospital time and better postoperative function. Oncologic results of TLM are equivalent to conventional surgery. TORS are safe, feasible, and promising but oncologic safety is not yet verified. This article covers to current application of TLM and TORS, their advantages an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 PDF

肺의 低溫保存法이 肺機能 回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in Hypothermic Lung Preservation)

  • 이만복;김우종;강창희;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53-253
    • /
    • 1997
  • 가토의 적출폐장보고시험의 모델을 이용하여 폐세척웅액과 폐장보존용액의 온도를 제 1군은 4℃로 제 2군은 10℃로 하여 6시간동안 적출폐장보존후에 재관류시켜 각각의 온도차이에 따른 폐기보존효과를 비교 실험하였으며 각 군은 10례씩으로 하였다. 폐정맥혈액산소분압, 폐포-동맥간 산소분압 차, 폐동 맥압 및 폐혈관저항은제 1군보다제 2군이 재관류동안에 성적이 우수하였으며 기도내압, 폐탄성도및 폐부종의 정도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가토의 적출폐기 보존온도에 따른 실험에서 10℃의 폐수*용액과 폐기보존온도가 4℃보다 재순환시 폐기능의 회복이 우수하였다.

양측 경동맥협착의 혈관내막절제수술 및 신장보호액 주입을 이용한 복부대동백 폐색 수술 치험 -1례 보고- (Both Carotid Endarterectomy in Obstrution of Carotid Arteries and Bypass Graft with Kidney Preservation in Obstrution of Abdominal AoRta -A Report of Case)

  • 김병철;편승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625-630
    • /
    • 1997
  • 56세 남자 환자가 신경과에 내원하였는데, 그는 최근에 심해지는 우측 세번째에서 다섯번째 수지의 반복 적인 저린 통증과 파악력의 약화를 주소로 하였다. 이와 함께 보행시 하지 동통을 호소하였다. 경동맥 조영술상 우내경동맥이 완전히 막혀 있었고 좌우총경동맥과 외경동맥, 좌내 경동맥은 심각한 협착이 있었다. 함께 시행한 대동맥 조영술상 신동맥이하는 완전한 폐색을 보였고 양측 대퇴 동맥은 지연 조영 을 보였다. 두개의 동맥 병변에 대해 단계별로 수술 계획을 세웠다. 양측 경동맥 병변은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 하였다. 이 때 좌측은·경동맥 션트를 사용하였다. 복부대동맥 병변은 2주후에 시행되었으며 복강동맥하방의 대동맥을 결찰하고 허혈시 신장을 보존하기위 해 신보존액을 주입하였다. 역 Y 회로 이식술과 신보존을 시행하여 린분간의 허혈동안에도 성공적으로 시술되었으며 별다른 문제없이 술 후 보름만에 퇴원하였다.

  • PDF

폐이식 실험견에서 LPDG용액을 이용한 20시간 이상 폐보존효과 관찰 (Lung Preservation Study for Above 20 Hours of LPDG Solution in Canine Lung Allotransplactation)

  • 박창권;권건영;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949-960
    • /
    • 1997
  • 연구배경. 폐이식 분야에서 이식받아야 할 공여폐의 부족은 많은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상적인 폐관류-보존액인 세포내액성 용액이나 세포외액성 용액의 개발을 위하여 안전하고 장기간의 폐보존이 가능 한 많은 동물실험 연구가 시행되어 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세포외액성 용액인 LPDG용액을 이용하여 20시간 이상 폐보존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세포내액성 용액인 modified Euro-Collins(MEQ용액을 사 용하였다. 방법. 실험은 평균 20 Kg 이상의 한국산 잡종견 34마리를 구하여 17마리씩 공여견과 수용 견으로 암수 구 분없이 나누어 LPDG-꽁액군이 9례 MEC용액군이 8례로써 좌측 일측폐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공여폐의 보존은 1$0^{\circ}C$에서 20시간 이상 저장하였으며 각 폐관류-보존용액에 prostaglandinEl(PGEI)을 공여폐획득시에 례동맥을 통해 주입하였다. 이식폐기능의 평가는 이식폐의 재관류후에 30분, 1시간, 2시간후 그리고 술후 3일째와 7일 째 폐동맥 clef를 이용하여 혈역동학적 검사와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재관류 3시간후와 술후 3일, 7일째에 단순흉부 X-선 촬영, 전산화 흉부 단층촬영 및 99mTc폐관류 스캔\ulcorner 실시하였다. 전 례에서 부검 을 실시하여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얻었으며 20시간 이상 폐보존후에 각 용액별 전자현미경적 폐포구조와 폐 동맥내피세포의 소견을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이식폐의 동맥혈가스분석에서 동맥혈산소분압은 두 용액 모두에서 재관류직후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재관류 2시간까지 서서히 회복이 되었으며 이는 LPDG군에서 더 증가되었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재 관류 1시간후 MEC군이 LPDG군보다 평균폐동맥압이 상승하였고(p<0.05) 재관류 1시간과 2시간에서 LPDG군 이 심박출량이 더 높았다똘<0.05). 그리고 케혈관저항도는 양군 모두 재관류 2시간까지는 감소되거나 큰 변 화가 없다가 3일과 7일까지 점차 상승되었다. 전산화 흉부단층촬영에서 LPDG군이 MEC군보다 폐음영이 재 관류직후와 술후 3일, 7일째에 비교적 나쁘게 나왔으며 폐관류 스캔에서는 재관류직후, 3일후 및 7일후에서 LPDG군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나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얼었다. 병리조직검사에서 양 군모두 82%에서 이식폐의 폐렴소견이 있었고 MEC에서 8례에서 염증소견과 그중 5례는 이식폐치 부전소 견을 보였으며 20시간 이상 폐보존후 \ulcorner자현미경검사에서 양군에서 경증의 폐동맥내피세포의 부종과 불규칙 한 돌출이 관찰되었다. 내피세포의 불규칙한 돌출은 MEC군에서 더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두 용액 모두에서 재관류직후 폐기능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시간까지 LPDG용액은 MEC용액보다 비교적 나은 회복을 보였고 재관류 3일과 7일의 폐기능 평가에서 두 용액 모두에서 폐기능의 점차적 소실을 보였으며 이는 병리조직검사에서 보듯이 폐혐에 의한 외적인 요소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LPDG용액은 허혈재관류손상 방지 및 급성폐렴 등 염증을 잘 관리한다면 20시간 이상 LPDG용액의 안전한 폐보존의 가능성 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Occurrence of Unfertilized Eggs in the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Lepidoptera: Bombycidae)

  • Saheb, N.M. Biram;Singh, Tribhuwan;Saratchandra, Bee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1-7
    • /
    • 2009
  • Quality of seed in the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is determined by many important factors, wherein unfertilized eggs play an important role. Unfertilization of eggs are caused by several reasons such as, abnormality in the sexual organs of the male and female, abnormal development of the micropylar end of the egg,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spinning, cocoon preservation, imperfect handling of moths, mating, ovipostion, cold storing of pupae / moths and indiscriminate use of male moths etc. Though the presence of unfertilized eggs would in no way affect the fertilized ones and their quality directly, the frequency of their occurrence underrates the quality and brings down the hatching percentage. Lower the occurrence of unfertilized eggs, higher is the rating of seed quality. Of the various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nd events involved in egg deposition of an adult silk moth, mating is an instinct and a biological obligation for the ultimate perpetuation of the species and a must to provide stimulus for oogenesis and bring about biochemical changes in the spermatophore of the silkworm in order to ensure the presence of sufficient number of normal sperms and testicular fluid in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 activating ovulation and accelerating oviposition behavior and egg deposition.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article to briefly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unfertilized eggs, causes of their occurrence and its impact as well as the significance in silkworm seed production.

두경부 영역에서의 로봇 수술 (Robotic Surgery in Head and Neck)

  • 태경;신광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2
    • /
    • 2010
  • Organ preservation surgery and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ve been developed during the past 20 years with major focus on transoral laser surgery, endoscopic surgery, and robotic surgery. Two major robotic surgeries in head and neck area are transoral robotic surgery (TORS) and robotic thyroidectomy. Transoral robotic surgery is a safe and efficacious method of surgical treatment of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and laryngeal neoplasm. Advantages of the technique include adequate ability to visualize and manipulate lesions with two hands. TORS can provide magnified three dimensional views and overcome the limitation resulting from the "line of sight" which hinders transoral laser procedure. The swallowing function following transoral robotic surgery show superior and patients were able to retain or rapidly regain swallowing function in the majority of cases. Recently, robotic thyroidectomy has also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imitation of endoscopic thyroidectomy. Robotic thyroidectomy by a gasless unilateral axillo-breast or axillary approach using a da Vinci S Surgical Robot is a feasible and cosmetically excellent procedure. It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endoscopic thyroidectomy or conventional open thyroidectomy.

  • PDF

A New Technique for Conchal Cartilage Harvest

  • Kim, Joon Young;Yang, Ho Jik;Jeong, Ji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2호
    • /
    • pp.166-169
    • /
    • 2017
  • The goal of auricular cartilage harvest is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for reconstruction and to minimize the change in ear shape. The cartilage can be harvested by a posterior or anterior approach, and each method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posterior approach presents the advantage of scar concealment, but there are limits to the amount of cymba cartilage that may be harvested. In contrast, the anterior approach may cause a noticeable scar. However, as cartilage is collected, the anterior approach provides a view that facilitates the preservation ear struc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amount of cartilage.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5, we harvested auricular cartilage graft material in 17 patient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rapdoor scars or linear scar contracture, short incisions were made on the superior border of the cymba and cavum. Two small and narrow incisions were made, resulting in suboptimal exposure of the surgical site, which heightens the potential for damaging the cartilage when using existing tools. To minimize this, the authors used a newly invented ball-type elevator. All patients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after surgery and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shape of the ear.

Three Weekly Versus Weekly Cisplatin as Radiosensitizer in Head and Neck Cancer: a Decision Dilemma

  • Negi, Preety;Kingsley, Pamela Alice;Srivastava, Himanshu;Sharma, Surender Kum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1617-1623
    • /
    • 2016
  • Cisplatin-based concurrent chemoradiation plays an undisputed key role as definitive treatment in unresectabl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head and neck or as an organ preservation strategy. Treatment with 100 mg/m2 3-weekly cisplatin is considered the standard of care but is often associated with several adverse events. The optimum drug schedule of administration remains to be defined and presently, there is insufficient data limiting conclusions about the relative tolerability of one regimen over the other. This review addresses regarding the optimal dose schedule of cisplatin focusing mainly on three-weekly and weekly dose of cisplatin base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ith an emphasis on mucositis, dermatitis, systemic toxicity, compliance, and treatment interruptions. To derive a definitive conclusion, large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are needed directly comparing standard 3-weekly cisplatin ($100mg/m^2$) with weekly schedule ($30-40mg/m^2$) of concurrent cisplatin based chemo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head and neck.

삼요드티로닌을 포함한 폐보존액을 이용한 20시간 폐보존 - 새로운 폐 보존액의 개발 II - (Successful 20 hours Canine Allograft Preservation with new Solution Containing Triiodothyronine - Development of new lung preservation solution II -)

  • 성숙환;김영태;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13-421
    • /
    • 1999
  • 배경: 폐장의 허혈-재관류 손상은 폐이식에서 발생하는 조기 이식장기 실패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갑상선 호르몬의 활성형인 삼요드티로닌 (T3)이 심장을 비롯한 여러 장기의 허혈 손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3의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효과가 폐장의 허혈 손상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덱스트란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포외액성 폐보존액에 T3를 추가한 새로운 폐보존액을 제조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2마리의 황견을 6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 제 1군에서는 새로 개발한 폐보존액을 사용하고, 제 2군에서는 유로콜린스 용액을 사용하여 폐를 적출 하였다. 적출한 폐장은 각각의 보존액에 담그어 섭씨 4도에서 20시간 보관한 후, 각 군에 6마리씩 총 12례의 좌측 폐이식을 시행하였다. 이식된 좌측폐만의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폐이식 후 재관류를 15분시킨 후에 우측 주폐동맥과 우측 주기관지를 결찰하고, 2시간 동안 혈역학적 변수와 가스분석을 시행하고, 측정이 종료된 후 바로 희생하여 폐조직 일부를 떼어내어 조직검사와 수분 함량 및 MDA양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동맥혈 산소분압은 제 1군에서 재관류 후 60분, 90분 120분에 각각 147$\pm$25 mmHg, 148$\pm$22 mmHg, 159$\pm$21 mmHg, 제 2군에서는 각각 133$\pm$26 mmHg, 132$\pm$29 mmHg, 135$\pm$30 mmHg로 제 1군에서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각 시간에서의 최대 흡기압은 제 1군에서 14.0$\pm$0.5 cmH2O, 14.2$\pm$0.6 cmH2O, 15.7$\pm$0.8 cmH2O, 제 2군에서는 17.8$\pm$2.0 cmH2O, 18.0$\pm$1.9 cmH2O, 19.3$\pm$2.7 cmH2O으로 제 1군에서 조금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은 제 1군에서 각 시간에 27.9$\pm$2.2 mmHg, 27.7$\pm$2.4 mmHg, 28.0$\pm$3.0 mmHg, 제 2군에서는 36.8$\pm$6.0 mmHg, 43.2$\pm$8.1 mmHg, 53.1$\pm$17.4 mmHg로 제 1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폐혈관 저항 및 조직 MDA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 조직 수분 함량은 제 1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조직학 검사상 폐조직 손상의 정도도 제 1군에서 적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T3를 포함한 새로 개발한 폐보존액이 유로콜린스 용액과 비교하여 폐보존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T3가 폐이식시 폐장의 효과적 보존에 유용한 역할을 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