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bit Deploymen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6초

Trajectory analysis of a CubeSat mission for the inspection of an orbiting vehicle

  • Corpino, Sabrina;Stesina, Fabrizio;Calvi, Daniele;Guerra, Luca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71-290
    • /
    • 2020
  • The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deployment strategies and trajectories design suitable for executing the inspection of an operative spacecraft in orbit through re-usable CubeSats. Similar missions have been though indeed, and one mission recently flew from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underline that the inspection of an operative spacecraft in orbit features some peculiar characteristics which have not been demonstrated by any mission flown to date. The most critical aspects of the CubeSat inspection mission stem from safety issues and technology availability in the following areas: trajectory design and motion control of the inspector relative to the target, communications architecture, deployment and retrieval of the inspector, and observation need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are 1) the identification of requirements applicable to the deployment of a nanosatellite from the mother-craft, which is also the subject of the inspection, and 2) the identification of solutions for the trajectories to be flown along the mission phases. The mission for the in-situ observation of Space Rider is proposed as reference case, but the conclusions are applicable to other targets such as the ISS, and they might also be useful for missions targeted at debris inspection.

KOMPSAT SATELLITE LAUNCH AND DEPLOYMENT OPERATIONS

  • Baek, Myung-Jin;Chang, Young-Keun;Lee, Jin-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199-208
    • /
    • 1999
  • In this paper, KOMPSAT satellite launch and deployment operations are discussed. The U.S. Taurus launch vehicle delivers KOMPSAT satellite into the mission orbit directly. Launch and deployment operations is monitored and controlled by several international ground stations including Korean Ground Station (KGS). After separation from launch vehicle, KOMPSAT spacecraft deploys solar array by on-board autonomous stored commands without ground inter-vention and stabilizes the satellite such that solar arrays point to the sun. Autonomous ground communication is designed for KOMPSAT for the early orbit ground contact. KOMPSAT space-craft has capability of handing contingency situation by on-board fault management design to retry deployment sequence.

  • PDF

초소형 위성군 궤도배치 전략 분석 (Analysis of Orbital Deployment for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 송영범;신진영;박상영;전수빈;송성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3-72
    • /
    • 2022
  • 초소형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초소형위성군의 성능과 활용도뿐 아니라 위성군의 궤도설계, 궤도배치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소형 위성을 활용한 워커-델타 위성군을 구축하기 위한 궤도배치 기법으로 추력을 이용한 기법과 차등 대기항력 제어 (DADC)를 연구하였다. 추력을 이용할 시, 발사체에 대한 위성의 분리속도와 각도에 따라 궤도배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추력량이 달라진다. 초소형위성의 추력시스템 성능을 참고하여 제한된 성능으로 궤도배치를 완료하기 위한 제어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궤도배치 기간과 총 추력량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차등 대기항력을 이용하면 추력을 소모하지 않는 대신 상대적으로 긴 배치기간을 소요한다.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일반적인 초소형위성군의 궤도에서 차등 대기항력으로 궤도배치를 완료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초소형위성군의 궤도배치에 전략을 수립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소형 SAR 위성군의 배치를 위한 궤도 제어 분석 (Analysis of orbit control for allocation of small SAR satellite constellation)

  • 송영범;손지혜;박진한;송성찬;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16
    • /
    • 2022
  • 이 논문에서는 전천후 한반도 주변 감시를 위한 초소형 합성 개구 레이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위성군의 배치를 위한 궤도 제어를 분석한다. 국내에서 개발하고 있는 Small SAR technology experimental project (S-STEP)는 한반도 주변 지역의 평균 재방문 주기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기의 위성이 여러 궤도 평면에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동일한 궤도 평면에 진입하는 여러 기의 위성들은 궤도 상에 등간격으로 분포하기 위해 발사체로부터의 분리 속도와 이온 추력기를 이용하여 궤도를 제어한다. 동일한 궤도 평면 상에 등간격으로 위성을 배치하는 궤도 전개를 위해 순간 추력으로 위성 사이의 표류율 차이를 조절해 위성군의 형상을 형성한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위성군을 제시하고 발사 전략에 따른 위성군의 배치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위성군을 형성하는 기간을 단축시키는 방법과 한계를 제시한다.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에 적합한 전개시험장치 개발 (Development of Deployment Test Equipment Suitable for Single Large Solar Panel)

  • 문홍열;박상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583-59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큰 태양전지판 전개시험을 위해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제안하였다. 지상에서 전개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궤도에서와 유사한 무중력 환경을 만들기 위해 중력 보상을 고려한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전개시험장치를 시험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 전개에 적용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해 간단한 개념설계, 해석 그리고 시험 등을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지상 시험의 문제점인 공기저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미 프레임을 제안하였으며 중력축과의 정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개 장치에 자동조심 베어링 및 조절나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테잎 스프링 힌지축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 이동 베어링이 적용되었다. 이로부터 본 논문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태양전지판에 특성화된 새로운 전개시험장치를 개발하고 검증함으로써 기존 전개시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나노위성 전개스위치 구현 사례 및 고찰 (A Case Study of the Implementation of Deployment Switch for Nanosatellites)

  • 김민기
    • 우주기술과 응용
    • /
    • 제3권1호
    • /
    • pp.72-85
    • /
    • 2023
  • 대다수 나노위성은 발사관에 수납되어 발사되며 발사관 내부의 나노위성은 수납 중에는 전원이 꺼진 상태로 보관되다가 전개와 동시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를 위하여 나노위성은 전개스위치를 필수로 장착하고 있다. 대부분의 나노위성의 전개스위치는 위성의 부팅을 담당하는 전기 스위치와 그를 조작하는 기계적 조립체로 구성된다. 위성은 본체 내부에 전기 스위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를 누르는 기계적 구조를 통해 외부에서 스위치를 조작한다. 이러한 설계는 기계적 복잡도를 높이고 누름쇠와 본체와의 마찰과 같은 문제로 확실한 작동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문에서는 이의 대안으로 전기스위치를 본체 바깥에 장착하여 직접 외부와 접촉하는 방식과 그 구현 사례를 소개하며 나노위성 전개스위치 구현에 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별 1호의 자세제어 시스템 (ATTITUDE DETERMINATION AND CONTROL SYSTEM OF KITSAT-1)

  • 이현우;김병진;박동조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67-81
    • /
    • 1996
  • The attitude dynamics of KITSAT-1 are modeled including the gravity gradient stabilization method. We define the operation scenario during the initial attitude stabilization period by means of a magnetorquering control algorithm. The required constraints for the gravity gradient boom deployment are also examined. Attitude dynamics model and control laws are verified by analyzing in-orbit attitude sensor telemetry data.

  • PDF

Acquisition, Processing and Image Generation System for Camera Data Onboard Spacecraft

  • C.V.R Subbaraya Sastry;G.S Narayan Rao;N Ramakrishna;V.K Harihar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3호
    • /
    • pp.94-100
    • /
    • 2023
  • The primary goal of any communication spacecraft is to provide communication in variety of frequency bands based on mission requirements within the Indian mainland. Some of the spacecrafts operating in S-band utilizes a 6m or larger aperture Unfurlable Antenna (UFA for S-band links and provides coverage through five or more S-band spot beams over Indian mainland area. The Unfurlable antenna is larger than the satellite and so the antenna is stowed during launch. Upon reaching the orbit, the antenna is deployed using motors. The deployment status of any deployment mechanism will be monitored and verified by the telemetered values of micro-switch position before the start of deployment, during the deployment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otal mechanism. In addition to these micro switches, a camera onboard will be used for capturing still images during primary and secondary deployments of UFA. The proposed checkout system is realized for validating the performance of the onboard camera as part of Integrated Spacecraft Testing (IST) conducted during payload checkout operations. It is designed for acquiring the payload data of onboard camera in real-time, followed by archiving, processing and generation of images in near real-time. This paper presents the architec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eatures of the acquisition, processing and Image generation system for Camera onboard spacecraft. Subsequently this system can be deployed in missions wherever similar requirement is envisaged.

저궤도 위성통신망 기반 글로벌 무선통신 기술 동향 (Research Trends in Global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 김판수;유준규;변우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5호
    • /
    • pp.83-91
    • /
    • 2020
  • In this paper, the contemporary deployment of broadband and Internet-of-Things (IoT) services based on the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s presented. First, the global service and key technologies of small and nanosatellites are briefly addressed, and then, the progress of relevant standard technologies is explained. Finally, the overall potent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s highligh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