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mucosal les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정전가미이진탕이 HCl-aspirin으로 유발된 십이지장 궤양에 미치는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effects of Jengjengamiyjintang on the duodenal ulcer induced by HCl-aspirin)

  • 구세광;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1168-1179
    • /
    • 1999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Jengjengamiyjintang on the duodenal ulcer induced by HCl-aspirin in rats, the changes of histological profiles, goblet cells(PAS-positive cells), and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of cholecystokinin(CCK)-8 and serotonin-producing gastro-entero-endocrine cells were observ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Jengjengamiyjintang. Histologically, very severe injury to duodenal epithelium were observed in control groups and these injuries were increased with time intervals. But in the Jengjengamiyjintang administrated groups, no gross lesion of ulcer were demonstrated and histologically minor injury to the mucosal epithelium were observed. PAS-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the Jengjengamiyjintang 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s. Severe degranulation of CCK-8- and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control groups but these phenomenon was seldom in the Jengjengamiyjintang administrated groups. Serotonin-immunoreactive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ntrol groups but increased in Jengjengamiyjintang 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According to these result, it is suggested that Jengjengamiyjintang would accelerat the healing of the duodenal ulcer but the functional mechanisms were unknown.

  • PDF

한 작은 섬에서의 파라콰트 집단중독 (Mass paraquat poisoning in a small island community (case report))

  • 이성우;정태화;최강원;임정기;이덕형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2권4호
    • /
    • pp.454-465
    • /
    • 1989
  • In a small island community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100 residents, nine persons died and five experienced severe illnesses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1986 to May 1988. Their initial symptoms were sore throat and fever. Renal failure and hepatitis developed within one week after the onset. Oral mucosal ulcer developed in some cases. After one week,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and dyspnea developed evidently and severe respiratory distress and hypoxia preceded those fatal cases. Chest X-ray findings revealed bilateral diffuse multiple cystic lesion with occasional multiple large emphysematous bullae. Based on these features paraquat poisoning was diagnosed and route of poisoning was investigated. In three sources of drinking water, trace amount of paraquat was detected in November 1988, six months after the incidence of recent fatal case. In November 1988, soybean sauces and soybean pastes from 12 households were found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paraquat, the cause could not be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the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as the cause of this mass poisoning has been suggested.

  • PDF

협점막에서 발생한 MALT 림프종 1예 (A Case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in Buccal Mucosa)

  • 이현아;명재경;태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9-52
    • /
    • 2022
  •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is a low-grade B-cell lymphoma that typically follows an indolent clinical course. It occurs in a variety of mucosal linings extranodal tissue, most commonly in the stomach. Other commonly involved sites include other part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yroid, salivary gland, lung, lacrimal gland, synovium, dura mater, breast, skin, and eyes. It occurs very rarely in the buccal mucosa. A 50-year-old man came to the clinic while presenting a 5-month history of right-sided buccal mass. The incisional biopsy did not confirm the diagnosis of the lesion. He underwent complete excision of buccal mas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final pathology confirmed MALT lymphoma immunohistochemically. After surgery, he received radiotherapy with 30.6 Gy. There is no recurrence for 8 months after treatment.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buccal MALT lymphom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햄스터 구강암 발생 과정에서 Heat Shock Protein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HEAT SHOCK PROTEIN IN ORAL CARCINOGENESIS IN HAMSTER)

  • 최규환;이동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362-372
    • /
    • 1998
  • Heat shock protein (HSP) expression is unregulated in tumor cells and, HSP expression is likely marker of the malignant potential of oral epithelial lesion. Furthermore, the 70kDa HSP is implicated in the degree of tumor differentiation, the rate of tumor prolifera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anti-tumor immune response.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and intensity of HSP 70 and HSP 47 expression was assessed in the DMBA induced oral carcinogenesis in hamster. Golden Syrian hamsters which were 3 months-age and 90-120g were collected. 9,10-dimethyl-1,2-benzanthracene (DMBA) in a 0.5% solution in mineral oil was painted on the buccal pouch mucosa 3 times per week in the study group. In eac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of 6, 8, 10, 12, 14, 16, 18, 20 weeks, specimen were sectioned for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anti-HSP47 and anti-HSP70 antibo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SP47 positive cells were rare or negative of normal oral mucosa, increased mildly in basal and suprabasal basal layer, and spinous cell layer after experimental 6 weeks (dysplastic or CIS stage). In CIS stage, HSP47 expression is prominent in dysplastic free or normal adjacent epithelium. 2. HSP 47 positive cells in connective tissue were mainly inflammatory cells, which is gradually increased from control to precancerous and cancer stage. But HSP47 positive cells after 14 weeks were decreased, especially normal and cancer adjacent epithelium. 3. The positive staining cells of HSP70 in control, dysplastic, and CIS stage were not seen. But they were mild findings in basal layer and moderate findings in spinous layer after experimental 14 weeks (cancer stage). 4. HSP70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in precancerous and cancer stage than control group in connective tissue. After experimental 16 weeks, we could not find the HSP expression in cancer cells according to cancer differentiation or cancer stage. It is concluded that HSP70 or HSP47 expression is not a definitive marker of oral malignancy or malignant potential. However, with further development, HSP immunoreactivity may be valuable as an adjunct to conventional histology for assessing the malignant potential of oral mucosal lesions.

  • PDF

구강작열감증후군의 병인론과 병태생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tiopathogene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 임현대;강진규;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41-47
    • /
    • 2010
  •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실 소견없이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작열감을 말하며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 높은 발생율을 보인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은 자발적이며 뚜렷한 악화요인을 보이고 있지 않다. 통증 유발과 관련해서 치과적 술식, 최근의 질환, 투약(항생제 요법)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열감이 한 번 시작되면 수년간 지속된다. 대부분의 구강작열감 환자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리학적 활성화에서 기원되는 만성구강증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정신학적 원인에 대한 역할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 구강작열감의 신경학적 측면에 대하여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런 연구는 구강작열감에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가 관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미각에서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supertaster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미각과 유해수용성 기전에 상호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구강 통증 감각이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고삭신경, 설인신경수준에서 미각체계 변형에 의한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같이 상호 작용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을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이에 본 저자는 만성구강통증으로 여겨지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과 병태 생리를 고찰하여 환자의 진단과 원인 지향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구강 내 결핵 1예 (A Case of Oral Tuberculosis Confirmed by Histopathology)

  • 이진우;박영식;임효정;곽민선;임우현;임재준;양석철;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상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4호
    • /
    • pp.356-358
    • /
    • 2009
  • Although tuberculosis is a chronic infectious disease that can occur in any section of the body, oral tuberculosis is rare. Here, we report a case of oral tuberculosis in which the patient sought treatment for a painful oral lesion. 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uberculosis and pulmonary lesions were detected on subsequent examination.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sis therapy, and his symptoms improved. This cas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cluding oral tuberculosis as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for mucosal lesions.

Therapeutic Effect of Astaxanthin Isolated from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Mutant Against Naproxen-Induced Gastric Antral Ulceration in Rats

  • KIM JEONG-HWAN;KIM SEUNG-WOOK;YUN CHEOL-WON;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633-639
    • /
    • 2005
  • Frequently used for humans as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aproxen has been known to induce ulcerative gastric lesion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 vivo therapeutic effect of astaxanthin, isolated from a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mutant, against naproxen-induced gastric antral ulceration in rats. The rats were treated with three doses of astaxanthin [1, 5, and 25 mg/kg body weight (B.W.), respectively] once daily for 2 weeks after pretreatment of 80 mg of naproxen/kg B.W. twice daily for 3 days, while the control rats received only 80 mg of naproxen/kg B.W. twice daily for 3 days. The oral administration of astaxanthin (1,5, and 25 mg/kg B.W.) showed a curative effect against naproxen (80 mg/kg B.W.)-induced gastric antral ulcer and reduced the elevated lipid peroxide level in gastric mucosa. In addition, astaxanthin treatment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radical scavenging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 histologic examination clearly proved that acute gastric mucosal lesion induced by naproxen nearly disappeared after the astaxanthi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taxanthin eliminated the lipid peroxides and free radicals induced by naproxen and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remedy of gastric ulceration.

맹출 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을 이용한 치험례 (CASE REPORTS OF TREATMENT OF ERUPTION-DISTURBED MX.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석충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8
    • /
    • 2004
  • 치아의 맹출이란 구강내로 치아가 출현하기 전의 악골 내에서의 이동, 구강에 출현하여 교합면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그리고 교합면 도달이후의 추가적인 이동 등 모두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맹출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치아가 성장 발육 과정에 따라 구강내로 맹출되는 과정은 preeruptive alveolar bone stage, alveolar bone stage와 mucosal stage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도 장애가 발생하면 치아가 맹출하지 않는다. 맹출 장애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부정위, 정상 맹출로의 방해, 치낭 혹은 치주인대의 손상 등이 있다. 맹출 장애의 치료에는 유치발거 및 맹출 공간확보, 외과적 노출, 외과적 정위, 외과적 노출 후 견인이 있고, 이 중 외과적 노출이 가장 기본적인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은 영구치를 둘러싸는 점막, 골, 병소, 경우에 따라 치낭 등을 제거하여 개방된 맹출로를 확보하는 것이고, 형성된 맹출로는 레진관(celluloid crown)의 접착, 거타 퍼챠 혹은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 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하여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시에는 치경부 치근의 백악질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인접치아의 치주 조직이나 치근의 손상도 피해야 한다. 또한 노출 후 치아는 각화된 치은에 위치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 중에 가해진 손상의 정도는 치아의 병리 생리학적 이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상악 제1대구치가 맹출 장애를 가진 증례들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외과적 노출을 시행하였고, 맹출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이지 않았다(p>0.05). 5. DIFOTI 이미지의 광투과율과 CLMS의 병소 깊이에 대한 상관 계수는 -0.688이었으나(p<0.05), LFD의 측정값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 PDF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1 감염과 관련된 고양이의 안면 및 회음부 피부염 (Feline Herpes Virus-1 Associated Facial and Perianal Dermatitis in a Cat)

  • 윤지선;;;박진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3
    • /
    • 2013
  •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1 감염과 관련된 고양이의 괴사성 안면 피부염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3살된, 미거세 수컷 도메스틱 숏헤어 고양이가 2년간 지속된 소양성 피부염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생후 약 2개월령부터 지속적인 눈꼽과 결막염을 가지고 있었으며, 눈 주위부터 안면 전체로 확대된 피부염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다. 내원 당시에는 가피로 덮여있는 미란과 궤양성의 피부병변이 안면과 회음부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피부 병변부위의 조직학적 검사 결과, 경계면 피부염을 동반한 기저층의 수포변성과 각질세포의 단세포 괴사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호산구 침윤을 동반한 표피와 진피의 괴사와 각질세포의 핵내 봉입체도 관찰되었다. 이에 가피 부위의 가검물을 이용하여 PCR검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1의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위의 소견으로부터, 본 증례는 고양이 헤르페스 바이러스-1 감염과 관련된 궤양성 피부염으로 진단되었고, 아시클로버의 경구투여와 고양이 인터페론 오메가의 국소투여로 피부 및 점막 병변의 뚜렷한 개선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