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al history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234초

SCL-90-R을 이용한 TMD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Psychological Analysis of TMD Patients through the SCL-90-R)

  • 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1호
    • /
    • pp.59-67
    • /
    • 1999
  •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MD patients was studied through the SCL-90-R. III patients were subjected at the Orofacial Pain Clinic, Dept. of Oral Medicine, PNUH, from 1991 to 1996. All the TMD patients were divided and analyzied comparatively by the ways of duration of present illness, severity of symptoms, associated symptoms, traumatic contributing factor, history of treatment, treatment modality, response to therapy and treatment outcom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value of T-scores on 9 basic scales in all the groups was within normal range. 2. There showed higher levels of T-scores in the chronic group, the unimproved group and the discontinued group. 3. T-scores in the patients with severe symptom, associated symptoms, and history of treatment revealed higher.

  • PDF

Repetitive Postoperative Infection after Le Fort I Osteotomy in a Patient with a History of Non-allergic Rhinitis

  • Kim, Hyo-Geon;Kim, Yong-De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21-24
    • /
    • 2014
  • Maxillary sinus infection following Le Fort I osteotomy is rare in patients without a history of preexisting nasal symptoms. A case of a 19-year-old male patient who suffered from preoperative chronic non-allergic rhinitis and developed repetitive postoperative maxillary sinus infection after Le Fort I osteotomy is reported.

구개성형술후 폐렴을 동반한 급성 기도 폐색: 증례보고 (Acute airway obstruction resulting in Pneumonia after palatoplasty: A Case Report)

  • 라주일;구현모;정종선;박철휘;김현민;송민석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86
    • /
    • 2005
  • Cleft palate patients with congenital anomalies have an increased risk of airway problems following palatoplasty. Factors that were related included presence of associated congenital anomalies, duration of surgery, age at time of surgery, history of previous airway problem, and excessive pressure exerted on the base of the tongue by Dingman retractor. This report described a complication of post-operative Pneumonia after palatoplasty (Furlow technique), which resulted in a life-threatening acute airway obstruction in an infant with cleft palate. Patient has a history of previous mild airway problems. In addition to this problem, we speculate that Furlow technique involves more extensive surgical dissection than other techniques may increase risk for upper airway obstruction. Awareness of this risk permits identifying those patients prior to surgery so that they can be monitored and managed properly, minimizing the likelihood of major complications or possibility of death.

  • PDF

편측 상악동 저형성증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Unilateral Maxillary Sinus Hypoplasia)

  • 김성민;김민근;권광준;이석근;박영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27-132
    • /
    • 2012
  • Maxillary sinus hypoplasia (MSH) is an uncommon clinical disease that represents a persistent decrease in sinus volume, which results from centripetal reaction of the maxillary sinus walls. We present a unilateral MSH case of a 46-year-old male patient with a history of nasal obstruction and headache for 3 years. He had a history of Caldwell Luc operation (CLOP) 10 years ago, and no enophthalmos, hypoglobus or facial asymmetry. After confirming the right diagnosis of MSH, filled with bone in the computed tomography scan, hyperplastic bone was removed by the CLOP approach. The uncinate process and infundibular passage were found to be degenerated and ostium was also examined to be obstructed under endoscopic confirmation. MSH can be mistaken for chronic maxillary sinusitis because of the plain x-ray appearance, so the aggravated state of MSH can be the result of surgeon's misjudgment. With additional literature reviews, this rare experience is first introduced in our Korea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field.

구강궤양 및 수포성 질환 (Oral ulcerative and vesicular diseases)

  • 변진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9호
    • /
    • pp.634-639
    • /
    • 2017
  • Oral ulcerative and/or vesicular diseas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clinical phenotypes. Detailed and careful history taking is the cornerstone of the diagnosis of oral mucosal disease. Moreover, complete screening of review of system for patient is important. Through this article, the simple ulcerative, recurrent ulcerative, acute multiple ulcer, chronic multiple ulcerative diseases will be discussed. Clinicians have to keep in mind it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 PDF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구강안면동통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A Psychological Analysis of the Orofacial Pain Patients Through SCL-90-R)

  • 노창세;고명연;박준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467-477
    • /
    • 1999
  •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orofacial pain patients was analyzed psychologically by means of the SCL-90-R. 36 TMD patients, 20 burning mouth syndrome(BMS) patients, 31 trigeminal neuralgia(TN) patients, 20 control I and 28 control II were subjected at Orofacial pain clinic, Department of Oral Medicine and Health Promotion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1998 to 1999.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values of T-scores on 9 basic scales in all the groups were within normal range. 2. The T-scores of SOM, O-C, ANX and HOS in TMD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I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cales between TMD patient group and control II group. 3. The T-scores of SOM in BMS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I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cales between BMS patient group and control II group. 4. The T-scores of SOM in TN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II group. 5. As compared with present and absent of the history of systemic dise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cales in TMD, BMS and TN patient groups but the T-scores of the patient groups with the history of systemic diseases tended to higher than those of the patient group without the history of systemic diseases. 6. As compared with acute and chronic groups, the T-scores of O-C, I-S, PAR, PSY in chronic BMS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acute BMS patient.

  • PDF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s and Roles of Oral History from a Perspective of Archival Science)

  • 김명훈
    • 기록학연구
    • /
    • 제24호
    • /
    • pp.73-112
    • /
    • 2010
  • 최근 녹음 및 녹화기술의 진전은 문자화된 기록만이 아닌 음성이나 영상 역시 행위의 증거 및 기억의 보존 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경향에 보조를 맞추어 기록학 영역에서는 기록으로서의 구술이 지닌 중요성을 인식하고 구술채록 사업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록보존기관에서의 구술채록은 아직 정체성 정립이 요원한 실정이다. 기록학은 현재의 삶의 모습을 기록을 통해 미래에 전승하는 과업을 모토로 한다는 점에서, 구술채록 역시 여타 학문분야에서 사료의 생성 및 연구 목적을 위해 수행되는 구술채록과는 다른 특성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기록학은 수많은 기록 중 맥락을 지닌 행위의 증거를 평가하여 현재의 사회상 및 집단 기억을 형성시키는 분야라는 점에서, 구술채록에 앞서 기록학 고유의 구술 정체성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이 지닌 의미와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록학에서는 그동안 실증주의의 뿌리 깊은 영향 속에 문자화된 기록 위주로 학문적 이론 및 방법론을 개발시켜왔다. 하지만 '말'을 통한 기록의 생성 및 보존이 가능해진 지금, 기억 및 사회상을 보존해 전승하는 또 하나의 방식으로 구술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록보존기관에서의 구술채록 정체성을 정립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이 지닌 의미 및 역할을 분석할 것이다.

Factors affecting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oral lichen planus lesions: a retrospective study of 113 cases

  • Park, Shin-Young;Lee, Hyo-Jung;Kim, So-Hyun;Kim, Sung-Beom;Choi, Yong-Hoon;Kim, Young-Kyun;Yun, Pil-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8권4호
    • /
    • pp.213-223
    • /
    • 2018
  • Purpose: Oral lichen planus (OLP) is a chronic oral mucosal diseas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n immune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outcomes of topical corticosteroid application on OLP lesions using dexamethasone gargle and ointment. Methods: The charts of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OLP and treated with dexamethasone from July 2003 to August 2017 at the Section of Denti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thoroughly evaluated to identify subjects who were suitable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For each patient, age at the index date, gender, medical history, and dental records related to OLP lesions and dexamethasone treatment were reviewed. Results: In total, 113 of the 22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Among them, 79 patients were female (69.9%) and 34 were male (30.1%), with a mean age of 57.6 years. The average duration of dexamethasone treatment was 4.7 month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24 years. Improvements were observed within 1 year after dexamethasone treatment in most cases, and 17.7% of patients had a new OLP lesion after treatment. New OLP lesions were more frequently gingival than mucosal, although mucosal OLP lesions were more common than gingival OLP lesions in all age groups. In age- and gender-adjust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 history of malignant diseas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formation of new lesions. Gingival OLP lesions and intermittent use of dexamethasone showed near-significant associations. In Kaplan-Meier failure analysis, history of malignancy, menopausal status, age, and the site of the OLP le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linical outcomes. Conclusions: The treatment outcomes of OLP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ge, history of malignancy, menopausal status, and the site of the OLP lesion, but not by factors related to dexamethasone treatment.

구술 기록의 데이터 요소 분석에 의한 구술기록관리시스템 제안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ggestion of the Oral Record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Element of the Oral Records)

  • 박혜준;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59호
    • /
    • pp.79-127
    • /
    • 2019
  • 구술사 연구가 증가하며 구술 기록은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활발하게 수집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술 기록을 대상으로 하는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충분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 기록의 특성, 시스템의 구술기록관리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현재 구술 기록을 관리 서비스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술 기록을 수집하고는 있지만 시스템 설계 구축을 계획 중인 대통령기록관에서 요구하는 정보들을 분석했다. 이렇게 도출된 분석 내용 및 문제점을 참고하여 구술기록관리시스템의 구술 데이터 구성요소와 엔티티 관계도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구술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제동원 구술자료의 관리와 활용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장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Management and Use of Oral History Archives on Forced Mobilization -Centering on oral history archives collected by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Republic of Korea-)

  • 권미현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303-339
    • /
    • 2007
  •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라 함은 만주사변 이후 태평양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일제에 의하여 강제동원 되어 군인 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생활을 강요당한 자가 입은 생명 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말한다.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피해당사자, 유족,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이루어져왔고, 그 결과 2004년 3일 5일 ${\ll}$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등에 관한 특별법${\gg}$ (2007년 5월 17일 일부 개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를 근거로 2004년 11월 10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강제동원위원회)가 발족하였고, 2005년 2월 1일부터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강제동원 피해신고접수 및 피해신고조사(피해자 및 유족 심사 결정), 진상조사신청접수 및 진상조사, 진상조사 및 피해판정 불능에 관한 사항, 피해판정에 따른 호적정정, 강제동원 관련 국내외 자료수집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유해발굴 및 수습 봉환, 사료관 및 추도공간 조성사업 등이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조사 및 진상조사 업무를 위해 다양한 기록을 발굴 수집해 오고 있다. 여타 피해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이미 공개되었거나 새롭게 발굴되는 기록은 강제동원의 다양한 역사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그 양이나 질에 면에서 부족하다. 피해의 역사에서 피해당사자의 이야기는 기록의 부재를 메우기도 하고, 기록 이상의 근거적 가치를 갖기도 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생존자와의 구술면담을 통해 다수의 구술자료를 생산하였고 조사업무에 활용하며 체계적인 관리방법을 토대로 관리하고 대중적인 활용까지 꾀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생산 당시부터 철저한 기획에 의해 이루어졌고, 생산단계부터 관리와 활용의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디지털매체의 생산을 유도했다. 또한 조사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구술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차례 면담자 교육을 실시하고, 면담자로 하여금 구술당시의 상황을 면담일지로 남기도록 했다. 강제동원위원회는 소장 기록을 관리하는 별도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피해 진상 관리시스템과 전자결재시스템을 통해 생산되어 관리되지 않는 생산 수집 기증 기록을 등록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구술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등록이 되어, 실물과 중복 보존되고 있다. 구술자료는 등록과 동시에 분류, 기술행위가 이루어지고 구술자료의 관리 아이디인 등록번호, 분류번호, 비치번호 등을 부여받게 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구술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구술기록집의 발간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고, 영상물 등의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정부차원의 조사 업무 과정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한계, 예산부족이나 기록관리시스템 등의 부재 등을 넘어서 한시조직으로서 가능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생산 관리 활용되고 있다. 축적된 구술자료는 향후 특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대로 사료관 등이 건립된다면 대중 이용자들을 위해 더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