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Records

검색결과 426건 처리시간 0.026초

치과 내원 환자의 치아 이상(dental anomal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in Korean dental-patients)

  • 이주희;양병호;이상민;김영희;심혜원;정현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46-353
    • /
    • 2011
  • 본 연구는 본원에 내원한 환자에 있어서 결손치, 매복치, 과잉치의 빈도 및 형태적 이상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2009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치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의무기록지,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토대로 치아 이상에 대하여 성별, 치아 이상의 종류와 발생위치별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의 선천적 결손, 과잉치, 왜소치, 매복치, 변위치에 대한 치아 이상을 연구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전체 내원하여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찍은 환자 3,133명 중 치아 이상을 가진 환자의 비율은 11.55%였다. 그 중 선천적 결손치를 가진 환자의 내원율은 5.71%로 가장 높았고, 매복치를 가진 환자는 3.09%였다. 과잉치, 왜소치, 변위치를 가진 환자의 비율은 각각 1.79%, 1.66%, 0.45%를 차지하였다. 치아의 수나 형태의 변화는 환자의 치료시 고려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므로 치료를 위해 치과에 내원한 환자뿐만 아니라 구강검진으로 내원한 환자에서도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채득한다면 국민 구강보건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보철학적 교합 재구성을 위한 교합진단과 치료계획 (The Occlusal Evaluation and Treatment Planning for Prosthodontic Full Mouth Rehabilitation)

  • 이승규;이성복;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9
    • /
    • 2000
  • Occlusal disease is comparable to periodontitis in that it is generally not reversible. Occlusal disease, however, like periodontitis, often maintainable. It does itself to treatment and when restorative dentistry is utilized it becomes, in that sense, reversible. Moreover, a systematized and integrated approach will lead to a prognosis that is favorable and predictable. This approach facilitates development of optimum oral function, comfort, and esthetics, resulting in a satisfied patient. Such a systematized approach consists of four logical phase : (1) patient evaluation, (2) comprehensive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3) integrated and systematic reconstruction, and (4) postoperative maintenance. An integrated treatment plan is first developed on one set of diagnostic casts, properly mounted o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using jaw relationship records. This is accomplished by using wax to make reconstructive modifications to the casts. These modified casts become the blueprint for planned occlusal changes and the fabric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The treatment goals are : (1) comfortably functioning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stomatognathic musculature, (2) adherence to the basic principle of occlusion advocated by Schuyler, (3) anterior guida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elope of function, (4) restorations that will not violate the patient's neutral zone. This report shows the treatment procedures for a patient whose mandibular position has been altered due to posterior bite collapse. Migration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had occurred, and the posterior occlusal contacts showed pathologic interference. Precise diagnosis using mounted casts was executed and prosthodontic reconstruction by the aid of an unconventional orthodontic correction on maxillary flaring was planned. An unconventional orthodontic correction can be accomplished by using preexisting natural teeth, which can be modified for use in active tooth movement or splinted together for orthodontic anchorage. This technique has an advantage over conventional fixed appliance orthodontic therapy because it can accomplish tooth movement concurrently with restorative and periodontal therapy. On occasion, minor tooth movement can be necessary to achieve the optimum occlusal scheme, crown form, and tooth position for the forces of occlusion to be displaced down the long axis of the periodontally compromised teeth. Once the occlusion, periodontal health, and crown contours for the provisional splinted restoration are acceptable, the final splinted restoration can be similarly fabricated, and it becomes an excellent orthodontic retainer.

  • PDF

중추신경계의 Aspergillosis (Aspergillosis of Central Nervous System)

  • 유승훈;이정일;남도현;김종수;홍승철;신형진;박관;어환;김종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896-902
    • /
    • 2001
  • Objectives : Aspergillosis of central nervous system(CNS) is a rare pathologic condition and it has been known to be difficult to diagnose and treat. We analyzed seven cases of central nervous system aspergillosi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in diagnosis and treatment are discussed with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s. Material and Methods :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radiological findings, and pathologic reports of 7 patients with aspergillosis which involved CNS. Results : Five patients were immunocompetent, and infection was related with previous operation in 4 of them. Two patients were immunocompromised and had no history of operation. Five patients had intracranial lesions and two had spinal lesions. Mean duration from the onset of initial symptom to pathologic diagnosis was 2.4 months. Mean duration from the previous operation to the onset of symptom was 9.3 months, and from the onset of symptom to diagnosis was 2.9 months in the patients who had histories of operation. All of them were treated with surgical procedures and intravenous and oral antifungal agents, resulting in cure in 6 cases. Mean duration of the treatment was 4.9 months. Conclusion : Because aspergillosis of CNS is a rare disease and is difficult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pyogenic abscess or recurrent tumor, the pathologic diagnosis is very important for adequate treatment. Although the prognosis of aspergillosis of CNS has been known to be poor, adequate surgery for both diagnosis and treatment and antifungal chemotherapy resulted in good outcome.

  • PDF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특성 및 치료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Patients in a Korean Medicine Hospital)

  • 박승혁;이진무;이창훈;장준복;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7-47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and prescriptions of out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We searched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7 and found out 31 patients who first visited with PCOS. Results: The average age of PCOS patients was $26.48{\pm}5.15years$ old, average height was $162.16{\pm}5.56cm$, average weight was $55.27{\pm}9.34kg$, and average BMI was $21.01{\pm}3.48kg/m^2$ A total of 24 patients who had received western treatment for PCOS in the past, 13 people received oral contraceptions, 4 hormones, 2 metformin, one hormone and metformin, also 4 people were treated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due to infertility. There were only two patients who combined Korean and Western treatments. The most common menstrual-related symptoms of PCOS patients were oligomenorrhea (48.4%) and dysmenorrhea (22.6%). Other symptoms were the highest in the cold symptoms (54.8%), followed by infertility (9.7%).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was $6.26{\pm}7.2$, with 22 (71.0%) coming from 1 to 5.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for patients was $10.1{\pm}10.8weeks$, with 41.9% the largest for 1 to 4 weeks. Acupuncture (93.5%), moxibustion (96.8%) herbmed (96.8%) was treated to most PCOS patients.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s were Ongyeong-tang (35.5%), Ijin-tang-gami (19.4%), Dodam-tang-gami (12.9%), and Jogyeongjongok-tang-gami (12.9%).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treat PCOS patients in Korean gynecologic clinical fields.

청 궁정희 『절절호음(節節好音)』을 통해 본 청(淸) 전기 북경(北京)의 공연 예술 (The Performing Arts of Beijing in Pre Qing Dynasty Era through the Perspective of Palace Drama, Jie Jie Hao Yin 『節節好音』)

  • 임미주
    • 공연문화연구
    • /
    • 제38호
    • /
    • pp.297-347
    • /
    • 2019
  • 『절절호음(節節好音)』은 청나라 궁정 연극이 가장 흥성했던 건륭(乾隆) 연간 내부(內府)에서 편찬한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 극본집이다. 그 속에 원단(元旦), 상원(上元), 연력(燕九), 상설(賞雪), 사조(祀竈), 제석(除夕) 총 6개 명절의 86개 절희(節戱)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건륭 연간 송구영신(送舊迎新) 연극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절절호음에서는 단지 곤강(崑腔)과 익강(弋腔)으로만 희곡 공연을 이어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다양한 가무, 가면극, 인형극, 강창 공연들이 첨가되어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주로 각종 신선들이 등장하여 명절을 맞아 천하가 태평함을 노래하고 명절의 상서로움을 드러내는 내용 속에, 삽연(揷演)의 방법으로 해학적인 내용의 짤막한 이야기나 다양한 연희 장르를 적극 활용하여 다채로운 무대 변화를 꾀하고 있다. 또 당시 연경(燕京)(오늘날의 북경(北京)) 지역 연구절 백운관(白雲觀)의 묘회(廟會), 상원절의 등시(燈市), 제석의 가시(街市)(요시(鬧市))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민속 활동의 모습을 다각도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그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백희(百戲) 자료들을 통해 청 초 북경을 중심으로 유행한 다양한 민간 연희 종목의 공연 양상을 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건륭 연간 북경 일대에 유행한 연희 종목 및 청 궁정에서 민간의 연희를 적극 수용하고, 발전·활용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시 임시 보철물의 주모형 마운팅 및 활용: 증례보고 (Mounting and utilization of provisional prostheses on master cast for the fabrication of fixe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a case report)

  • 유성조;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49-356
    • /
    • 2024
  • 교합이 붕괴되었거나 광범위한 수복 범위를 갖는 환자의 수복과정은 여러 시행착오 과정이 동반된다. 환자 구강 내의 정보를 정확히 교합기로 이전하는 과정은 심미적이고 안정적인 보철물의 제작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를 위해 정확한 주모형 제작 및 악간관계 기록 과정이 필수적이다. 광범위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예정된 환자의 악간관계 기록을 위한 방법은 기록상과 왁스 교합제를 이용한 방법, 임시 지대주와 패턴 레진 등을 이용한 바이트 블록을 이용한 방법, 임시 보철물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임시 보철물을 그대로 주모형 마운팅에 이용하는 방법은 악간관계 기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는 55세 여환으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치주질환으로 인해 다수치아의 상실이 관찰되었으며 발치와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하여 광범위한 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심미와 교합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였고, 임시 보철물을 그대로 주모형에 마운팅하여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및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후 환자의 심미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회복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대학기록관 홍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moting University Archives through Social Media)

  • 조민정;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7-10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록관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홍보 활동 및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홍보 현황과 한계를 조사하여 대학기록관의 소셜미디어 기반 홍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소셜미디어 내용 분석,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소셜미디어의 콘텐츠와 운영 측면으로 나누어 대학기록관 홍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콘텐츠 측면에서 주제 선정, 내용 작성, 플랫폼 관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 선정에 있어 학생들의 관심사를 고려하여 참여를 유도하며 정기 기획 코너를 통해 시류에 맞는 게시물을 꾸준히 올릴 것과 학생들의 일상과 연계된 게시물의 비율을 늘릴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대학기록관이 졸업 후에도 동문으로써 연관성이 있는 기관임을 강조하였다. 내용 작성 관련 제안으로 마스코트 및 캐릭터를 활용하고 친근한 어투를 사용함으로써 대학기록관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할 것을 제시하였다. 플랫폼의 경우 2024년 현재 소셜미디어를 운영하는 대학기록관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운영 측면에서 재학생 서포터즈 제도 도입과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를 통한 사례 공유나 타 기관의 사례 참조 및 예산과 인력의 확보에 있어 대학 경영진의 관심과 지원과 같은 인식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투석을 받고 있으며 신장 이식 수술 전 구강내 평가를 위해 의뢰된 말기 신장 질환 자의 치주 상태 (Periodontal status of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undergoing dialysis and referred for intraoral evaluation prior to kidney transplant surgery)

  • 최윤경;전혜미;주지영;김현주;권은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46-54
    • /
    • 2024
  • 목적: 투석을 받고 있으며 신장 이식 수술 전 구내 평가를 위해 의뢰된 말기 신장 질환자의 치주 상태를 신장 기능이 정상인 대상자들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말기 신장 질환으로 투석을 받고 있으면서 신장 이식 수술 전 구강내 평가를 위해 대학병원 신장 내과에서 치과진료센터로 의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주 상태의 비교를 위해 신장 기능에 이상이 없으면서, 나이와 성별이 부합하는 대상자를 추출하여 건강한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신장내과 진료 기록을 통해 환자의 연령, 성별, 동반질병, 받고 있는 투석의 종류, 투석 기간을 조사하였으며, 치주과 진료 기록을 통해 치주 상태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투석을 받는 환자 51명 및 건강한 대조군에 속한 51명을 합하여 모두 102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신장 이식 수술을 받기 전까지 투석을 받은 말기 신장 질환자들에서 건강한 대상자들에 비해 치주낭 깊이, 임상적 부착수준, 치주낭 깊이가 5 mm 이상 되는 부위의 백분율, 임상적 부착수준이 4 mm 이상 되는 부위의 백분율, 탐침시 출혈이 일어나는 치아의 백분율, 상실치 수 등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투석을 받는 환자 그룹에서 중등도에서 중도 치주염을 지닌 비율이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투석을 받고 있으며 신장 이식 수술 전 구강내 평가를 위해 의뢰된 말기 신장 질환자의 치주 상태는 연령과 성별이 유사한 건강한 대조군에 속한 대상자들에 비해 악화된 상태였다.

소아 및 청소년 2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성용;신충호;양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6호
    • /
    • pp.754-763
    • /
    • 2002
  • 목 적 : 소아, 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어지나 최근에는 소아, 청소년에서도 2형 당뇨병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소아, 청소년의 2형 당뇨병의 임상 양상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환자 중에서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 진찰상 흑색 극세포증을 보인 경우, 그리고 혈청 혹은 소변 C-peptide가 정상 혹은 증가된 경우 등의 2형 당뇨병의 진단을 지지하는 소견들 중 2가지 이상을 보이고 항GAD 항체가 음성일 경우를 임의적으로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거나 인슐린 치료를 받다가 끊을 수 있었던 경우는 위의 지지소견 들이 2가지 미만인 경우에도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대상 환자 33명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 양상, 인구 통계학적 양상, 검사결과, 치료방법 및 반응 등에 대해 임상적인 고찰을 하였다.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인슐린을 사용한 군과 2년 안에 인슐린을 끊을 수 있었던 군의 임상적 양상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진단시 나이는 평균 $13.4{\pm}1.8$세로 10대 초반이 다수였다. 23명의 환자 중 16명(69.6%)이 진단 시 사춘기에 해당하였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4.3{\pm}4.2kg/m^2$이었고 $25kg/m^2$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가 32명 중 16명(50%)이었다.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33명 중 24명(72.7%)이었다. 흑색극세포증은 6명(18.2%)에서 관찰되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등의 증상을 보인 경우가 14명(42.4%)이었고, 요당이나 고혈당이 우연히 발견되어 진단된 경우가 19명(57.6%)이었다. 치료방법으로는 인슐린 단독치료가 25명(75.8%), 경구 혈당강하제 단독사용이 3명(9.1%)이었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 경우가 3명(9.1%), 운동과 식이요법 외에 약물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가 2명(6%)이었다. 15명(45.5%)이 인슐린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와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2년 이상 인슐린을 쓴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 론: 소아, 청소년에서의 2형 당뇨병은 증상의 발현이 뚜렷하지 않으며 사춘기, 비만, 가족력과 관계가 깊었다. 소변과 혈청에서의 C-peptide 농도 측정에서 증가 또는 정상 소견이 보일 경우, 췌세포 자가 항체가 음성인 경우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좀 더 나은 1형 당뇨병과의 감별방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수의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초기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였고 혈당 조절이 호전된 후 끊을 수 있었으나 진단 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응용곤충학회의 첫 50년 역사 (History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for its First Fifty Years)

  • 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71-190
    • /
    • 2012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SAE) celebrates its First 50 years history this year, 2011. It began in the year 1962, as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rotection (KSPP) to discuss all aspects of plant protection including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At that time it was one of the earliest scientific ones among agricultural societies in Korea. Befor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 were a few scientific societies for Japanese scientists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It seemed that there was a single exception, in medical field, formed by and operated for Korean ethnics. Righ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scientists rushed to form new scientific societies in the fields of mechanical engineering, architecture, textile, internal medicine, biology, etc. in 1945, mathematics, chemistry, metallurgy, etc. in 1946, and so on. But agricultural scientists had to wait for more time before setting up their own scientific society, Korean Agricultural Society(韓國農學會), comprising all agricultural subfields, in 1954. They had annual meetings and published their own journal every year until 1962. Then those working in the plant protection field established their own KSPP, right after their section meeting in 1962. At that time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for KSPP were only around 50. KSPP scientists were interested in plant pathology, agricultural chemicals, weed science, or bioclimate, besides entomology. They had annual meetings once or twice a year until 1987 and published their own journal, Korean Journal of Plant Protection (KJPP), once a year at the earlier years but soon gradually increasing the frequency to four times a year later. Articles on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occupied about 40% each, but the number of oral or posters were a little bit higher on plant pathology than entomology, with the rest on nematology, agricultural chemicals, or soil microarthropods. There also had a number of symposia and special lectures. The presidentship lasted for two years and most of president served only one term, except for the first two. The current president should be $28^{th}$. In the year 1988, KSPP had to be transformed into the applied entomology society,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KSAE), because most of plant pathologists participating left the society to set up their own on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in 1984. Since that time the Society concentrates on entomology, basic and applied, with some notes on nematology, acarology, soil microarthropods, agricultural chemicals, etc. The Society has been hosting annual meetings at least twice a year with special lectures and symposia, from time to time, on various topics. It also hosted international symposia including binational scientific meetings twice with two different Japanese (applied entomology in 2003 and acarology in 2009) societies and the Asia-Pacific Congress of Entomology in 2005. The regular society meeting of this year, 2011, turns out to be the 43rd and this autumn non-regular meeting would be the 42nd. It has been publishing two different scientific journal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KJAE) since 1988 and the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JAPE) since 1998. Both journals are published 4 times a year, with articles written in Korean or English in the first, but those in English only in the latter with cooperation from the Taiwan Entomological Society and the Malaysian Plant Protection Society since 2008. It is now enlisted as one of those SCI(science citation index) extended. The highest number of topics discussed at their annual meetings was on ecology, behavior, and host resistance. But at the annual meetings jointly with the Korean Society of Entomology, members were more interested in basic aspects, instead of applied aspects, such as physiology and molecular biology fields. Among those societies related to entomology and plant protection, plant pathology, pesticide, and applied entomology societies are almost similar in membership, but entomology and plant pathology societies are publishing more number of articles than any others. The Society is running beautifully, but there are a few points to be made for further improvement. First, the articles or posters should be correctly categorized on the journals or proceedings. It may be a good idea to ask members to give their own version of correct category for their submissions, either oral or poster or written publication. The category should be classified detailed as much as possible (one kind of example would be systematics, morphology, evolution, ecology, behavior, host preference or resistance, physiology, anatomy, chemical ecology, molecular biology, pathology, chemical control, insecticides, insecticide resistance, biocontrol, biorational control, natural enemies, agricultural pest, forest pest, medical pest, etc.) and such scheme should be given to members beforehand. The members should give one or two, first and second, choices when submitting, if they want. Then the categories might be combined or grouped during editing for optimal arrangement for journals or proceedings. Secondly the journals should carry complete content of the particular year and author index at the last issue of that year. I would also like to have other information, such as awards and awardees in handy way. I could not find any document for listing awards. Such information or article categorization may be assigned to one of the vice presidents. I would rather strongly recommend that the society should give more time and energy on archive management to keep better and more correct history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