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Knowledge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12초

일부지역 보건 및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 윤성욱;장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198명과 비보건계열 203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학년에서 3,4학년, 학과는 보건계열, 치과정기검진과 치과교육경험은 받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경로는 친구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지식의 '칫솔질 시 혀를 닦는 것이 구취예방에 효과가 있다'가 94.5%로 가장 높았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에서 보건계열이 높았다. 구강보건행태의 '혀닦기를 한다'가 평균 4.20으로 가장 높았다. '자신에게 맞는 칫솔질 방법을 알고, 시행하고 있다'와 '치주병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스켈링을 한다'가 보건계열이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의회귀분석 결과 Y(구강보건행태)=2.692+0.377(치과정기검진)+0.145(치과교육경험)+0.215(구강보건교육경로)+0.045(구강보건지식)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경찰공무원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Police Officers' Oral Health Behaviors)

  • 이미학;이혜진;오한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65-172
    • /
    • 2021
  •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광주지방경찰청 내 경찰공무원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지식,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보건교육 요구를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 처리한 결과, 구강 건강관리 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사람과 치과 방문 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강보건지식이 높았고(p<0.001), 원하는 구강보건교육은 전문가가 직접 구두로 설명하는 것과 올바른 칫솔질 방법이었다.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여부, 교육수준, 흡연여부, 보조구강위생용품사용과 치과방문경험이었다(설명력 4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경찰공무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강보건 사업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해양경찰들의 구강보건경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수준과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Relationship between Health Knowledge and Needs for Oral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Oral Health-related Experience of Some Maritime Police Officers)

  • 지윤정;윤현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22-329
    • /
    • 2015
  • 본 연구는 특수 직업군에 속하는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관련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계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해양경찰관 49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8문항, 구강보건교육 경험여부, 일반적 구강보건지식 13문항, 치주관련 지식 6문항, 치아우식병 예방관련 지식 6문항,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4문항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 중 104명(22.8%)만이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었다. 교육을 받은 경우 일반적 지식수준에서는 턱관절 관련 문항에서 지식수준이 차이를 보였고(p=0.026), 치주건강지식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예방관련지식에서는 불소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요구도에서는 구강보건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67.1%가 응답하였으며, 특히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77.9% 응답하였다(p=0.004). 선호내용으로는 올바른 잇솔질, 구강상담, 구강위생용품사용, 세치제 선택법, 영양 및 금연교육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해양경찰과 같은 특수 직업군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마련이 되어야 할 것이다.

증례보고 : 발달장애인 구강보건교육사업 전후 비교 (Case report : Comparative Study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황수정;김민지;송은주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0
    • /
    • 2020
  • A total of nine oral health educators for 17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oral health education once a week for four weeks. The oral health educators provided oral health knowledge education and individual toothbrushing teaching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in their 20s and 30s conducted oral health education without a guardian. Ten people who completed all the four pieces of training ha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othbrushing method and the recommended number of toothbrushing sessions a day, as well as a lack of growth in oral health knowledge. However, 58.8% of the individual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hereas, 52.9% expressed the desire for a re-education. Although the ratio of teachers to students was 1:2,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conducted four times, it was insufficient to promote a successful oral health behavior or knowledg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as a suggestion, oral health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ught to proceed with their guardians to promote the success of the training.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구강상태의 변화 (The Change of the Oral Health Status after Applying the D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6-213
    • /
    • 2013
  • 본 연구는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신념의 형성을 위해서 결혼이주여성들은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구강보건교육 실시 전과 실시 후가 구강건강 지식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진단해보고 실제적으로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구강건강증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한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2년 3월 26일에서 2012년 6월 30일까지 연구대상자는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51명으로 구성되었고, 구강지식과 인식을 사전-사후 조사했으며 인식에 변화가 있어 치과를 방문한 사람을 추후 조사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대응표본t검증,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인식에서는 구강상식,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영역에서 향상 나타났고 구강보건지식에서는 치주질환, 치아우식증, 잇솔질, 불소, 구취영역에서 구강보건인식에서 향상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지수(DMFT index)변화 즉 우식경험 미처치 치아수 (DT index)가 줄어들고 우식경험 처치치아수 (FT index)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구강보건인식. 지식 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지식의 변화는 행동의 영향을 주어 치주상태, 우식경험 영구치지수의 변화도 있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보건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추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예방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되어야할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임선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67-175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건강상태(${\beta}=-0.188$), 구강건강관심(${\beta}=-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일부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인식과 그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some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relevant influential factors)

  • 이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5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geared toward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of oral-health education programs in an effort to teach college students to be knowledgeable about oral health throughout their l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55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s for the basic oral health care of the college students investigated, 54.5 percent had ever visited a dental clinic over the last year, and 34.7 percent had their teeth scaled over the last year. Regarding self-awareness of current oral health state, 77 percent felt there s something wrong with their oral health. Concerning the correlation of their oral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to each selected variable, better internal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led to bett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As to their self-perception of oral health and influential factors, better toothbrushing, better dietary habits and periodical oral examination, which belonged to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followed by better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igher concern for oral health led to better oral health locus of control as well. Better toothbrushing, better dietary habits, periodical oral examination and better internal locus of control were concurrent with higher interest in oral health. Better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tronger concern for oral health were accompanied by better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 PDF

학교구강보건실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동 비교연구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in Students in Schools with and without a School Dental Clinic)

  • 문원숙;문선정;김은희;구인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1-140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oral health care knowledge,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hools with a dental clinic and those withou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November of 2012. The subjects were 1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d the SPSS(Ver.17.0) Program was used for the collected data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a t-test, and ANOVA. For oral health knowledge, the operating school dental clinic (OSD) group had a high score of 6.72 points, while the non-operating school dental clinic (NSD) group had 5.95 point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For oral health behavior, the OSD group had a high score of 5.55 points, while the NSD group had 4.59 point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Students in schools with school dental clinics have much better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oral health than students without school dental clinics.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Which Affect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 이다인;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0-486
    • /
    • 2013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구강보건 지식, 태도, 행위와 구강 자각증상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을 조사하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편의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39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보건지식, 태도, 행위 및 구강자각증상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변수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OHIP-14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자각증상이었고, 구강보건행위는 간접효과가 있었다. 구강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행위였고, 구강보건지식과 태도는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였고, 구강보건지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강자각증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해 간접효과가 확인된 구강보건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근로자의 구강자각증상을 줄이기 위한 구강검진 및 진료사업과 구강보건행위 향상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사업이 포함된 근로자 구강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보건계열학과와 비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의 구강위생지식 및 관리 실태 (Oral Hygiene Knowled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for the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and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 이종도;신두만;박종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47-45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hygiene knowled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for the students in the public health and non-public health Departments. Methods: The survey sample consisted of 262 randomly selected students. 197 of them are 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and 65 are non-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 items for general information, oral health status of 2 items, 5 items for Oral hygiene knowledge and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of 5 item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rosstab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Win 19.0 statistics program. Result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53.8% of first-year student, 26.0% of second-year student and 20.2% of third-year student among 52.3% of males and 47.7% of females. The subjects received less than "100,000" won(13.0%), "100,000-190,000" won (5.0%), "200,000-290,000" won(30.9%), "300,000-390,000" won (33.2%) and more than "400,000" won(17.9%) a month for an allowance. The subjects had 'none' (44.3%), '1'(6.5%), '2'(12.6%), '3'(5.0%), '4'(5.3%), 'more than' 5(0.8%) of dental caries and 'do not know' were 25.6%. The numbers of dental prosthetics were 'no' (35.5%), '1'(13.7%), '2'(17.2%), '3'(10.3%), '4'(11.5%), and 'more than 5'(11.8%). The public health students(84.8%) had a higher positive response rate than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66.2%). The public health students(80.2%) had a higher negative response rate than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78.5%) in the result of onset of gum disease pain awareness. The non-public health students(65.5%) had a higher negative response rate than the public health students(68.3%)) in the result of heredity of gum disease. The t-test showed that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M=8.264, SD=0.821) had more knowledge about oral hygiene tha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M=8.015, SD=1.082). 'do not use' in the oral care products except toothpaste and toothbrush showed that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60.4%) use the products more tha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66.2%). Conclusion: In this study, 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had higher oral hygiene knowledge and actual condition of oral care compared to non-public health-related students, but low in practical action. Due to the lower level of dental care products use in non-public health-related department, a continuous oral care education program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