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7초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 및 관능적 특성 (Preparation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 이조윤;배형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67-974
    • /
    • 2009
  •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의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백년초 분말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백년초 발효유를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백년초 분말 0.1, 0.2, 0.5와 1.0%를 발효유에 첨가하여 배양하였고,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유 지표가 되는 pH 4.5에 도달하는 배양 시간이 빨라졌으며, 대조구의 경우 배양 6시간 이후에 적정 산도 1.0%와 유산균수 $10^8\;CFU/mL$ 이상 되었고,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는 모두 6시간 전에 적정 산도 1.0%와 유산균수 $10^8\;CFU/mL$ 이상 도달하였다. 발효유의 점도는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대조구가 620 cp인데 비하여 1.0% 첨가 발효유는 980 cp로서 상당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백년초 발효유의 저장 중 유산균수는 대조구가 저장 20일 이후에 급속히 저하하여 $10^8\;CFU/mL$에서 $10^{6{\sim}7}\;CFU/m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한 반면 모든 백년초 발효유에서는 저장 30일까지도 $10^8\;CFU/mL$이상의 유산균수를 유지하였다. 백년초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유를 급여한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월등히 높아 증체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110% 이상 유의성 있는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p<0.05). 이유자돈의 분변 중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은 발효유와 백년초를 첨가한 발효유를 급여한 처리구가 7.5 ppm 이하로 대조구에 비하여 80% 이상 감소하였다. 그러나 증체율, 사료 요구율 및 분변 중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에서 발효유와 백년초 분말 발효유를 급여한 처리간의 유의성은 없었다(p<0.05).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의 관능검사 결과는 전반적으로 0.1과 0.2%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0.5%와 1.0% 첨가구에서는 낮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백년초 분말을 첨가하여 발효유를 제조할 경우, 발효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저장 기간을 상당히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며, 장내 환경 개선에도 효과적일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백년초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수록 관능에 따른 품질이 떨어지므로 향후 이를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손바닥 선인장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생리활성(I)-일반약리검색 (Screening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Fruit and Stem of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이정규;이영철;문영인;박희준;한용남;최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32권4호통권127호
    • /
    • pp.330-337
    • /
    • 2001
  • Prickly pear(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Cactaceae) is a tropical or subtropical plant, which is widely used as folk medicine for burned wound, edema and indigestion. Screening on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fruits(OFS-Fr) and stems(OFS-St) of the plant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pharmacological significance. By hot plate and acetic acid-inducing writhing methods, significant analgesic effects of OFS-Fr and OFS-St were found in mice and anti-edemic effect was observed in carrageenin-induced inflammatory rats. However, the extracts showed no significant actions on central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lood circulatory system, which imply no toxic effects to animal.

  • PDF

손바닥선인장 줄기 가수분해 분획물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hydrolysis compound of cactus ste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 정승희;이남실;지보영;박미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34
    • /
    • 2008
  •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줄기 가수분해 분획물(MBT-01108)의 어병세균에 대한 in vitro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어병세균은 Edwardsiella tarda, Listonella anguillarum, Vibrio sp., Lactococcus garvieae, L. raffinose, Streptococcus parauberis, S. iniae 등 총 18종이었다. 또한, oxytetracycline을 포함한 시판 항균제 disc를 MBT-01108의 항균활성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항균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MBT-01108은 실험에 사용한 어병세균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Constituents Isol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Lee, Yong-Sup;Kim, Hyoung-Ja;Jung, Seo-Yun;Lee, Eun-Ha;Cho, Jung-Sook;Jin, Chang-Bae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pp.115-121
    • /
    • 2007
  •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Cactaceae) is widely cultivated in Jeju Island (South Korea)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health foods such as tea, jam and juice. Its fruit and stem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as oriental folk medicine to treat diabetes, hypertension, asthma, burns, edema and indigestion. During the search for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tive neuroprotective agents, it was foun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stems and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effect. Using a chromatographic fractionation method, sever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is fraction. Among isolates, KYS50182 showed the most potent in vitro and in vivo neuroprotective activities, suggesting that the flavonoid can serve as a lead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neuroprotective agents by providing neuroprotection against oxidative and focal ischemic neuronal injuries.

  • PDF

백년초가 첨가된 시판 유과류의 기호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king/Disliking Attributes of Commercial Yugwa (Korean oil pastry product) Containing Baekn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류지혜;권용석;김양숙;이진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23-634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JAR (Just-About-Right) Rating and CATA (Check-All-That-Apply) Method for commercial Yugwa (Korean oil pastry products) containing Baeknyeoncho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0 participants, and five kinds of Yugwa samples (Control, B-YG, B-RY, B-WY and B-GB)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ith these samples, the B-RY sample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ry again (6.30/9)' and 'Recommend (6.24/9)'. The Control Sample, which was the traditional Yugwa, received the second highest score (Try again: 5.62/9, Recommend: 5.70/9). The liking attributes for these samples were related to eating convenience, familiar taste, traditional type and siz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Yugwa are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 taste and familiarity in an easy-to-eat size for consumers.

복분자와 백련초가 첨가된 닭가슴살 면류 개발 (Development of Chicken Breast Noodles Adding Rubus coreanum Miquel and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김수민;김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111-1117
    • /
    • 2009
  • 기능성 면류제조를 위해 사용된 복분자와 백련초의 기능성을 평가한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70% ethanol 추출물보다는 열수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이 높았으며 그 중 시료 농도 1,000 ppm에서 복분자 열수 추출물이 150.25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도 열수 추출물이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료 농도 1,000 ppm에서 복분자 열수 추출물이 69.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닭가슴살, transglutaminase, 활성글루텐, 복분자, 백련초 등을 첨가하여 조리면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면 익는 시간은 CB가 304초로 가장 짧았고, NCB가 779초로 가장 오래 걸렸다. 수분 흡수율은 CB가 146.3%로 가장 높았고 NCB가 61.5%로 가장 낮았다. 부피 증가율은 CB가 246.3%로 가장 높았고, NCB는 161.5%로 가장 낮았다. 국물의 탁도는 조리중 고형분의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CB가 0.421로 가장 높았고, NCBT가 0.240으로 가장 낮았다. 물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transglutaminase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hardness, cohesivness, springness 및 gumminess가 높은 물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color는 모든 시료에서 4.0 이상으로 나타내었고, flavor는 모든 시료군에서 전반적으로 2.6~2.8로 낮은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내었다. Chewiness는 CB와 NCB보다 CBT와 NCBT가 높게 나타났었고, overall acceptability는 transglutaminase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Chewiness 항목의 평가가 높았던 시료가 overall acceptability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소비자들이 면을 먹을 때 쫄깃한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Butanol Fraction Prepar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Cho, Jung-Sook;Han, Chang-Kyun;Lee, Yong-Sup;Jin, Chang-B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4호
    • /
    • pp.205-211
    • /
    • 2007
  • The fruits and stem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have been reported to exhibit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ons, including antioxidant, analgesic, anti-inflammatory, and anti-ulcer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effects of the butanol fraction (SK OFB901) prepared from the 50% ethanol extract of the stems on various types of neuronal injurie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excitotoxins, and amyloid ${\beta}\;(A_{\beta})$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Its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lso evaluated by cell-free bioassays. We found that SK OFB901 strongly inhibited the oxidative neuronal damage induced by $H_2O_2$ or xanthine/xanthine oxidase. In addition, it exhibited marked inhibition of the excitotoxic neuronal damage induced by glutamate, N-methyl-D-aspartic acid, or kainate. Furthermore, the $A_{\beta(25-35)}$-induced neurotoxicity was also significantly attenuated by SK OFB901. It was found to inhibit lipid peroxidation initiated by $Fe^{2+}$ and L-ascorbic acid in rat brain homogenates and scavenge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utanol fraction prepared from the stem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erts potent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mplying its potential ap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or management of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excitotoxicity, and $A{\beta}$.

백년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s)

  • 서권일;양기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45-359
    • /
    • 1999
  • 백년초(손바닥 선인장)는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는 선인장의 일종으로 오래전부터 그 임상효능이 알려져 여러 가지 기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 및 방법에 따른 백년초 추출물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백년초의 항균활성은 대체적으로 환류추출법이 상온에서의 진탕추출법보다 조금 강하게 나타났고, 각 용매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특히 Pseudomonas aeruginosa균주에 대해서는 진탕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이, Escherichia coli O-157균주에는 환류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시험균주에 비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년초 물추출물을 Salmonella enteritidis에 처리하였을 때 균체의 표층구조가 허물어지는 심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백년초 추출물의 첨가시 0.1% BHT의 첨가시 보다는 약하였지만 상당한 정도의 수소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의 조사에서도 0.1% BHT 첨가시와 같은 정도의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