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ogalvanic effec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Observation of Penning ionization using the optogalvanic effect

  • Jeong, Kee-Ju;Lee, Jun-Hoi
    • Journal of Korean Vacuum Science &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8-22
    • /
    • 2003
  • The optogalvanic effect is proposed and demonstrated as a technique for Penning ionization in a discharge of mixtures of metal vapors and rare gases. The gadolinium and argon mixture is used as a prototype. The lowest metastable of argon, 3P$_2$ (ls$\_$5/ in Paschen notation) at 93144 cm$\^$-1/, is within kT from the excited states of Gd ion. Thus Penning ionization occurs to an excited states of the ion. This process strongly alters the optogalvanic signal and has its own signatures.

  • PDF

Optogalvanic 효과를 이용한 펄스형 파장가변 레이저의 파장측정 (Wavelength Measurement of Pulsed Tunable Laser Using Optogalvanic Effect)

  • 정의창
    • 한국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81-187
    • /
    • 1993
  • 펄스형 파장가변 색소레이저를 사용하여 550~600nm 사이의 파장영역에서 Ne 원자의 OG(Optogalvanic) 스펙트럼을 구했다. 정확하게 알려진 전이에 해당하는 OG 신호의 파장을 기준 위치로 하여 색소 레이저의 파장을 측정하였다. 파장의 정확도는 ${\pm}$0.005nm이며, 각각의 OG 신호의 위치와 상대적인 세기를 표로 만들어 R-590, R-610 색소레이저 파장측정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속이 빈 원통형음극 방전의 전압-전류 곡선에서 음 저항 영역 관찰 (Observation of Negative Resistance Region in Voltage-current Curve of Hollow Cathode Discharge)

  • 이준회;이성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870-875
    • /
    • 2005
  • We measured the optogalvanic signal and discharge voltage-current(V-I) curve under the two different discharge conditions with different buffer gases, Ar, and Ne. When the Gd was used as a cathode material at low discharge current less than 10mA, a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current-voltage curve. Time resolved optogalvanic signal measurement were measured by the diode laser of which wavelengths correspond to metastable transition line of these gases (Ar, Ne). From these measurements,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 curve strongly depend on the Penning ionization process.

광전류 효과를 이용한 $Co_2$ 레이저 도플러 속도 측정기 (Laser doppler velocimetry using the optogalvanic effect of $Co_2$ laser)

  • 최종운;김용평;김윤명
    • 한국광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482-485
    • /
    • 1997
  • CO$_{2}$ 레이저의 광전류 효과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를 제작하였다. 단일파장의 레이저 광을 움직이는 물체에 조사하여 발생한 도플러 이동된 산란광의 일부를 CO$_{2}$ 레이저 공진기 속으로 되먹임시켜 레이저 고유주파수와 자체혼합시켰다. 자체혼합에 의해서 도플러 주파수로 변조된 공진기 속의 광전류 변화를 측정하였다. 광전류의 변화 주파수는 최고 60 kHz까지 발생하였고, 외부 산란물체의 속도벡터와 레이저 빔과 광축 사이의 코사인에 선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Ar Temperature of Hollow Cathode Discharge Plasma

  • 이준회;신재소;이숭직;이민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81-385
    • /
    • 2005
  • The plasma temperature of Ar gas in hollow cathode discharge were measured. This is done by measuring the line profile of the 1s/sub 8/-2p/sub 8/ transition in Ar, using a single-frequency diode laser. Low power diode laser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for investigation of the line profiles of Ar transitions in hollow cathode discharges. It turns out that the plasma temperature of Ar is 640∼783 K in the discharge current range at 7∼10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