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um harvest stag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수도(水稻) 가리시비(加里施肥) 효율향상(効率向上)을 위(爲)한 추비방법(追肥方法) (Topdressing method of Potassium for the better efficiency in rice)

  • 오왕근;유인수;박훈;김우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9-217
    • /
    • 1975
  • For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thod of potassium topdressing on rice the optimum time and amount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available data from nutriophysiological studies,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trials in fields. The followings were pointed out. 1. According to yield rice plants require more potassium around heading under water culture. 2. Potassium involves in harvest index, filled grain ratio, grain weight an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3. Potassium is lost after heading in most fields in spite of highest requirement during this period. 4. The higher $K_2O/N$ ratio in straw at harvest is, the higher the yield. 5. Relatively low efficiency of potassium fertilizer under the field condition may be due to improper application method rather than natural supply from soil and irrigation water. 6. Appropriate topdressing time appears at in effective tillering stage for the prevention of nitrogen excess and at 15 to 20 days after transplanting, ear formation stage and 5 days after heading for the prevention of soil reduction damage. Two times of topdressing for clayey soil and three times for sandy soil seems reasonable in practice together with nitrogen topdressing, 7. The reasonable ratio basal to topdressing of potassium fertlizer seems to be 2/3 and $N/K_2O$ ratio of fertilization for ear formation stage appeared also as 2/3.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벼 적정 등숙기간의 변동과 대책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 윤성호;이정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70
    • /
    • 2001
  • It was unusual crop weather for 1998 and 1999 compared with normal in Korea. The consecutive days of the optimum ripening period for rice plant that had daily mean temperature 21~23$^{\circ}C$ for 40 days after flowering, increased with long anomalies in 1998~99. The air temperature during ripening period was much higher tha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lower sunshine hour than norm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s of newly developed rice lines during those years. In response of rice cultivation to warming and cloudy weather during crop season, the yield shall be decreased. Most scientists agree that the rate of heating is accelerating and temperature change could become increasingly disruptive. Weather patterns should also become more erratic. Agrometeorologists could be analyzed yearly variations of temperature, sunshine hour and rainfall pattern focused on transient agroclimate change for last a decade. Rice agronomists could be established taking advantage of real time agricultural meteorology information system for fertilization, irrigation, pest control and harvest. Also they could b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response of the recommended and newly bred rice cultivars for suitable cropping plan such as cultural patterns and sowing or transplanting date. Rice breeder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vegetative type of flowering response like Togil rices as prospective rice cultivars corresponding to global warming because of the rices needed higher temperature at ripening stage than japonica rices, photoperiod-sensitive and thermo-sensitive ecotypes.

  • PDF

쥐오줌풀 개화·결실 특성과 적정 채종방법 및 육묘이식재배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ering, Bearing Fruit, Seed Harvesting and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 안영섭;허목;안태진;박춘근;김영국;박충범;백완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65-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bearing fruit, the optimum period, regions and methods for seed harvesting,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storage and germination, and the optimum period for sowing at nursery bed and seedling transplanting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The flowering and bearing fruit of Valeriana fauriei was developed from the before-year root. Optimum period for seed harvest of Valeriana fauriei was from late July to middle August, and optimum areas were the high elevated areas over 500 m above the sea level as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Using of net-bag for seed harvesting was the effective method to gather the full ripe seed, and bagging of net-bag was necessary from the season of middle May that was the flowering middle-stage. Germination rates don't show the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temperatures of storage as approximately 41% at $-20^{\circ}C$, $2^{\circ}C$ or $20^{\circ}C$ of seed storage temperatures.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was in $15{\sim}30^{\circ}C$ for seed germination at nursery bed. The optimum period for seed sowing at nursery bed was the late February, and the optimum period for seedling transplanting was the middle April.

Silver thiosulfate 전처리와 에틸렌 처리가 절화 아이리스 '블루매직'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ver Thiosulfate Pretreatment and Ethylene Exposure on Vase Life of Cut 'Blue Magic' Iris Flowers)

  • 김영아;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51-156
    • /
    • 2010
  • 본 연구는 절화 아이리스의 노화와 절화수명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이러한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STS 전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아이리스는 1 mM STS 용액에 30분간 전처리한 후 0, $3mL{\cdot}L^{-1}$ 의 에틸렌에 24시간 노출시켰다. 봉오리 상태에서 절화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STS 전처리후 에틸렌에 노출된 것은 4.2일, 에틸렌에 노출되지 않았던 꽃은 4.6일 이었다. 반개화 상태에 수확한 아이리스의 절화수명은 STS 전처리에서 길었다. 그러나 에틸렌 노출에 의해서는 수명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절화 아이리스는 외생 에틸렌에 민감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봉오리 상태에서 수확한 절화는 완전한 개화가 유도되지 않고 노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정도 개화가 진전된 꽃을 수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천속단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Loganin 성분 변이 (Variation of Yield and Loganin Content According to Harvesting Stage of Dipsacus asperoides Wall)

  • 안찬훈;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4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loganin content in Dipsacus asperoides Wall. Methods and Results: Dipsacus asperoides seedlings were planted within a nursery environment in early May 2015 and harvested in early, middle and late October 2015, and early November 2015. Harvest time did no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length, leaf width and aboveground dry weigh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oo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lateral roots was greater in the harvests from the late October and period thereafter. The highest values of root dry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in early November. Specifically, the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5 kg/10 a (index: 100) in early October to 358 kg/10 a (index: 175) in early November, in terms of root part weight. Loganin contents of D. asperoid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rvest times raging from 0.0766% in early October to 0.1704% in late November, thereb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in later harvest 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D. asperoides is early November, when the yield is the highest. Harves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loganin contents, which constantly increased from early October until early November.

Analysis of Feed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as Livestock Forage

  • Park, Myoung Ryoul;Seo, Min-Jung;Yun, Hong-Tae;Park, Chang-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6-124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feed value and usability of soybean varieties as livestock forage. In this study, three soybean cultivars, OT93-26,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harvested at R5 (beginning seed development)- and R6 (full seed)-reproductive stages for analyzing feed value of soybean. Days to R5 stage harvest of OT93-26 among the three soybean cultivars was 55 days and the shortest while Pungwon took 103 days to reach at R6 stage. The R6-harvested soybeans had higher dry matter (DM) yields and crude protein (CP) content than the R5-harvested. However, both DM and CP were the highest in the R6-harvested Geomjeongsaeol.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of Pungwon harvested at R5 were the highest whereas the R6-harvested Geomjeongsaeol had the lowest. Digestible dry matter (DDM), dry matter intake (DMI),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the R6-harvested Geomjeongsaeol and Pungw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5-harvested, but in case of OT93-26, those at R6 stage were low rather than those at R5 stage. However, soybean could be used as alternative forage with high feed value for livestock. Taken together, Geomjeongsaeol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new forage soybean varieties with high feed value, and R6 would be the optimum harvesting stage for yield and quality of forage soybean.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2. 호남지방(익산)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2. Honam region(Iksan))

  • 서성;김원호;이준희;박태일;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24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을 선발하고자 전북 익산에서 보리(5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등 4작목 13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4월 $26{\sim}5$월 1일, 유숙기는 5월 중순,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ha당 $6.66{\sim}10.47$톤, 평균 ADF는 $31.64\%$, NDF는 $62.2\%$였고, 5품종 중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 및 성숙이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역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7.51{\sim}11.96$톤, 평균 ADF는 $30.6\%$, NDF는 $60.1\%$였다. 호밀은 출수기가 4월 26일경이었으며, 초장이 140cm 내외로 개화 이후 도복이 심하였고, 개화기 건물수량은 17.26톤으로 많았으며, 사료가치는 ADF $38.6\%$, NDF $65.5\%$로 가장 낮았다. 중만생 IRG는 출수가 늦어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며, 조생 IRG는 4월 30일에 출수 되어 개화기 전후(5월 중순경) 수확이 유리하고, 개화기 기준 건물수량은 10.77톤, ADF $31.6\%$, NDF $59.2\%$로 양호하였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호밀, 보리, 조생 IRG, 밀로 추정되었다.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보리(알보리)와 조생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도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

검정콩의 등숙기간 중 Isoflavone과 Saponin 함량변이 (Variation of Isoflavone and Saponin During Maturity in Black Soybean)

  • 이은섭;김희동;채제천;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4-41
    • /
    • 2008
  •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검정콩의 isoflavone과 soyasaponin ${\alpha}g$${\beta}g$의 축적 추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들 항산화 성분을 고함유한 고 기능성 검정콩 생산을 위한 재배기술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검정콩의 등숙기간 중 항산화 성분인 isoflavone과 soyasaponin ${\alpha}g$${\beta}g$의 함량은 대체로 수확기$(R_8)\;6{\sim}7$일전에 가장 높았다. 이는 고항산화 콩을 생산하려면 수량 중심의 수확시기보다 $3{\sim}7$일 정도 빨라야 함을 의미한다. 2. 검정콩 종실의 등숙기간 중 총 isoflavone 함량은 일품 검정콩은 개화 후 61일, 흑청콩은 개화 후 77일에 가장 높았다. 검정콩 종실의 soyasaponin ${\alpha}g$${\beta}g$의 함량은 일품 검정콩은 개화 후 61일에, 흑청콩은 개화 후 71일에 가장 높았다. 3. 검정콩 잎의 등숙기간 중 총 isoflavone함량은 일품검정콩과 흑청콩 모두 개화 후 55일에 가장 높았다. 검정콩 잎의 soyasaponin ${\alpha}g$의 함량은 일품검정콩은 개화 후 $18{\sim}41$일, 흑청콩은 개화 후 $55{\sim}71$일에 높았다. 4. 검정콩 잎의 생리활성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아 이를 신소재 기능성 농산물로 활용 및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검정콩 잎을 신소재 기능성 농산물로 활용하기 위한 수확적기는 종실비대가 완료되는 생리적성숙기($R_7$)이었다.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3. Yeongnam region (Milyang))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고종민;임시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2007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을 선발하고자 경남 밀양 영남농업연구소에서 보리(5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3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4월 $20{\sim}24$일, 유숙기는 5월 $9{\sim}10$일, 황숙기는 5월 $21{\sim}24$일이었다.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ha당 $7.89{\sim}9.66$톤이었으며, 평균 ADF는 29.7%, NDF는 56.3%였고, 5품종 중 알보리와 내한쌀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 및 성숙기가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며(평균 ADF 29.2%, NDF 54.8%),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9.13{\sim}10.38$톤이었다. 호밀은 출수기가 4월 $20{\sim}24$일이었으며, 초장이 148cm 정도로 개화 이후 도복이 심하였고, 개화기 건물수량은 13.64톤, 사료가치는 평균 ADF 35.0%, NDF 59.9%로 가장 낮았다. 중만생 IRG는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나 조생 IRG는 5월 2일 출수로 개화기 전후(5월 13일경)수확이 유리하고, 이 때 건물수량은 5.51톤이었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보리, 호밀, 조생 다수성 IRG, 밀로 추정된다.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정 사료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5월 중순 수확이 가능한 보리(알보리, 내한쌀보리)와 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1. Middle region(Suwon))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7-216
    • /
    • 2004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 및 품종을 선발하고자 경기 수원 축산연구소에서 보리(3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1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5월 1일, 유숙기는 5월 15일경,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초장은 87cm, 건물수량은 ha당 $7.30{\sim}9.58$톤, TDN 수량은 $4.75{\sim}6.24$톤이었으며, 알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가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여(TDN $66.5\%$)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8.17{\sim}10.82$톤, TDN 수량은 $5.33{\sim}7.31$톤이었다. 호밀의 출수기는 4월 $27{\sim}29$일이었으며, 초장이 127cm로 개화이후 도복이 관찰되었고, 공시작목 중 사료가치는 가장 낮았으며, 개화기 기준 건물수량은 10.18톤, TDN 수량은 6.03톤이었다. 중만생 IRG는 출수가 늦어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며, 조생 IRG는 5월 7일에 출수되어 개화기 전후(5월 중순경) 수확이 유리하고, 이때 건물수량은 4.48톤, TDN 수량은 2.96톤이었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호밀과 보리였으며,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호밀과 보리(알보리)가 추천되었고, 조생 다수성 IRG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