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농촌 소규모 유역의 지하수 적정개발량 평가 (Evaluation of Optim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for a Rural Small Watershed)

  • 박기중;손성호;정상옥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307-3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optim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for a rural small watershed. The optim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in this experimental watershed is 13.8 %($0.67{\times}10^6m^3$) of the annual rainfall by SCS-CN method. The Visual MODFLOW analyses showed the optimal amou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were 14.9 %($0.72{\times}10^6m^3$) of the annual rainfall.

  • PDF

Reviewing the Assessment of Optimal Yield of Groundwater in Korea

  • Soo-Hyoung Lee;Jae Min Lee;Se-Yeong Ham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511-522
    • /
    • 2024
  • The optimal yield is defined as the amount of groundwater that maintains a dynamic equilibrium state of the groundwater system over a long period. We examined the current problems, improvement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 optimal groundwater yield in Korea, considering sustainable groundwater development. The optimal yield for individual wells and the sustainable yield for the entire groundwater basin were reviewed. Generally, the optimal yield for individual wells can be determined using long-term pumping and step drawdown tests. The optimal yield can be determined by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economic, and water use rights factors. The optimal yield of individual wells in the groundwater basin must be determined within the total sustainable amount of the entire groundwater basin, such that the optimal yield of a new well must be less than the remaining total sustainable amount, exempting the total optimal yield of the existing wells. Therefore, the optimal yiel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estimated optimal yield at least twice per year. In addition, if groundwater level and pumping quantity data for at least one year are available, it may be effective to use the Hill, Harding, and zero groundwater-level change methods to re-estimate the optimal yield.

지하수자원의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방안 (Schemes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 홍상표;김정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2호
    • /
    • pp.49-57
    • /
    • 1996
  • On the basis of sustainable long-term water resources planning, the development of ground water resources should be interlocked with the surface water development In considering the intertemporal equity, overpumping of groundwater may diminish or eliminate the groundwater resources stock of post-generations. Regulatory landuse zoning for groundwater resources recharge area is indispensable measures to prevent groundwater pollution. Adequate treatment of polluted water from various sources such as municipal sewage, industrial wastewater, landfill site leachate, and abandoned boring wells, is also necessary for groundwater protection. To preserve groundwater resources as common property goods, groundwater use tax should be imposed upon the large scale groundwater use.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development license system is recommended to achieve the social optimal production and to avoid external diseconomy.

  • PDF

제주 서부 지역 해수침투 방지를 위한 적정 양수량 산정기법 (Optimal Groundwater Development Estimation to Prevent Saltwater Intrusion in Western Jeju Island)

  • 김민규;장선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527-535
    • /
    • 2018
  • 제주 서부 지역은 해수침투로 인해 농업 활동이 지장을 받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서부 유역을 대상으로 해수침투의 발생 원인을 밝히고 이에 따른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3차원 밀도기반 지하수 유동 모델인 SEAWAT을 사용하여 정밀 모델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담염수 경계면이 내륙방향으로 이동한 것은 몇십미터 수준이었으나 해수 쐐기에 의한 계절별 관정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밝혀내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부 지역에서 대표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는 고산 지역을 대상으로 해수 쐐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적정 양수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적정 양수량은 제주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가뭄 대응 기준수위 정책과 연계한 방식이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실제 사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국내 수자원 이용 취약지역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하수 기반 수자원 확보 방안 제시 (Proposal for the groundwater based countermeasures to secure water resourc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s vulnerable areas)

  • 김건;이재범;아거쑤아모스;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3호
    • /
    • pp.191-203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지하수자원 관리 취약성 평가에 따른 취약 지역 연구의 후속 연구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해낸 국내 지하수자원관리 취약 지역에 대하여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변화 및 해수침투 면적 변화의 현황을 지하수 유동 해석 프로그램인 MODFLOW를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2009년부터 2018년 10년간의 기초 자료를 이용한 분석 결과 지하수위는 하강하고 해수침투 면적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지하수위 상승과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안들을 조합하여 총 4가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최적 운영 방안을 적용하여 지하수위와 해수침투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방안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지하수자원 관리 최적 운영 방안은 국내 지하수자원 취약 지역뿐만 아니라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도 적용하여 효율적인 지하수자원 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가 될 것을 기대한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IS based groundwater modeling system

  • Lee, Saro;Park, Eungyu;Cho, Min-Jo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551-565
    • /
    • 2002
  • To carry out systematic groundwater assessment, exploration and management and to use these for protection of optimal groundwater yield, a data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hu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apply software that integrates GIS and groundwater modeling: GISGAM (GIS for groundwater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The GIS program ArcView and the groundwater-modeling program MODFLOW were used for the GISGAM. The program components consist of a pre-processor, a processor, and a post-processor for groundwater modeling. In addition, GIS functions such as input, manipulation, analysis and output of data were embedded into the program. In applying the program to pilot area, topography, geology, soil, land use and well databases, and a groundwater flow model were constructed for the study area. This case study revealed the advantage and convenience of groundwater modeling using GIS capabilities. By integrating GIS and the groundwater model, the impact of changing values of hydrogeological constants on model results could be more easily evaluated.

  • PDF

Real Options Analysis of Groundwater Extraction and Management with Water Price Uncertainty

  • Lee, Jaehyung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4호
    • /
    • pp.639-666
    • /
    • 2018
  • This paper analyses the investment options of groundwater development project under water price uncertainty. The optimal investment threshold price which trigger the investment are calibrated base on monopolistic real options model. Stochastic dynamic model is set to reflect the uncertainty of water price which follows the GBM (Geometric Brownian Motion) process. Our finding from non-cooperative investment decision model is that uncertainty of water price could deter the groundwater investment by considering the existence of option values. For policy markers, it is easy to manage 'charges for utilization of groundwater' rather than 'performance guarantee ratio' when managing groundwater investment with pricing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make comprehensive and well-designed polic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groundwater reservoir and groundwater developers.

지하댐에 의한 안정적 적정개발가능량 평가 (Assessmnnt of Optinal Amount of Water Resources by Groundwater Dam)

  • 박창근;박재현;김대근;양정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0-264
    • /
    • 2005
  • Effective use of water resource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because the deficit of water comes from population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refore, the conjunctive operation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ill become an alternative. Groundwater has many advantages for the evaporation and effect of rainfall compared with surface water. Although the available amount of groundwater is small, groundwater dam can be used complementarily because of the sustainable supply of water. A calculating technique of the optimal amount of water resources by the groundwater dam was developed. A pilot site was selected to assess the optial amount of groungwater for the designed groungwater dam. If the developed technique is more refined by the measured data, the groundwater dam will become a good alternative to develope the water resources in the water deficit area.

  • PDF

상주시 임곡리 굴착공의 적정양수량 결정 (Optimal Pumping Rate of a Water Well at Imgokri, Sangju City)

  • 조병욱;윤욱;문상호;이병대;조수영;김용철;황세호;신제현;하규철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255-265
    • /
    • 2017
  • 상주시 임곡리에 굴착된 심도 100 m 지하수공(PW-2)의 적정양수량을 산정하였다. 시추코아와, 물리검층 자료에 의하면 지하수 산출 심도는 26.1~26.5, 28.0~30.0, 33, 58, 71 m로 해석된다. 단계양수시험에 의하면 40, 55, 70, 90, $132m^3/d$의 양수량으로 70일간 양수시 수위강하량은 각각 6.48, 11.56, 18.07, 28.99, 60.26 m로 예상되었다. $117m^3/d$으로 250분간 실시한 일정량양수시험에서는 양수 경과시간 120~150분에 영향추가 불투수층 경계조건에 도달하여 급격한 수위강하가 일어나 PW-2의 한계채수량은 $90m^3/d$로 산정하였으며 이때의 수위강하량은 28.82~31.27 m이다. 적정양수량은 한계채수량의 범위내의 정류상태여야 하기 때문에 PW-2의 적정양수량은 $70{\sim}90m^3/d$로 제시하였다. 불투수층 경계조건에서 직선의 기울기가 급해지며 지하수의 DO와 ORP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PW-2를 중심으로 한 기반암지하수의 발달은 제한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최적의 지하댐 입지 선정을 위한 효율적 평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ethod to Evaluate the Optimal Location of Groundwater Dam)

  • 정진아;박은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3호
    • /
    • pp.245-25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하댐 입지조건에 대한 수치 모사 결과에 인공신경망 기반 반응 표면법을 적용함으로써 지하댐 건설에 따른 지하수 저류 가능량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입지조건으로 기반암 및 충적층의 수리전도도, 하도의 깊이, 하도의 지하수 유동 방향으로의 경사가 고려되었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한 몬테카를로 기반 수치 모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 암반층 수리전도도 및 하도의 깊이가 지하댐 저유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하도의 지하수 유동 방향으로의 경사도가 가장 미약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수치 모사 결과를 기반으로 설정된 입지조건과 이의 결과를 입력 및 출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인공신경망 기반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 결과, 모델을 통해 예측된 저유량과 실제 수치 모사를 통해 산정된 저유량 간의 상관성이 0.9 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비선형 예측 모델이 지하댐 개발 대상 지역에 대한 수치 모사 수행 없이 지하댐 건설에 따른 저유량을 즉각적으로 산정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발된 예측 모델은 서로 다른 지역의 저유 가능량을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비교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은 국내 전 지역에 대하여 지하댐 개발 최적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효율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