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s proble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9초

Performance Evaluation of MTF Peak Detection Methods by a Statistical Analysis for Phone Camera Modules

  • Kwon, Jong-Hoon;Rhee, Hyug-Gyo;Ghim, Young-Sik;Lee, Yun-Woo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1호
    • /
    • pp.150-155
    • /
    • 2016
  • To evaluate the autofocusing performance of recent mobile phone camera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peak position of the center field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known as the through focus MTF- of the module. However, the MTF peak position found by conventional methods deviates from the ideal position due to the focus scanning resolution of mobile phone cameras. This inaccurate peak position results in false judgements of the optical performance, leading to yield losses or customer complaints. An increase in the focus scanning resolution can address this problem, but the manufacturing UPH (Unit per Hour) level will also unfortunately increase as well, resulting in a loss of manufacturing capabilities. In this paper, several fitting models are studied to find an accurate MTF peak posi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n analysis of a large amount of manufacturing data, it is demonstrated that the fitting methods can reduce false judgements and simultaneously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the manufacturing system.

사출금형을 이용한 비구면 렌즈의 제조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Aspheric Lens using Injection Molding)

  • 최헌종;이석우;강은구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2년도 금형가공 심포지엄
    • /
    • pp.76-83
    • /
    • 2002
  •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plastic optics is basically same as the conventional molding except it requires very intricate control of all the molding processing parameters. In the plastic optics, the problem of injection molding is the shrinkage. The shrinkage must be removed and predicted. This shrinkage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problems in precision molding because it can affect the focal length of a lens or the total performance of the optical system. This study focused on avoiding the shrinkage that the mold design allows for the optics. In making mold, the surface accuracy(P-V) of the lower and lower mold are $0.201{\mu}m\;and\;0.434{\mu}m$ respectively. A surface roughness(Ra) is below $0.02{\mu}m$ due to selecting the appropriate tools and using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in high degree. In injection molding of the plastic lens, mold temperature, resine temperature and injecting pressure are important process parameters. Injection molding process is carried out according to varying mold temperature and injecting pressure. As a result P-V(peak to valley) of spheric lens is $3.478{\mu}m$ and that of aspheric lens is $1.786{\mu}m$.

  • PDF

Measurement of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of Infrared Imaging System by Modified Slant Edge Method

  • Li, Hang;Yan, Changxiang;Shao, Jianbi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3호
    • /
    • pp.381-388
    • /
    • 2016
  • The performance of a staring infrared imaging system can be characterized based on estimating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The slant edge method is a widely used MTF estimation method, which can effectively solve the aliasing problem caused by the discrete undersampling of the infrared focal plane array. However, the traditional slant edge method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low precision of the edge angle extraction and using the approximate function to fit the edge spread function (ESF), which affects the accuracy of the MTF esti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slant edge method, including an edge angle extrac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edge angle extraction and an ESF fitting algorithm which is based on the transfer function model of the imaging system,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MTF estimation. This modified slant edge method presents higher estimation accuracy and better immunity to noise and edge angle than other traditional methods, which is demonstrated by the simulation and application experiments operated in our study.

Destripe Hyperspectral Images with Spectral-spatial Adaptive Unidirectional Variation and Sparse Representation

  • Zhou, Dabiao;Wang, Dejiang;Huo, Lijun;Jia, Pi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6호
    • /
    • pp.752-761
    • /
    • 2016
  • Hyperspectral images are often contaminated with stripe noise, which severely degrades the imaging quality and the precision of the subsequent processing. In this paper, a variational model is proposed by employing spectral-spatial adaptive unidirectional variation and a sparse representation. Unlike traditional methods, we exploit the spectral correction and remove stripes in different bands and different regions adaptively, instead of selecting parameters band by band. The regularization strength adapts to the spectrally varying stripe intensities and the spatially varying texture information. Spectral correlation is exploited via dictionary learning in the sparse representation framework to prevent spectral distortion. Moreover, the minimization problem, which contains two unsmooth and inseparable $l_1$-norm terms, is optimized by the split Bregman approach. Experimental results, on datasets from several imaging system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move stripe noise effectively and adaptively, as well as preserve original detail information.

Improvement of One-Cycle Controller Response with a Current Mode Controller

  • Ruzbehani, Mohsen;Zhou, Luowei;Mirzaei, Nasser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2010
  •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one-cycle control method is its excellent ability in line disturbance rejection. However, when it is used as a controller in dc-dc converters, it has an undesirable transient response. The voltage overshoot at the transient time, which usually exists in one-cycle controlled converters, is unwanted in many applications and it is sometimes hazardous.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combination of a one-cycle controller with a current mode controller, can improve the transient response and consequently the overshoot can be controlled. Therefore, the combined controller has the excellent line disturbance rejection of a one-cycle controller and the output current limiting capability of current mode controllers. Because in this scheme a one-cycle controller is the master controller, the problem of instability of current mode control, will not happen. By simulation and a practical prototype, the capability of the method is shown.

안경디자인의 경쟁력 제고을 위한 연구 (A Study of Eyewear Design For Competitive Power)

  • 박승온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01
  • 안경제품의 경우 디자인이 제품의 판매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디자인에 따라 2~4배까지 가격차가 발생하는 등 다른 어떤 상품보다도 디자인의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금의 안경산업은 기술과 품질력은 '생존경쟁'의 기본이고, 디자인과 브랜드는 '고속성장'의 기본이다. 중국을 비롯한 홍콩, 동남아시아의 후발 경쟁국들이 모든 분야에서 추격해 오고 있는 현실에서 디자인과 브랜드육성에 관심과 문제 해결방안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방안이 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우리나라 안경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이를 통한 수출 증대의 가능성은 획기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 PDF

Kepler의 망막 상 이론 형성 과정에서의 과학적 문제 발견과 귀추적 사고 (Kepler's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the Abductive Reasoning in his Discovery of the Retinal Image Formation)

  • 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35-84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시각에서의 망막 상 이론을 세우는 데 있어 Kepler가 어떻게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고 그의 이론 형성 과정에서 어떻게 귀추적 사고를 하였는가를 조사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과학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었다. 관련 문헌들의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Kepler의 망막 상 이론에서의 과학적 문제 발견은 당시 시각 이론에 대한, 그의 정확하고 적절한 광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비판적 분석으로부터 이루어졌으며, 그는 새로운 이론을 세우는 과정에서 이미 알고 있는 구면 렌즈에서의 광학적 현상을 눈의 메카니즘 설명에 도입함으로써 귀추적 사고의 과정을 거쳤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과학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이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는, 과학 창의성교수 자료의 개발에 있어서 프로그램 속에 Kepler의 과학적 문제 발견과 같은 상황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둘째로는, 적절하고 정확한 과학적 지식이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고 가설을 형성하는 데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이 지도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는, 학생 스스로 성공적인 문제 해결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이 그들로 하여금 새로운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는 데까지 이르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안경사의 RGP콘택트렌즈 처방 실태조사 (A Study on Prescription of RGP Contact Lens in Korean Optometrist)

  • 김영훈;박상배;김광배;김대현;임병관;선경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17
    • /
    • 2007
  • 1995년 이후 점차 증가 추세를 보이는 콘택트렌즈 분야에서 안경사의 콘택트렌즈 처방과 관련한 전문지식 습득정도와 검안기기, 환자에 대한 교육 정도, 콘택트렌즈 연장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서 안경원의 콘택트렌즈 처방 및 관리에 관한 문제점을 알고, 안경사 및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법률적인 제도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사 안경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응답자의 분포는 남자가 270명(67.5%), 여자가 130명(32.5%)이었으며, 안경광학 전공자가 89%를 차지하였고, 72.5%의 안경사가 RGP콘택트렌즈를 처방하고 있었으며, 27.5%는 경험이 전혀 없어 처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렌즈 처방 및 피팅 평가를 위해서는 세극등 현미경, 버튼램프와 플루레신 페이퍼와 같은 최소한의 검안기기가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정기검사(Follow-up)에서는 응답자의 83%에서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낮은 결과 값을 보였고, 전체의 83.5%에 해당하는 334명이 전문교육기관을 통한 임상위주의 연장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 PDF

프레넬 렌즈의 영상 왜곡 보정을 위한 최적의 광학설계 (3D Target Tracking System using Adaptive Disparity Motion Vector)

  • 고정환;이정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205-1206
    • /
    • 2008
  • In the conventional floating display system some image distortions might be occurred in the floating image plane, in which a flat screen has been mostly used for providing an adequate input image plane. In this paper, as a new approach to alleviate image distortion problem in a floating display system, a curved screen is suggested by through some computer simulation using an optics design program of Light Tools.

  • PDF

자동 시력표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optotypes test chart)

  • 송경석;김태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8
    • /
    • 2005
  • 시력 검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시력표는 세계적으로 공인된 시표가 사용되고 있다. 시력표에 사용되는 공인된 시표에는 Landolt 고리와 E 스넬렌 시표가 있으며, 이외에도 아라비아 숫자, 한글, 그림 시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부터 한천석 시력표가 멀리 쓰이고 있으며, 이후 청산 시력표, 진용한 시력표 등의 벽걸이형 시력표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벽걸이형 시력표는 조도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시력검사를 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은 자동화 디지털화 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가 등장되었다. 이는 높은 해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양한 차트를 제공하여 검사자가 효율적으로 검안을 할 수 있는 자동화된 total 검안 시스템으로써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빔 프로젝트 형태의 투영식시력표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과거 널리 사용되었던 일반 시력표의 차이점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빔 프로젝트를 사용했을 경우, Landolt 고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력과 비교하여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0%,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2%였으며, 일반시력표의 경우 1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12%, 2단계 높게 읽는 경우가 4%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