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or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OT제어망에서 다중 제어시스템 접근통제용 공개키 기반 운용자 인증 방안 (Public Key-Based Operator Authentication Mechanism for Access Control of Multi-Control Systems in OT Control Network)

  • 김대휘;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64-75
    • /
    • 2022
  • 운용기술 중심의 OT제어망내의 다중 제어시스템들에 접근하는 방법은 각각의 제어시스템이 제공하는 운용자 인증기술을 사용한다. 그 예로 ID/PW 운용자 인증기술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OT제어망은 다중 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각 제어시스템별로 운용자 인증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운용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제어시스템별로 인증정보를 관리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비즈니스 중심의 IT망에서는 SSO기술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를 OT제어망에 그대로 도입할 경우 OT제어망의 제한된 규모 및 신속한 운용자 인증 등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현실적인 대안으로 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운용자인증기술로 공개키 기반 인증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즉, OT제어망내의 모든 제어시스템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하나의 통합 공개키 인증서를 발행하고 이를 모든 제어시스템에 접근할 경우 활용함으로써 운용자의 인증정보관리의 단순화 및 제어시스템에 접근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하였다.

SCADA제어망에서 강화된 운용자 인증 방안 (Enhanced Operator Authentication Method in SCADA Control Network)

  • 조인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16-424
    • /
    • 2019
  • 정보기술(IT)망 및 운영기술(OT)망 영역 모두에서 컴퓨터에 접근을 위해서 사용하는 인증기술은 ID/PW, 공인인증서, OTP 등이다. 이러한 인증기술들은 비즈니스 중심의 IT망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인증기술이 동일하게 운영기술이 중심인 SCADA제어망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증기술들은 엄격한 제어가 요구되는 OT제어망 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자의 모바일 단말과 제어망의 물리적 단말주소 및 운용자 위치정보 특성을 활용하여 제어정보 처리가 중심인 OT SCADA제어망에 적합한 강화된 새로운 사용자 인증방안을 제안하였다.

Trust Based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for Secure Routing in WMN

  • Akilarasu, G.;Shalinie, S. Mercy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2호
    • /
    • pp.4661-4676
    • /
    • 2014
  • In Wireless Mesh Networks (WMN), an authentication technique can be compromised due to the distributed network architecture, the broadcast nature of the wireless medium and dynamic network topology. Several vulnerabilities exist in different protocols for WMNs. H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rust based authentication and key establishment for secure routing in WMN. Initially, a trust model is designed based on Ant Colony Optimization (ACO) to exchange the trust information among the nodes. The routing table is utilized to select the destination nodes, for which the link information is updated and the route verif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trust model, mutual authentication is applied. When a node moves from one operator to another for accessing the router, inter-authentication will be performed. When a node moves within the operator for accessing the router, then intra-authentication will be performed. During authentication, keys are established using identity based cryptography technique. By simulation results, we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enhances the packet delivery ratio and resilience with reduced drop and overhead.

그룹 환경의 사용자 인증 및 키 교환 서비스 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the User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Service for Group Environment)

  • 변진욱;이수미;이동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7-136
    • /
    • 2009
  • Over the years a password has been used as a popular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because of its easy-to-memorize property. But, most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services have focused on a same password authentication scheme which provides an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with the same password. With rapid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the fields such as mobile networks, home networking, etc., the end-to-end security allowing users to hold different password is considered as one of main concerns. In this paper, we consider a new authentication service of how each client with different own password is able to authenticate each other, which is a quite new service paradigm among the existing services. This new service can be used in the current or next generation network environment where a mobile user in cell A wants to establish a secure end-to-end channel with users in ceil B, C, and D using only their memorable passwords. This end-to-end security service minimizes the interferences from the operator controlled by network components. To achieve this end-to-end security, we propose an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service for group users in different realm, and analyze its security in a formal way. We also discuss a generic construction with the existing authentication schemes.

Fragile Watermarking Based on LBP for Blind Tamper Detection in Images

  • Zhang, Heng;Wang, Chengyou;Zhou, Xi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2호
    • /
    • pp.385-399
    • /
    • 2017
  • 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signal processing technique, the protection to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images has become a topic of great concern. A blind image authentication technology with high tamper detection accuracy for different common attacks is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 an improved fragile watermarking method based on local binary pattern (LBP) is presented for blind tamper location in images. In this method, a binary watermark is generated by LBP operator which is often utilized in face identification and texture analysis. In order to guarantee the safety of the proposed algorithm, Arnold transform and logistic map are used to scramble the authentication watermark. Then, the least significant bits (LSBs) of original pixels are substituted by the encrypted watermark. Since the authentication data is constructed from the image itself, no original image is needed in tamper detection. The LBP map of watermarked image is compared to the extracted authentication data to determine whether it is tampered or not. In comparison with other state-of-the-art schemes, various experiments prov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better performance in forgery detection and location for baleful attacks.

Quantum Secret Sharing Scheme with Credible Authentication based on Quantum Walk

  • Li, Xue-Yang;Chang, Yan;Zhang, Shi-B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7호
    • /
    • pp.3116-3133
    • /
    • 2020
  • Based on the teleportation by quantum walk, a quantum secret sharing scheme with credible authentication is proposed. Using the Hash function and quantum local operation, combined with the two-step quantum walks circuit on the line, the identity authentication and the teleportation of the secret information in distribution phase are realized. Participants collaborate honestly to recover secret information based on particle measurement results, preventing untrusted agents and external attacks from obtaining useful informa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quantum walk, the sender does not need to prepare the necessary entangled state in advance, simply encodes the information to be sent in the coin state, and applies the conditional shift operator between the coin space and the position space to produce the entangled state necessary for quantum teleportation. Security analysis shows that the protocol can effectively resist intercept/resend attacks, entanglement attacks, participant attacks, and impersonation attacks. In addition, the quantum walk circuit used has been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physical systems and experiments, so this quantum secret sharing scheme may be achievable in the future.

OSGi 서비스 플랫폼 환경을 위한 보안 아키텍처 (Security Architecture for OSGi Service Platform Environment)

  • 박대하;김영갑;문창주;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3호
    • /
    • pp.259-27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OSGi 서비스 플랫폼 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새로운 보안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이 보안 아키텍처에는 1)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2) 번들 인증 메커니즘, 3) 키 공유 메커니즘, 4) 권한부여 메커니즘이 포함된다. 사용자 인중 메커니즘에서는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SSO (single sign-on) 기능을 제공한다. 번들 인증 메커니즘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번들의 인증을 위해 PKI 기반의 전자서명과 대칭키 기반의 MAC을 함께 이용한다.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부트스트래핑 단계에서 수행되는 키 공유 메커니즘은 인증 메커니즘에서 사용되는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권한부여 메커니즘을 통해 서비스 번들의 제공자와 게이트웨이 오퍼레이터가 분산된 보안 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OSGi 스펙에서 추상적으로 명세한 보안 기능을 실제로 OSGi 환경에서 적용할 때 필요한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보안 아키텍처의 설계와 구현을 통해 해결 방안을 기술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운로드형 수신제한시스템(XCAS)에 적합한 PKI기반의 장치 인증기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Device Authentication Scheme Based PKI for Exchangeable CAS (XCAS))

  • 황유나;정한재;원동호;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4호
    • /
    • pp.347-360
    • /
    • 2010
  • 수신제한시스템이란 정당한 사용자만이 방송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이다. 수신제한시스템의 경우에는, 방송사업자 교체 시 셋탑 박스를 교체해야 한다는 점, 스마트카드에 의한 빈번한 오작동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9년에 XCAS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XCAS에서는 적합한 셋탑 박스(Set-top box)를 인증하기 위한 방식이 제안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CAS에서의 새로운 인증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XCAS에 적합한 인증서 구조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발급 절차를 제안한다. 제안 하는 셋탑 박스 인증기법은 MSO에서 셋탑 박스 인증시에 2개의 주체 간에만 통신하도록 구성 되어 효율성이 높다.

실시간 영상처리를 이용한 얼굴 인증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Fac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Real-Time Image Processing)

  • 백영현;신성;문성룡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3-199
    • /
    • 2008
  • 본 논문은 실시간 영상처리 기반의 얼굴 인증시스템 구현을 제안하였다. 실시간 얼굴 인증 시스템 구현을 위해 두 단계의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첫 번째 얼굴검출 단계에서 Wavelet 변환, LoG 연산자, Hausdorff 거리 매칭 알고리즘의 특징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얼굴 검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실시간 얼굴 인식을 위해 적용한 새로운 dual-line 주성분분석법은 일반적인 주성분분석법의 국부적인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라인에 수평라인을 결합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크기나 해상도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모의실험 결과 기존 알고리즘보다 더 우수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얼굴 인증시스템의 구현을 통하여 성능검증 및 실시간으로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응용을 위한 향상된 ID관리 프로토콜 (I2DM : An Improved Identity Management Protocol for Internet Applications in Mobile Networks)

  • 박인신;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1호
    • /
    • pp.29-38
    • /
    • 2012
  •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인한 인터넷 응용프로그램 활용의 증가는 3G 네트워크 이상의 네트워크 대역폭을 빠르게 잠식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속도 저하와 서비스 질 저하로 인한 기간통신사들의 시설투자비 증가 요구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아울러 모바일 네트워크 사용자의 폭증에 따르는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와 모바일 네트워크상의 ID관리문제를 촉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3G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인터넷 응용 서비스상의 사용자 ID관리와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제안된 IDM3G[1]를 기반으로 보다 향상된 인증관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I^2DM$ 프로토콜은 기존의 IDM3G 프로토콜이 MO를 통한 상호 인증을 수행하면서 발생시키는 부하를 모바일 인터넷 응용 서비스 제공자에게 일정 부분의 역할을 분산시킴으로써 모바일 및 서비스 제공자의 ID관리와 함께 네트워크 부하와 정보처리를 위한 프로세스 부하 그리고 송수신되는 패킷의 수를 보다 효율화한다. 향후 더욱 그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3G 이후의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수요를 대비하여 보다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