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ADR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OpenADR 2.0b 페이로드 트랜잭션 분석 모델 연구 (A Transaction Analysis Model for OpenADR 2.0b Payload)

  • 최민영;이준경;이경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3-30
    • /
    • 2017
  • 유동적인 전기 소비량과 소비자와 공급자가 실시간으로 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 반응에 기술이 있다. OpenADR은 이러한 수요 반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제적인 표준 통신 프로토콜이다. OpenADR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페이로드라는 XML 메시지를 사용하며, 본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수요 반응 서비스는 페이로드에 논리적인 요청, 응답을 사용해 제공한다. 이를 위해, OpenADR은 트랜잭션에 식별자로 'requestID'라는 XML 엘리먼트를 정의한다. OpenADR 2.0b 프로파일 사양 문서에서 트랜잭션 식별자에 설명은 있지만, 이해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모호한 트랜잭션에 설명은 OpenADR에 VEN과 VTN 구현에 취약점을 만들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 간 변환에 혼란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penADR 2.0b에 페이로드 트랜잭션 모호성을 해결하는 정의와 페이로드 트랜잭션을 분석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본 논문에서 제시한 분석 모델을 사용해 실제 트랜잭션 취약점을 탐지하는 사례를 보인다.

스마트 에너지 IoT를 위한 CoAP 기반 Lightweight OpenADR2.0b 프로토콜의 구현 및 분석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CoAP-Based Lightweight OpenADR2.0b protocol for Smart Energy IoT Environment)

  • 박헌일;김세영;강성철;박현진;김일연;최진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904-914
    • /
    • 2017
  •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을 위해 수요반응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고 지능화 된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OpenADR) 표준 프로토콜이 개발되었다. 최근 스마트 홈 중심의 에너지 Internet of Things (IoT) 분야에서도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스마트 홈 기기들에 수요반응 및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홈 에너지 IoT 환경에서는 많은 수의 초경량 디바이스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기존의 HTTP/XML 기반의 OpenADR 수요반응 프로토콜보다 경량의 메시지를 이용한 수요반응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Smart Energy IoT 환경에서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량의 CoAP/JSON 프로토콜에 기반 한 경량화된 OpenADR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기존의 HTTP/XML 형식의 프로토콜과 성능을 비교 및 검증하였다.

ICT 전력 융합을 위한 SEP 2.0과 OpenADR 2.0b간의 상호운용 매핑 모델 (An Interoperable Mapping Model between SEP 2.0 & OpenADR 2.0b for ICT Grid Convergence)

  • 최민영;이준경;이경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41-49
    • /
    • 2017
  • 'NIST framework and road map for smart grid interoperability standards' 기술 보고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발전 방향, 표준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식별된 표준 리스트, 사이버 보안 전략, 시험 인증 프레임 워크를 제공하는 문서이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의 표준 프로토콜인 SEP 2.0과 OpenADR 2.0이 그 예이다. SEP 2.0과 OpenADR 2.0은 기능적으로 HEMS와 스마트 그리드를 이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두 프로토콜 간에 상호운용 표준은 상기 문서에서 계획된 바가 없다. 또한, OpenADR 연합에서는 OpenADR 2.0과 SEP 2.0간의 상호운용을 위한 매핑 테이블을 정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발표했지만, 아직 공개한 정보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효율 개선 HEMS 개발에 있어 ICT 전력 융합을 위한 SEP 2.0과 OpenADR 2.0b간의 상호운용을 각 프로토콜의 표준 사양 문서 기반의 구문과 의미로 대응하는 매핑 모델을 제안 하고 수요 반응 서비스 시나리오 기반의 의미 매핑 기능 예제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분산자원 통합 관리를 위한 OpenADR2.0 및 TASE.2 기반 가상발전소 시스템 (Virtual Power Plant System using OpenADR2.0 and TASE.2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

  • 서종관;이태일;이휘성;박점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11-318
    • /
    • 2020
  • 가상발전소는 개별 분산자원의 통합 관리를 통해 계통운영에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 발전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발전시스템으로 가상발전소를 운영하기 위하여 국내 전력시스템 통신에 사용되는 TASE.2(Telecontrol Application Service Element) 표준과 분산자원 관리 기술인 OpenADR(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2.0 표준을 결합하여 상위 전력시스템과 하위 분산자원을 공통정보모델로 구성한 통신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분산자원의 기본 형태인 ESS를 TASE.2 SBO(Select Before Operate) 디바이스로 구성하고 관련 오브젝트를 OpenADR2.0 리포트 및 이벤트 서비스와 매핑하여 단일 시퀀스 타입으로 설계한다. 시뮬레이션 검증을 통해 두 표준에 준수한 데이터 교환 및 동작을 확인한다.

OpenADR 기반의 전력사용량 관리 알고리즘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Algorithm Based on OpenADR)

  • 김정욱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991-994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load management method based on OpenADR of smart grid. Previous demand side algorithm is restricted on reducing peak power. But,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performing the energy-sa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ower price utilizing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installed on the customer side in the case of hourly differential pric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system. And, we showed the integrated demand management software for 3 buildings.

개방형 자동 수요 반응 시스템 보안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Vulnerability Analysis of Open an Automatic Demand Response System)

  • 채현호;이준경;이경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33-339
    • /
    • 2016
  • 인터넷 기반 전력 수요 관리 망에서 소비자와 공급자간 전기에너지 공급과 사용을 최적화, 효율화하기 위한 기술은 스마트 그리드 망에서 핵심 요소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력 수요 관리 망에서 수요 반응 신호를 전기에너지 공급자와 시스템 제공자 및 사용자까지 전달하는 개방형 자동수요반응 표준 프로토콜은 openADR 2.0b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장 신뢰성 있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EPRI 오픈 소스를 사용하여 개발한 VEN, VTN 시스템의 다양한 공격 취약성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공격용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EPRI 오픈 소스로 구현한 VEN, VTN 시스템을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 결과 VEN, VTN 시스템이 파라미터 변조 공격, 서비스 플로우 변조 공격에 대한 보안 취약성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방형, 양방향 통신 환경의 스마트 그리드 망에서 openADR 2.0b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는 다양한 보안 취약성을 고려한 프로토콜에 특화된 보안 기술이 반드시 모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MI 네트워크 기반 수용가 자동 수요반응 시스템

  • 서종관;전희연;이재조
    • 정보와 통신
    • /
    • 제34권5호
    • /
    • pp.68-75
    • /
    • 2017
  • 본고에서는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네트워크 기반의 자동 수요반응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수요반응은 피크 수요 기간 동안 전력의 안정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으며, 수요반응의 범위와 효과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 수용가의 참여가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지역에 위치한 수용가를 대상으로 수요반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틸리티 또는 수요관리사업자와 고객 간의 수요반응 신호 교환과 정보 공유를 위한 통합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이기종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한 공통의 통신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AMI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IEC/PAS 규격인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version 2.0 (OpenADR2.0) 기술을 채택하여 수용가를 대상으로 한 자동화된 수요반응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한다. AMI 디바이스를 수요반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능은 유지한 채로 OpenADR2.0 프로토콜을 탑재하여 수요반응 기능이 추가된 디바이스들을 개발하였으며, 프로토콜 적합성 테스트와 필드 테스트를 통하여 자동화된 수요 반응 서비스 및 부하 감축을 검증하였다. 개발 소프트웨어는 OpenADR Alliance로부터 국제공인인증을 획득함으로써 수요 반응 시스템의 레퍼런스 통신 기술로 적용이 가능하다.

건물 에너지 수요관리를 위한 BEMS 연계형 수요반응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EMS linked Demand Response System for Building Energy Demand Management)

  • 이상학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6-41
    • /
    • 2016
  • 건물을 에너지 수요관리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 반응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에너지 수요관리 사업자의 출현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과 수요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자동화된 실시간 수요 반응 시스템 도입은 미흡하고 비용도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물을 대상으로 수요 반응 시스템 구축을 위한 OpenADR 프로토콜과 수요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환경에 적용하여 실증을 수행하였다. OpenADR은 표준 프로토콜로 사업자와 수요자원간의 이벤트 발생과 리포팅을 통해 자동화된 시스템이다. 또한 다양한 제어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는 건물을 대상으로 단일화된 제어 시스템 구축을 위해 웹 기반 건물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요 반응 이벤트 발생 시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개발된 결과물을 건물에 적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검증하고 감축량을 측정하여 수요반응 효과를 확인하였다.

Simulation of Low-Voltage Narrow-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s to Propagate OpenADR Signals

  • Matanza, Javier;Kiliccote, Sila;Alexandres, Sadot;Rodriguez-Morcillo, Carlos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7권6호
    • /
    • pp.656-664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power-line communications for sending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OpenADR) signals. In particular, we study main channel disturbances that can affect end-to-end communications and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studied in detail. Our analysis takes into account physical phenomena, such as background and impulsive noise sources, channel attenuation, and multipath effects, and considers the physical, network, and applications layers of the communications structure. The performance of the physical layer is the basis for computing the packet error rate. In analyzing application performance, we focus specifically on the latency in sever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f a channel is impaired only by background noise, latencies are less than 40 seconds. With the addition of impulsive noise in the channel, this value increases as long as 68 seconds. Using these figures, we find that power-line technology is more suitable for "slow" demand programs, such as day-ahead or day-of curtailments, rather than ancillary services markets, which require near-real-time communication.

오픈소스를 활용한 지능형 수요반응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Demand Response Platform Using Open Source Code)

  • 윤재원;이인규;최중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8호
    • /
    • pp.1116-1120
    • /
    • 2014
  • With the shift of the energy paradigm from supply side management to demand side management, demand resource management and demand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nergy industry. As a consequency,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provide a suitable demand response system. However, most of the demand response systems are based on the propriety products that cannot be modified.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n automated demand response system using an EnerNOC provided open source code. We implemented the demand response server (VTN) and demand response client (VEN), and validated the OpenADR2.0 compliances using the open source code. We also used an Arduino microcontoller to demonstrate the communication schemes to control various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