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bit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107초

The Improvement and Completion of Outcome index: A new assessment system for qua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 Hong, Mihee;Kook, Yoon-Ah;Kim, Myeng-Ki;Lee, Jae-Il;Kim, Hong-Gee;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99-211
    • /
    • 2016
  • Objective: Given the considerable disagreement between the Peer Assessment Rating (PAR) index and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Cast-Radiograph Evaluation, we aimed to develop a novel assessment system-the Improvement and Completion of Outcome (ICO) index-to evaluate the outcome of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Sixteen criteria from 4 major categories were established to represent the pretreatment malocclusion status, as well as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level of completion of outcome during/after treatment: dental relationship (arch length discrepancy, irregularity, U1-SN, and IMPA);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verjet, right and left molar position, ANB); vertical relationship (anterior overbite, anterior open-bite, lateral open-bite, SN-MP); and transverse relationship (dental midline discrepancy, chin point deviation, posterior cross-bite, occlusal plane cant). The score for each criterion was defined from 0 or -1 (worst) to 5 (ideal value or normal occlusion) in gradations of 1. The sum of the scores in each category indicates the area and extent of the problems. Improvement and completion percentag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pre- and post-treatment total scores and the maximum total score. If the completion percentage exceeded 80%, treatment outcome was considered successful. Results: Two cases, Class I mal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re presented to represent the assessment procedure using the ICO index.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improvement and completion of treatment outcome can be clearly explained by using 2 percentage values. Conclusions: Thus, the ICO index enables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orthodontic treatment objectively and consecutively throughout the entire treatment process.

부정유합된 상악골 골절로 인해 발생한 부정교합의 상악골 수평 골절단술과 후방분절 골절단술에 의한 치험례 (Le Fort I Osteotomy and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for Correction of Malunioned Maxilla)

  • 박희대;배윤호;박재현;이명진;진병로;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03-210
    • /
    • 1990
  •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영남의료원 치과로 교통 사고후 부정유합으로 인한 부정교합으로 저작 곤란을 호소하며 내원한 환자를 상악골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시행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통 사고후 부정유합된 상악골을 수평 및 후방 분절 골절단술을 이용하여 전방 치열의 반대 교합과 구치부의 개교 및 scissor's bite를 해소했다. 2. 술후 감염등 특기할 만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술후의 종창은 48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감소했다. 3. 수술후 악간고정은 8주간 시행했으며 악간 고정 제거 1주후 정상적인 개구가 가능했다. 4. 절단된 상악골 고정시 확고한 고정과 회귀성향을 줄이기 위해 miniplates로 고정했다.

  • PDF

교합유형에 따른 하악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MOVEMENTS IN RELATION TO OCCLUSAL TYPE)

  • 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46
    • /
    • 1983
  • Faces of normal occlusion, open bite and class III malocclusion were measured using cephalogram in 190 male and female subjects. Using M.K.G., types of mandibular movement, amou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were studied in relation to occlusal types, an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Movement of protrusion was most different in relation to occlusal type. 2. In normal occlusion, maximal protrusion were horizontal 7.66mm, vertical 3.01mm in male, 6.41, 2.92mm respectively in female and maximal inferior position were -24.32, 33.63mm in male,-23.48, 32.27mm respectively in female. 3. Angle between maximal inferior position and horizontal plane were $53.51^{\circ}$ in male, $53.84^{\circ}$ in female. 4. Generally,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 was greater in male than female. 5. In open bite, path of protrusion was nearly straight without curve $69.2\%$ in male, $70.2\%$ in female. 6. In class III malocclusion, angle and amount of protrusion were smaller than normal occlusion and path was directed anterior-superiorly in $22.7\%$. 7. There was no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asurement of face and mandibular movement.

  • PDF

관절원판전위와 갑작스런 교합변화가 발생한 환자의 임상증례 및 원인에 관한 보고 (Occlusal Change as a Sequela of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Case Reports)

  • 허윤경;정재광;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107-115
    • /
    • 2011
  • 교합이 완성된 성인에서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가 있는 경우에 과두흡수가 없는 상태에서도 갑작스런 교합의 변화 즉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한 환자 2명과 측방으로 중심위와 중심교합위 간 활주가 발생한 환자 1명과 그리고 전후방으로 중심위와 중심교합위 간의 차이가 발생한 1명의 환자를 관찰하였기에 증례 보고하는 바이며,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와 연관되어 교합의 변화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악교정 수술후 하악 근원심 골편의 위치 변화와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NGE OF MANDIBLE POSITION AND THE STABILITY AFTER ORTHOGNATHIC SURGERY)

  • 남광호;이상철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2호
    • /
    • pp.95-1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atterns of skeletal changes of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after one jaw surgery and two jaw surgery with posterior impaction using SSRO on mandible in order to determine the skeletal origin of relapse and compare the stability of surgical methods in anterior open bite. The points and lines from lateral cephalometrics were measured before, after surgery, and at least 6-month follow up period. And then,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proximal and distal segment were evaluated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cases of two jaw surgery, the results were stabler because they had less relapse factors. In cases of one jaw surgery, the value of APD were increased but it didn't relapse to the original value. Both of proximal and distal segments were responsible for the relapse tendency. But in one jaw surgery, the rotation of proximal segment was more responsible, and in two jaw surgery, the rotation of distal segment was.

전치부(前齒部) 개방교합자(開放咬合者)의 악안면(顎顔面) 골격(骨格)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IN ANTERIOR OPEN-BITE)

  • 김미경;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01-511
    • /
    • 199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raniofacial skeletal characteristics in anterior openbite group, in contrast to normal occlusion group, and also to find out, vertical factors which shows, correlate to the amount of anterior openbite. 21 individuals, including 10 males and 11 females, without orthodontic treatment history and anterior - posterior skeletal malrelationship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ic morphology and vertical factors, using standard lateral cephalogram. The obtained results as follows: 1. Comparison of anterior open-bite group with normal occlusion group using Moyers analysis. a) In basis morphologic analysis, Ba-SE-Me was lesser and Ba-SE-Mn. P. and Mn.P/A-B were greater in both sexes of anterior openbite group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b) In angle measurements of vertical analysis, PMV/Pal. P. was lesser in male anterior openbite group and PMV/Occ. P. and PMV/Mn. P. were greater in both sexes of anterior openbite group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c) In height ratio of vertical analysis, ATFH/PTFH and ALFH/ATFH were greater in both sexes of anterior openbite group than i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amount of anterior openbite was correlated with PMV/Occ. P. and PMV/Mn. P.

  • PDF

개방 교합 환자에서 자가 이식된 치아의 재식 (Replantation of autotransplanted mature third molar in anterior open bite patient: case report)

  • 김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1호
    • /
    • pp.52-60
    • /
    • 2023
  • 성숙된 치근을 갖는 제3대구치를 이용한 자가치아이식술은 효과적이며, 장기간 높은 성공률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이식술 이후 생착 여부에 대해 경과 관찰하는 기간동안 치아가 심한 동요도를 보이는 경우, 이를 실패로 간주하고 발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번 증례에서는, 자가치아 이식술 후 치아가 고정이 되지 않아, 구강 외로 탈락되었으나, 시기 적절히 재식을 시도하여 다시 생착을 획득하였고, 1년 이후까지도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보였다. 재식하였지만, 치근 흡수나 골소실도 보이지 않았다. 자가치아이식 후 교합적 문제로 고정을 보이지 않으나, 염증소견이 없는 치아라면 치조와에 재식하는 것이 발치에 앞선 대안이 될 수 있다.

참조영상 기반의 COF 결함 검출 및 분류 시스템 (COF Def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Reference Image)

  • 김진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99-190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초미세 패턴으로 구성된 칩-온-필름(Chip-on-Film, COF) 패키징 작업에서 발생하는 결함들을 참조영상에 기초하여 효율적으로 검출하고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COF패키징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결함은 개방(open), 일부개방(mouse bite, near open), 단락(hard short) 및 돌기(protrusion, near short, soft short)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직접 육안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전기회로 설계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많은 시간과 고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결함유무를 판단하고 결함이 발생되는 경우에 결함의 종류를 4 가지 형태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검사영상의 전처리, 관심영역 추출, 지역이진분석에 의한 이물 특징 분석과 분류 등을 포함한다. 수많은 실험을 통해, 제안된 시스템은 초미세 패턴을 가진 COF의 결함 검사 및 분류에 대해 기존의 방식에 비해 시간과 경비를 줄이는데 효과적임을 보인다.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전치부 개교합 발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Anterior Open Bite)

  • 허윤경;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93-303
    • /
    • 2007
  • 목적 :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연관되어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원인과 교합장치 치료가 개교합 발생과 연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2년간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에 턱관절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에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측방 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은 처음 병원에 내원할 때 개교합이 있거나 교합장치 치료를 제외한 치료도중에 갑자기 개교합이 유발된 군(22명), 2군은 교합장치 치료 도중에 개교합이 발생한 군과 이 기간동안 예전에 이미 교합장치 치료도중 개교합이 발생한 후 정기적 관찰 환자를 포함한 군(16명). 그리고 3군은 교합장치 치료 후에도 개교합이 발생하지 않은 군(20명)으로 구성되었다.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개교합 발생과 안면부 골격 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각 3군 간의 t-test 비교와 ANOVA를 이용해 3군 간의 골격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 1. 1군과 2군은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 2, 3군 모두에서 하악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변수들과 더 작은 ANB, 더 큰 FMA 값을 보였다. 2. 세군 간의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3군에 비해 더 큰 하악하연각 (a larger FMA, a larger SN to mandibular plane angle), 짧은 하악지, 더 큰 하악각을 가졌으며, 1군과 2군 간은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비슷한 수직적 부조화가 큰 골격형태를 가졌으며, 3군은 1, 2군과는 달랐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1군과 2군은 수직적 부조화가 큰 안모 형태를 보여 저작근의 작용 방향과 저작근 부착 위치에 따른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직적 부조화가 큰 경우일 때는 수직 고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좀 더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악관절 동통환자의 임상및 근전도학적 연구 (CLINICAL AND ELECTROMYOGRAPHICAL STUDIES ON THE PAIN DYSFUNCTION SYNDROM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 김종원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1-128
    • /
    • 1972
  • 14 patients, whose were attacked pain dysfunction syndrome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 Dental College Infirmary,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June 1970 to Dec. 1971, were examined regarding to clinical observation and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This paper established the followings: 1. Especially young female was more frequently attacked by pain dysfunction syndrome of Temporomandibular joint. 2. It is suggested that most of joint pain was occurred initially in opening mouth and forcible bite, and left side is more attacked than right side. 3. It was possible that this dysfunction can be occurred by open-bite, premature contact and ill-fitting prosthetic restoration. 4. Hoby, habit and bruxism as causal factors are not markedly related with this dysfunction. 5. Pain attacked regions, in most patients, are preauricular, joint itself, infra-auricular, cervical and external auditory meatus region. 6. In electromyographical studis, the musle activities of affected side of pain dysfunction syndrome are more strong than that of opposite s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