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Information Innovatio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4초

정보기술(IT)을 활용한 기업의 혁신 추진 전략과 핵심성공요인 도출 : 현대중공업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the Innovation and Strateg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 Case Study of Hyundai Heavy Industries Co.)

  • 김화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7-10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disruptive innovation strategy based on the Resources Process Values(RPV) theory for a successful firm. Disruptive innovations seemed not initially perform well enough to be sold or used successfully in markets. The products and services used disruptive technologies have not been as effective as those used in the established markets. However, they have other attributes such as simplicity, convenience, and low cost, which appeal to a new, small and initially unattractive set in new or low-end applications. The Hyundai Heavy Industries Co.(HHI) performed the Jubail Industrial Harbour Project(JIHP), which built the Open Sea Tanker Terminal(OSTT) in Saudi Arabia, using the disruptive innovation strategy in ord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ffshore jacket and to complete the project successfully. The HHI developed the design and drawing systems to manufacture the jacket and also developed the HYundai Jacket Analysis System(HYJAS) software to use the structural analysis against stresses from rolling and pitching of the barge while transporting the jacket by sea.

오픈 뱅킹의 특성이 오픈 뱅킹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pen Banking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to Use Open Banking)

  • 오은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12-321
    • /
    • 2021
  • 은행과 핀테크 기업 모두가 참여하는 오픈 뱅킹이 전면시행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제품, 서비스 및 비즈니스 등 사회 전반에 변화가 초래되고 있으며, 특히 금융회사를 포함한 금융환경 전반의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시스템과 환경이 변화할 때 마다 시스템 사용자들의 기술 수용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으며, 본 연구 역시 오픈 뱅킹의 특성이 기술수용모델의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오픈 뱅킹의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제공성과 서비스 상호작용성, 시스템 안정성 모두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오픈 뱅킹의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오픈 뱅킹은 데이터 공유, 재무 접근성, 은행 인프라, 상품 혁신 및 가격결정 등에 중대한 이익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예상치 못한 피해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국내 금융기관들은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라 사업 환경이 크게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핀테크 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동시에 금융 산업의 혁신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의 업무혁신과 파급효과 분석: 스마트워킹 사례를 중심으로 (SMB Work Innovation and Ripple Effect Analysis: Focusing on Smart Working Case)

  • 이정환;성정은;한영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4B호
    • /
    • pp.322-331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ICT 기술의 발달은 언제 어디서나 유연하게 근무할 수 있는 스마트워킹 여건을 성숙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업무혁신을 위한 스마트워킹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 종사자의 56.9%가 스마트워킹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이용의향에 있어서 60.1%가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냈다. 이에 따른 중소기업 스마트워킹 연관 시장규모를 추정해 보면 연평균 성장율(CAGR)은 17.5% 수준으로, 2010년 0.81조원에서 2014년까지 1.54조원으로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고, 2014년까지 누적 일자리 38만 개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Renovation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워킹을 도입하고 국가 산업적 측면에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한 중요 실행과제로서 일하는 방식의 혁신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한다.

개방형 혁신을 위한 R&D 협업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D Collaboration System for Open Innovation)

  • 강응호;홍성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06-208
    • /
    • 2011
  • 전통적 R&D 협업시스템은 불특정 사람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에서 독립적으로 일을 하는 협업 시스템으로 인터넷 기반의 소셜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나 위키(Wiki)와 같은 협업 툴을 통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협업적 작업을 위한 방법이 다양하고 외부에 많은 부분을 의존함으로써 프로젝트 참여자의 혼란이 가중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위한 개방형 R&D 협업시스템을 설계하고 커뮤니티 도구와 시맨틱 전문가 검색 시스템 개발을 통해 R&D 협업시스템을 구현하여 시범 서비스를 수행한 사례를 제시한다. 개방형 R&D 협업 시스템은 개방형 혁신의 개념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아이디어 수집을 위한 채널과 사용자의 행동 예측 및 정보 매칭 기술 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R&D 협업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미래 전 산업 연구 개발 분야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신기술 개발 역량: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적 역할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Exterior Informat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The Mediating Role of Product Planning Capability)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1-127
    • /
    • 2018
  • 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은 기술 융합 및 발전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업 환경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공적인 제품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을 창출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의 관점에서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 벤처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이러한 직접 효과에 미치는 제품 기획 역량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모형을 개발한다. 683개의 중소 벤처기업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소 자승 회귀 분석을 실시한 통계적 연구모형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주요 연구 결과를 제공 한다. 첫째, 중소 벤처기업의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신기술 개발 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 벤처기업의 제품 기획 역량은 외부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신기술 개발 역량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완전 매개한다.

개방형 기술혁신 기반의 지배적 디자인 기술개발 및 확보 전략 : 현대중공업의 HSP(High Skewed Propeller) 설계 및 생산 시스템 (Dominant Design Technology Strategy Based on Open Innovation : High Skewed Propeller(HSP) Design and Production System of Hyundai Heavy Industries Co.)

  • 안연식;김화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1호
    • /
    • pp.1-17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research model that demonstrates the dominant design technology strategy for developing and securing dominant design technology based on open innov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strategic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design technology, production technology, and production system of propeller which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ship propulsion system required by ship owners and shipbuilders. By studying large propellers for ships, it is possible to embody a strategic model that can be used as a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dominant design that is effective in technology field of other industries. In this study, HSP (High Skewed Propeller) strategy of Hyundai Heavy Industries, which occupies the largest global market share (47.5%, 2007) for more than 30 years until now, is analyzed as a successful case to verify this strategic model. The development and acquisition strategy model of dominant design techn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stages : dominant design project strategy, dominant design engineering technology strategy, dominant design production technology strategy, and dominant design production system strategy. The strategic model summarizes the key activities at each stage. In addition, the steps and core activities of this strategic model were confirmed through the case study. As a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HSP products, Hyundai Heavy Industries utilized open innovation technology to cooperate with outside, that is, collabo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team, and succeeded in achieving technology development of dominant design of HSP products by linking it with HSP technology development and acquisition strategy.

기술확산 통합모델을 통한 개방형 기관 리포지터리 수용의 영향요인 분석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cceptance of Open Access Institutional Repository Using the Integrated Technology Diffusion Model)

  • 정영미;배정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9-549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개방형 기관 리포지터리 확산을 위해 리포지터리 수용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개방형 기관 리포지터리 수용기관과 비수용기관을 대상으로 질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질문지는 수정된 기술확산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기술확산 통합모델은 혁신이나 기술이 특정 요인이나 계기를 통해서 사회전반에 확산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분석결과, 개방형 기관 리포지터리 수용을 결정하는 주요한 영향요인에는 사회적 특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기관의 특성, 혁신저항특성, 시스템 특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리포지터리 확산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지역혁신기관을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Vitalize Technical Innov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Firms Utiliz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 전기상;노규성;이승희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4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ield-oriented policy of regional innovation support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status quo of technical support ,performa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practical issu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ore techn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 firms are development fund, R&D employees, experimental instrument, technical informatio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subcontracting and so on. To make sure of practical effect, therefore, it would rather necessary to implement policy support linking government and supporting means on the ground of needs of small and medium firms than specific method such as funding.

  • PDF

중소기업 기술혁신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How to vitalize Technical Innovation of the Small and Medium Firms)

  • 이승희;노규성;김혜경;박래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101-1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ield-oriented policy of regional innovation support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status quo of technical support, performance satisfaction of consumers and practical issues. The key factors influencing core techn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 firms are development fund, R&D employees, experimental instrument, technical information,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subcontracting and so on. To make sure of practical effect, therefore, it would rather necessary to implement policy support linking government and supporting means on the ground of needs of small and medium firms than specific method such as funding.

  • PDF

개방형 혁신 성과향상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급사와의 신제품개발협력을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mproving Open Innovation Performance : Based on New Product Development Collaboration with Suppliers)

  • 이윤숙;강동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50-107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외부 혁신 원천의 하나인 공급사와의 기술협력을 중심으로 기술협력의 선행요인들을 식별하고, 이들 선행요인들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하여 2012년 산업통상부와 생산성본부가 함께 수행한 600개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MPS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기술협력의 선행요인으로 신뢰, 통제 및 정보공유를 사용하였고 이들이 공급사와 구매사의 기술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신뢰, 통제 및 정보공유가 기술협력을 매개로 하여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기업 간 신뢰, 통제 그리고 정보공유는 공급사-구매사의 기술협력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술협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신제품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요인 중 신뢰는 기술협력을 매개로하여 신제품 성과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기업이 다양한 외부 조직과의 혁신활동 수행에 있어 참여조직 간의 사회적 자산인 신뢰의 형성 및 관리가 개방형혁신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