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Access Journal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초

정보공유적 모델 기반의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저작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n Access Model for Scholarly Communication)

  • 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4-399
    • /
    • 2002
  • 저널을 중심으로 한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문제는 저작권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영리적 기관이 논문의 저작권을 배타적으로 양도받아, 원문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가격상승으로 인한 이용의 제한과 보존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보공유적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저자가 저작권을 가지되, 학술적이고 비영리적인 이용일 경우 해당 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공유적 라이센스를 채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이 학술논문의 원문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자유롭게 이용시킬 수 있으며, 학술정보의 보존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오픈액세스 논문 출판에 대한 동향연구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Open Access Articles)

  • 오경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45-151
    • /
    • 2020
  • 서비스 유료화로 제공되는 해외 전자저널의 구독료 상승은 국내 대학들의 라이센스 갱신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미국의 대학들과 유럽의 일부 정부에서는 구독료 상승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오픈액세스 모델을 파일럿 형태로 시도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 오픈액세스 접근 모델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에 필요한 논의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새로운 라이센스 계약 사례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과 유럽에서 Elsevier 출판사를 상대로 시도되는 오픈액세스 기반의 다양한 모델을 소개하였고, 국내에서의 적용 가능성도 정성적으로 살펴보았다.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Open Access Area)

  • 신주은;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7-1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KCI와 RISS를 통해 수집한 국내 오픈액세스 관련 연구물 124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제목과 초록에서 총 1,157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선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3개 영역과 20개 세부 군집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였으며,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중심성 분석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5개의 군집을 도출하고, 다차원 축적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앞으로 국내 오픈액세스 연구의 방향성을 예측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WebDAV 기반의 효과적인 공개 작업장 지원 (Supporting Effective Open Workspaces Based on WebDAV)

  • 박희종;김동호;안건태;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2호
    • /
    • pp.249-258
    • /
    • 2006
  • WebDAV는 HTTP1.1을 확장한 프로토콜로서 웹상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비동기적인 협업저작을 지원하는 IETF 표준 프로토콜이다. 최근 WebDAV 서버 상의 자원에 대한 접근 제어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주는 WebDAV 접근제어 프로토콜이 발표되었다. WebDAV 접근제어 프로토콜은 WebDAV 서버 자원에 대하여 다양한 제어 기법들을 지원해 줌으로써 고급의 서버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WebDAV 접근제어 프로토콜 기반으로 일반적인 방문자들 간의 자료 교환이나 공유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공개작업장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공개작업장은 자료제공 공개작엉장(Download-Only Open Workspace), 자료제출 공개작업장(Upload-Only Open Workspace), 일반 공개작업장(Upload-Download Open Workspace) 등의 세가지 유형이 지원되며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는 누구나 시스템 관리자를 통하지 않고도 자유롭게 공개작업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개작업장의 지원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Slide WebDAY 서버와 DAVExplorer WebDAV 클라이언트를 확장하였다.

개가식 도서관의 공간효율 제고 방안 -지역 대학도서관 서고 공간을 중심으로- (Space Efficiency Improvement for Open Access Library -Focused on Book-storage Space of Academic Libraries in Province Area-)

  • 안준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7-74
    • /
    • 2015
  • Due to an inability to accommodat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rinted materials,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facing serious space shortage problems. Very few academic institutions have the funds to expand existing libraries or construct new facilitie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influx of printed materials. Despite not having the luxury to create new space, many establishments continue to implement the open access system. Seeing that such a system is only user friendly when used in a spacious facility, the maintenance of the open access system is unreasonable. Only few libraries consider the space efficient closed access system which helps to resolve storage space shortage. In the current state of the problem, improving the efficiency to which books are stored in existing storage areas within a library facility is the only appropriate solution. Enacting methods to improve physical space utilization within a fixed volume library facility will undoubtedly diminish the space shortage issue at hand. In this article, several space efficiency improvement approaches are discussed. Methods of book storage plan re-layout (floor, plan, ceiling, height, bookshelf design), book arrangement possibilities, and the reduction of the physical volume of reserved materials are each examined.

Plan S 정책에 대비한 오픈액세스 출판의 추진 및 과제 (Challenges and Tasks of Open Access Publishing for Plan S Policy)

  • 신은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01-124
    • /
    • 2020
  • Plan S는 유럽공동체 등 특정 단체로부터 지원받은 연구논문은 반드시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할 것을 의무화한 정책이다. 이는 연구자에게 APC를 지원하여 오픈액세스 출판을 지원하는 것이기에 골드 오픈액세스 시대를 앞당기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고, 이것이 전환점이 되어 학술출판 생태계가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많다. 이에 이 연구는 Plan S가 연구지원기관, 학회 및 출판사, 연구자, 도서관 등 학술출판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체에게 미칠 영향을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아울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국내의 골드 오픈액세스 출판 현황과 구성주체별 준비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골드 오픈액세스 학술지 비중은 전체의 22%로 세계 수준인 26%에 못 미치고 있었다. 국내의 연구지원기관은 Plan S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대응을 서두르고 있는 반면, 학술지의 약 70%를 생산하고 있는 국내 학회의 오픈액세스 논문 비중은 의약학(51%)을 제외하고는 높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의 이해와 대응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연구의 생애주기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지원서비스를 하는 미국을 비롯한 해외 도서관과 대비되었다. 이로써 국내 도서관도 연구자가 오픈액세스 출판을 잘 하도록 연구과제 지원서 작성을 돕고, 오픈액세스 학술지 저작권 상담을 수행하는 등 사서의 연구지원서비스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는 2021년 전격 시행을 앞 둔 Plan S의 추진 배경, 원칙, 영향 등을 알아보고, 국내의 대응 상황을 점검함으로써, 향후 국내 학술출판 생태계의 보존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A Study on Open Space Design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Parks and Their Bordering Facilities in Urban Areas

  • Yasuhiko Shimomura;Oshie Kotake;Hiroyuki Kaga;Noboru Masud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94-101
    • /
    • 2004
  •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suggestions in designing open space so that parks and bordering facilities are well related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visual access and human activities. The design survey was conducted in the center of Osaka City, using parks there as the study material. The relation between parks and their bordering facilitie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visual access and human activ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the design methods for improving relations between parks and their bordering facilities, unified design and creation of squar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m, placing access paths to facilities in parks, and planting trees to create Vista, Screen, and Framework landscapes are of great importance.

  • PDF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데이터 공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ring of Research Data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79
    • /
    • 2017
  • 본 연구는 Figshare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데이터의 유형, 주제, 공개 수준 등을 분석하고 재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데이터의 유형은 dataset과 paper 유형이, 주제 분야는 open access와 research data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0%에 가까운 연구데이터가 pdf와 같이 편집과 재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형태로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활용 정도간의 관계 분석 결과, 주제에 있어서는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비롯한 open access 영역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이터 유형에 있어서는 paper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n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 and Use of Open Access Initiative at the Federal Polytechnic, Offa, Kwara State, Nigeria

  • Issa, A.O.;Igwe, K.N.;Akangbe, B.R.;Aliyu, M.B.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2권3호
    • /
    • pp.55-65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environment of lecturers in Federal Polytechnic, Offa, Kwara State, Nigeria, in relation to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extent of use of the polytechnic library, perceptions of the resources and services of the library, level of awareness and extent of use of the open access model of scholarly communications, as well as the challenges of accessing and using information resources. It adopted the survey research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for data collection, while the descriptive statistics method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using tabular presentation and simple percentages. From a population of 280 lecturers for the study, a purposive sample of 164 was draw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cturers' information needs are focused on online use; they hardly use the polytechnic library due to their perceptions of the resources and services of the library. They are, to a greater extent, aware of open access initiatives, but do not publish in open access outlets, while various challenges affect their access an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for teaching and research. A recommendation was made, among others, that the polytechnic management should pay more critical attention to the library especially in the areas of adequate, current and comprehensive collections on all the programmes of the institution, as well as the provision of wireless internet services on the campus through a public-private partnership arrangement.

AHP를 활용한 국내 학술단체 오픈액세스 성숙단계 가중치 부여 연구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ighting of Open Access Maturity Stages of Domestic Academic Organizations Using AHP: Focusing on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 박진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136
    • /
    • 2023
  • 본 연구 목적은 KISTI 오픈액세스 성숙도 모델 진단기준에 대한 가중치 부여이다. 해당 성숙도 모델은 3개 차원, 12개 세부항목, 28개 측정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중치 부여는 상대적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개 차원, 차원에 속하는 12개 세부항목에 대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3개 차원에서는 'OA 제도화'(49%)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OA 제도화'의 하위 요소 중 관련 규정 제·개정(65%)이 중요하였고, 'OA 지속가능성'에서는 재정(40%)이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학술지 개방성'의 중요한 요소로는 투고와 심사(26%), 저자 권리(22%)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