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ervice

검색결과 2,161건 처리시간 0.027초

배달종사자 대상 안전교육이 사고 예방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tors of Safety Education for Delivery Workers on Accident Prevention)

  • 김정흔;정명진;임윤정;차재훈;최우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709-714
    • /
    • 2022
  • 배달서비스 시장이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배달종사자의 수도 증가하였으나, 그에 상응하는 안전교육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달종사자의 안전교육, 안전 인식, 사고 경험 횟수 및 안전 행동 간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달종사자 커뮤니티 사이트의 도움을 받아 배달종사자 총 114명을 대상으로 배달종사자 안전교육의 실태에 관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관성 분석 결과, 일반 대행사 종사자 중 절반 이상이 안전교육을 받지 않았다고 응답했고 안전교육을 이수한 배달 종사자가 안전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배달종사자보다 안전 행동의 빈도가 2.36배 높았다. 또한 상관분석과 단순 회귀분석을 통해 안전교육이 배달종사자의 안전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안전 인식과 안전 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안전교육과 안전 인식, 안전행동 및 사고 경험 횟수 간의 관계성을 알아내었고 사고 예방을 위해 모든 배달 플랫폼에서 의무적으로 안전교육을 시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y Related to Disaster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5-240
    • /
    • 2022
  •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들의 인지도는 과반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재난 발생 시 관련 역할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며, 역할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재난 관련 도서관의 세부 역할 중 이재민을 위한 심리 정서적 지원, 재난 지원 기관과의 협력, 재난 대피소 및 보호소 역할, 재난 관련 정보서비스, 주민의 재난 경험 아카이빙, 아웃리치서비스, 지역사회 지원 등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재난으로 스트레스 및 상처를 받은 지역주민을 위해 심리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서관역할의 필요성과 유익성 측면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서직급과 소속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 개발 및 이행을 위한 주요 방안을 제언하였다.

온라인 멘토링이 자기주도학습 능력, 정서적 안정감,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Mentor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Emotional Stability and Learning Effect)

  • 김경리;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239-248
    • /
    • 2022
  •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멘토링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 멘토링의 교육적 효과성 검사에 모두 참여한 4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정서적 안정감,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멘토링 서비스 기간, 방법, 횟수에 따른 교육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멘토링 시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멘토에 대한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멘토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멘토 역할을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정서적 안정감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멘토링 만족도가 국어, 영어, 수학학습 효과에 모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멘토 역할은 국어와 수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시 소외계층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이기 위한 더욱 효과적인 방법을 구안하고, EBS 학습 멘토링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독서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Reading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Goyang City Reading Culture Promotion Plan)

  • 송민선;장인호;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85-308
    • /
    • 2023
  • 본 연구는 고양시민들의 독서 실태를 조사·분석해 고양시 '제2차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독서실태 조사 관련 선행 연구 및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의 설문 문항 등을 참고하여 성인 및 학생 응답자 특성을 반영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고양시에 거주 중인 성인 960명,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분석하고,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독서자료의 범주를 전통적인 종이매체에서 다양한 매체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도서관 장서 확충 및 실제 도서 구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시민들이 원하는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온라인 운영 방식 등으로 독서활동 및 동아리 활동 참여 기회를 늘여야 한다. 넷째, 독서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서비스 환경은 시민들의 생활 반경 내 접근이 쉬운 곳으로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독서문화진흥사업 중 '스마트도서관', '상호대차서비스', '독서 및 문화프로그램 운영', '고양 북페이' 사업 등은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실효성 있는 고양시 독서문화진흥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실제 시민들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를 조사하고, 정책 방향 설정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딥러닝을 이용한 의류 이미지의 텍스타일 소재 분류 (Textile material classification in clothing images using deep learning)

  • 이소영;정혜선;최윤성;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7호
    • /
    • pp.43-51
    • /
    • 2023
  • 온라인 거래가 증가하면서 의류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의류 소재에 대한 이미지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의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된 소재를 파악하는 것은 패션 산업에 있어서 중요하다. 의류에 사용된 텍스타일의 소재는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고, 분류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연구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의류 이미지로부터 텍스타일의 소재를 분류하고자 하였다. 소재를 분류함으로써 의류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증대하는데 도움이 되며 소비자에게 특정 소재의 제품을 추천하는 AI 서비스에 기여할 수 있다. 의류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머신비전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 ResNet과 Vision Transformer를 이용하였다. 760,949장의 이미지를 수집하였고, 비정상 이미지를 검출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총 167,299장의 의류 이미지와 섬유라벨 19개, 직물라벨 20개를 사용하였다. ResNet과 Vision Transformer를 사용해서 의류 텍스타일의 소재를 분류하였으며 알고리즘 성능을 Top-k Accuracy Score 지표를 통해 비교하였다. 성능을 비교한 결과, ResNet 보다 Vision Transformer 알고리즘이 더 우수하였다.

대학생의 쿡방 시청 실태와 식습관 조사 (The Current Status of Cookbang Viewing and Dietary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 이승림;최영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31-1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쿡방 시청 실태를 조사하고, 쿡방 시청 정도에 따라 '자주 보는 편이다(FW군)', '가끔 보는 편이다(MW군)', '보지 않는다(NW군)' 3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쿡방 시청 빈도는 '주 4일 이상'(p<.001), 쿡방 시청 시간은 '1시간 이상'(p<.01), 그리고 식생활이 '좋아짐'(p<.05)가 FW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쿡방 시청 정도에 따라 혼자 식사하는 빈도(p<.05)와 스스로 요리한다는 빈도(p<.01)가 FW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쿡방 시청 정도에 따른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FW군이 '매끼 김치를 제외한 다른 채소를 먹는다'(p<.01), '매일 과일을 섭취한다'(p<.001), '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하지 않는다'(p<.01), '동물성 지방을 자주 섭취하지 않는다'(p<.01), '외식을 자주 하지 않는다' (p<.05), '과음하지 않는다'(p<.05), 그리고 마지막으로 식습관 총점(p<.05)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위 결과를 정리해보면 FW군이 채소와 과일 섭취는 증가하고, 가공식품, 동물성 지방, 외식, 과음의 섭취가 감소하여 쿡방이 대학생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자료는 쿡방 시청 빈도가 높은 대학생들의 식생활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구매 후 만족,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타오바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ive Commerce Influencer's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Flow - Focus on Taobao Service)

  • 곽효월;배승주;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01-213
    • /
    • 2022
  • 본 연구는 타오바오 온라인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타오바오 라이브 플랫폼 사용자의 구매 후 만족,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 속성을 전문성, 매력, 상호작용성, 심미성의 4가지로 설정하고, 이러한 속성이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와 플로우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 중에서 전문성, 상호작용성, 심미성이 소비자 만족도에서의 실용적인 쇼핑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력을 포함한 4가지 속성이 유희적 쇼핑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만족도에는 유희적 쇼핑 가치가 실용적인 쇼핑 가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 후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가 재구매 의도와 중독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장 추세에 있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성화하고,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대학도서관 인공지능 관련 교육콘텐츠 추천 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대학생과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the AI-related Educa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Librarians)

  • 김성훈;박시온;박지원;오유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31-263
    • /
    • 2022
  •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업무분야에서의 활용 능력은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기본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대학 구성원들에게도 높게 인식되고 있다. 국내외 대학도서관 역시 효과적인 인공지능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자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인공지능이라는 정보 기술에 특화된 이용자 맞춤형 추천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 파악 역시 미비하다. 대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콘텐츠 추천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의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수립을 위한 조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주제 분야에 특화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대학도서관 사서들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별 영향력을 조사하고, 성공적 수행을 위한 제언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관련 교육콘텐츠 추천시스템 사용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조사되었고, 과제적합성요인이 사용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사서들 또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하고 있었고 현실적인 제약사항으로 예산과 콘텐츠 품질 문제를 제시하였다.

상표권 정보를 활용한 코로나19 전후의 트렌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Trend Change using Trademark Inform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나명선;박인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16-126
    • /
    • 2022
  • 그동안 상표정보 활용과 관련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고 상표정보가 비즈니스 트렌드를 볼 수 있는 좋은 데이터임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상표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의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표정보로 상품류, 유사군 코드, 지정상품정보를 활용하여 코로나-19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활용한 상표정보 중에 코로나-19 전후로 지정상품명을 활용한 트렌드의 변화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의 검증을 위해 코로나-19 전후의 지정상품명에 사용된 키워드의 변화를 구글 트렌드의 키워드의 검색 노출빈도와 비교하였다. 지정상품명칭에서 추출된 상위 8개 키워드 중 '온라인, 항균, 방역, 밀키트, 가상'의 구글 트렌드 검색 노출 빈도는 증가추세이고, '마스크, 비말' 은 증가추세는 아니지만, 코로나-19시점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무인' 의 노출 빈도는 코로나-19 전후로 큰 차이는 없지만 꾸준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코로나 이전부터 관련 비즈니스가 활발하였으며, 대중의 관심이 높은 키워드로 해석할 수있다. 본 연구는 세가지 상표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트렌드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점에서 학문적 성과가 있다.

외식 기업의 CSR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식 뷔페 프랜차이즈 기업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nsumer Loyalty in the Foodservice Industry: Focusing on Korean-Style Buffet Franchise)

  • 권준혁;이남규;황태경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15-25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n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loyalty among using Korean food buffet franchi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to industry practitioners in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CSR effect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panel of online research companies 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dined in at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 outlets more than five times. A total of 370 samples were used after eliminating outliers and missing data. the data were analyzed SEM with SPSS and AMOS. Result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1) social CSR activities have an effect only on emotional trust; 2) food-related CSR activities influence bo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and 3) bo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loyalty in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causal impact from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food-related CSR activities have the greater influence on the cognitive trust, and cognitive trust is more influential on the customer loyalty than the emotional trust.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industry practitioners. First, that CS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trust suggests that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s should focus on CSR activities to improve customer trust. Second, that food-related CSR activities have the greater influence on the cognitive trust implies that industry practitioners should reinforce food-related CSR activities as a marketing tool to enhance emotional trust and the overall credibility of their franchise. Third, we need to find CSR measures at the social level that can secure emotional trust so that customer loyalty can be formed. Fourth, Korean food buffet franchise food service companies shoul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CSR activities at food and social level among the three dimensions suggested by researchers in order to form customer loyalty. For next study, perceived concept of CSR on individual customer should be exa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