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Product Reviews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5초

온라인 리뷰어의 과소보고 편향에 관한 실증 연구: 온라인 게임 플랫폼 스팀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Under-reporting Bias of Online Reviewers: Focusing on Steam Online Game Platform)

  • 장주혁;백현미;이새롬;배성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229-251
    • /
    • 2022
  • 온라인 리뷰는 제품에 대한 이전 구매자들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구매 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온라인 리뷰가 제품의 질과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고 편향되어 작성된다면 온라인 리뷰를 더이상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온라인 리뷰의 편향 중 하나인 과소보고 편향의 특성을 실증 데이터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게임 플랫폼인 스팀의 14,165개의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소보고하는 성향을 지니는 리뷰어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과소보고하는 리뷰어는 주로 추천 의도를 담은 리뷰를 작성하고, 게임 출시일로부터 짧은 기간 안에 리뷰를 작성하나 다소 긴 시간동안 게임을 플레이한 후 리뷰를 작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높은 가격의 게임을 구매했을 때 리뷰를 작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과소보고하는 리뷰어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살펴보았기에 과소보고 편향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기초 연구로서 의미를 지닐 것이다.

구매후기 정보의 충족/미충족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인식 및 구매후기 정보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Based on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Availability/Non-availability of Information)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099-1111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about apparel products based on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availability/non-availability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for online st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318 females aged 20s' to 30s', who had significant experience in reading consumer reviews posted on online stores.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availability or non-availability of review information on online stores is different for information in regards to apparel product attributes, product benefits, and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quality elements suggested by the Kano model, two type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were determined: Must-have information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about size, fabric, color and design of the apparel product; benefit information about washing & care and comport of the apparel product; stor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responsiveness, disclosure, delivery and after service of the store) and attracting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about price comparison; benefit information about coordination with other items, fashionability, price discounts, value for price, reaction from others, emotion experienced during transaction, symbolic features for status, health functionality, and eco-friendly feature; stor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return/refund, damage compensation and reputation/credibility of online store and interactive and dynamic nature of reviews among custom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 involvement groups in their perception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제품, 서비스, 융합제품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비교 분석 :아마존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Needs for Products, Service, and Integrated Product Service : Focusing on Amazon Online Reviews)

  • 김성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16-330
    • /
    • 2020
  •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사용하여 하드웨어 제품에 대한 리뷰, 서비스 상품에 대한 리뷰, ICT분야의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상품을 대상으로 소비자 리뷰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각 리뷰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토픽 도출에 사용된 단어의 차별성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전체 리뷰를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각의 상품군의 리뷰가 어떤 군집에 속하는지를 검토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각 상품의 유형별로 특화되어 사용된 핵심어를 도출하였고,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특성을 표현하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상품 리뷰에서는 공급자의 우수성을 의미하는 professional, technician과 같은 핵심어를 도출하였고, 융합제품서비스상품으로서 아마존 에코 리뷰에서는 favorite, fine, fun, nice, smart, unlimited, useful 등의 긍정적 의미의 형용사를 도출하였다.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전체 리뷰를 분석하였고, 3개의 상품 유형별 리뷰가 배타적으로 서로 다른 각각의 군집에 속하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상품의 유형별로 온라인 리뷰를 이용하여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실무적으로 상품 유형에 기반한 상품기획과 마케팅 프로모션 차별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고객 리뷰의 유용성 지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s of Useful Customer Reviews by Applying Text Mining Approach)

  • 이홍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59-169
    • /
    • 2015
  • Customer reviews are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for purchase decision makings in online stores. Online stores have tried to provide useful reviews in product pages to customer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customer reviews before other users have voted enough on the reviews, diverse aspects of reviews were utilized in prevous studies. Style and semantic information were utilized in many studies. This study aims to test diverse alogrithms and datasets for identifying a proper classification method and threshold to classify useful reviews. In particular, most researches utilized ratio type helpfulness index as Amazon.com used. However, there is another type of usefulness index utilized in TripAdviser.com or Yelp.com, count type helpfulness index. There was no proper threshold to classify useful reviews yet for count type helpfulness index. This study used reivews and their usefulness votes on restaurnats from Yelp.com to devise diverse datasets and applied text mining approaches to classify useful reviews. Random Forest, SVM, and GLMNET showed the greater values of accuracy than other approaches.

전자 상거래 사이트의 가짜 리뷰 판별 기법 조사 (Survey on Fake Review Detection of E-commerce Sites)

  • 지쳉장;장진홍;강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81
    • /
    • 2014
  • 전자 상거래 리뷰 정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제품 리뷰는 잠재적인 고객의 구매 결정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소이다. 제품 리뷰는 또한 상품 제조사들이 자신들의 제품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자신들의 경쟁자들에 대한 경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불행히도 많은 온라인 제품 정보들이 그 제품에 대한 진짜 고객들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것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리뷰를 쓰는 사람들은, 특정 제품의 평판을 떨어뜨리기 위해 가짜로 부정적인 리뷰를 쓰거나, 특정 제품에 대해 부당하게 긍정적인 리뷰를 써서 그 제품을 홍보하기도 한다. 이러한 리뷰들을 가짜 리뷰라고 한다. 가짜 리뷰 판별 기법은 가짜 리뷰를 판별하고 삭제하여 진실한 리뷰들만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법이다. 현재까지 이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발표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관련 연구들을 조사하고 가짜 리뷰 판별 기법들에 대해 간단히 조망해 보고자 한다. 웹 스팸 및 이메일 스팸과 같은 가짜 리뷰 판별과 관련된 연구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가짜 리뷰들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가짜 리뷰 판별에 대한 연구 추세들로 결론을 맺는다.

  • PDF

SNS 구매후기는 누구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연구 (Who Can be the Target of SNS Review Marketing? : A Study on the SNS Based Marketing Strategy)

  • 심선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3-127
    • /
    • 2012
  • With the advent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s), the product reviews by friends in SNS are intensively utilized for online market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evidence on the actual marketing effect of SNS reviews, although we need to identify who can be the target of SNS marketing in terms of customer attributes, preferences, or experien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customer attributes in identifying the effect of SNS reviews on customer purchasing decision. As the moderating variables, we adopt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formation overload'. Research results evidenc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NS reviews in a comprehensive manner, we need to examine it in the context of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formation overload'.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suading effect of SNS reviews for product purchasing is stronger for the customers with the lower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s as well as the lower perception on the information overload on the web. This result delivers managerial implications on who can be the target customers of SNS marketing.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자의 지각된 정보유용성과 자기효능감이 구전정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견고수와 구전수용의 비교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Efficacy on Online WOM Adoption Based on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tick to Your Own Preference VS. Follow What Others Said)

  • 이정현;박주석;김현모;박재홍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3호
    • /
    • pp.131-154
    • /
    • 2013
  • New interne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revolutionary new platform which allows consumers to make decision about product price and quality quickl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hrough the transcript of online reviews.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ward products or services on virtual opinion platforms, users extend their influence into cyberspace as electronic word-of-mouth (e-WOM). Existing research indicates that an impact of eWOM on the consumer decision process is influential. For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vestigating this phenomenon of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website is essential given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using them as sources of purchase decisions.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opinion seekers are willing to accept and adopt online reviews and which factors encourage adoption. Discerning the most motivating aspects of information adoption in particular, could help electronic marketers better promote their brand and presence on the intern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online WOM influences a persons' purchase decision by discovering which factors encourage information adop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self-efficacy,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self-efficacy affects on information usefulness and adoption of online information. Although people are exposed to same review or comment about product or service, some accept the reviews while others do not. We notice that accepting online reviews mainly depends on the person's preference or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is issue by using cognitive dissonance theory. Specifically, in the movie industry, we address few questions-is always positive WOM generating positive effect? What if the movie isn't the person's favorite genre? What if the person who is very self-assertive so doesn't take other's opinion easily? In these cases of cognitive dissonance, is always WOM generating same result?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one direct of WOM which indicates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ve reviews or comments generate positive (or negative) results and more (or less) profits,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directional properties of WOM but also how people change their opinion towards product or service positive to negative, negative to positive through the online WO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quantitatively by using a sample of 168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in the online movie review site, 'Naver Movie'. Users were required to complete a survey regarding reviews and comments taken from the real movie page. The data reflected user's perceptions of online WOM information that determined users' adoption level. Analysis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proposed theoretical perspective. When user can't agree with the opin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online WOM information and users' preference occurs,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decreases customers'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this perception of usefuln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users' intention to adopt online WOM information.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characteristics of online WOM itself such as quality or vividness of information, credibility of source and direction of online WOM, etc. for describing effect of online WOM, but our results suggest that users' personal character (e.g., self-efficacy) plays decisive role for acceptance of online WOM information. Higher self-efficacy means lower possibility to accept th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counter opinion because of cognitive dissonance, whereas the people that have lower self-efficacy are willing to accept the online WOM information as true and refer to purchase decision. This study suggests a model for understanding role of direction of online WOM information. Also, our result implicates the importance of online review supervision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by confirming switching opinion negative to positive is more difficult than positive to negative through the online WOM information. This implication would help marketers to manage online reviews of their products or services.

SNS 광고속성이 구매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설득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Attitud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uasion Knowledge -)

  • 나윤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8-68
    • /
    • 2019
  • 최근 제품리뷰 형태의 SNS 광고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광고는 효과와 영향력에 비해 관리와 규제를 덜 받고 있어 소비자 불만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성, 오락성, 신뢰성, 친근성 등 제품리뷰 SNS 광고 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때 높아진 소비자 불만들로 인해 개개인이 구축한 설득지식은 광고효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이를 조절효과로 살펴보았다. 240명의 제품리뷰 SNS 광고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광고 속성이 구매의도에 끼치는 영향 관계에서 설득지식의 조절효과는 오락성, 정보성이 채택되었고 광고 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끼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오락성, 정보성, 친근성이 채택되었다.

온라인 구전정보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제품관여도, 조절초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nfluence of Online Word-of-Mouth on the Customer Purchase Intention)

  • 유창조;안광호;박성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09-231
    • /
    • 2011
  • 본 연구는 상표사용후기의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품관여도, 조절초점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실험설계를 통해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결과 상품사용후기의 방향성이 상표에 대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긍정적인 상품사용후기에 노출된 집단의 구매의도가 부정적인 상품사용후기에 노출된 집단의 구매의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긍정적 상품사용후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더 크게 나타나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선행연구결과를 다시 확인해 주고 있다. 그리고 상표사용후기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조절초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이 갖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긍정적인 상표사용후기에 더 큰 영향을 받았고, 예방초첨의 소비자는 부정적인 상표사용후기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상품사용후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소비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소비자보다 자기효능감이 낮은 소비자가 상표사용후기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관여도, 조절초점 및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제시되는 상표사용후기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름을 확인해 주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마케터들에게 유용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A Sentiment Classification Approach of Sentences Clustering in Webcast Barrages

  • Li, Jun;Huang, Guimin;Zhou, Y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718-732
    • /
    • 2020
  • Conducting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are challenging task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ny of the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applications focus on product reviews, social media reviews, forums and microblogs whose reviews are topic-similar and opinion-rich. In this paper, we try to analyze the sentiments of sentences from online webcast reviews that scroll across the screen, which we call live barrages. Contrary to social media comments or product reviews, the topics in live barrages are more fragmented, and there are plenty of invalid comments that we must remove in the preprocessing phase. To extract evaluative sentiment sentences, we proposed a novel approach that clusters the barrages from the same commenter to solve the problem of scattering the information for each barrage. The method developed in this paper contains two subtasks: in the data preprocessing phase, we cluster the sentences from the same commenter and remove unavailable sentences; and we use a semi-supervised machine learning approach, the naïve Bayes algorithm, to analyze the sentiment of the barrage.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this method shows that it performs well in analyzing the sentiment of online webcast barrages.